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 읽기] 국정원 댓글 조작과 국민주권 / 김종엽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촛불집회 규모가 커지고 있다. 국정원 댓글 조작이 민주적 법치국가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는 의견들이 점점 더 큰 행동으로 응집되고 있다. 하지만 국정원 직원과 하수인들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조직적으로 댓글을 달거나 찬성/반대 버튼을 누르고 다닌 것이 정말 그렇게 중요한 일인가, 국정원이 정권에 대한 충성심으로 지저분한 일을 저지르긴 했지만 그게 그렇게 영향력 컸겠으며 촛불 들고 거리에 나설 만큼 심각한 일인가, 대선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던 차에 ‘껀수’ 잡았다는 것 아닌가, 이렇게 질문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꽤 많다. 과연 그런 의문이 타당한지 한번 살펴보자.


우리 헌법 제1조는 국민주권을 천명한다. 노래로도 애창되었듯이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그런데 국민주권은 그것이 어디에 있고 어떻게 알 수 있는지를 문제로 제기한다. 전통 시대 군주의 주권과 달리 현대 국가의 국민주권은 분산된 다수에게 속하는데, 사람들 생각과 의지는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권적 의지 형성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며, 우리 헌법에서 법적 효력을 갖는 형태의 국민주권은 공직 선거에 나타난 유권자 다수의 의견이다. 의견 표현 기회 제공(투표), 의견의 합산(개표), 다수 의견의 채택(다수결에 의한 권력 결정)이라는 방식으로 국민주권이 확인되고 집행되는 것이다.


이런 제도 작동의 기본 조건은 투·개표의 엄정함과 결과에 대한 승복이겠지만, 그것이 본래 취지를 충족하려면 투표 이전에 유권자들의 의견이 공정한 과정 속에서 분별력 있게 형성되어야 한다. 의견들이 충분한 정보에 입각해 사려깊게 조성될수록 그것에 입각하는 국민주권도 더 나은 쪽을 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주권이 의견 형성에 따른다면, 그 기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점은, 의견은 사태에 직면한 개인의 마음속에서 직접 떠오르기보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유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의견을 주고받는다”는 일상적 표현은 이 점을 잘 드러낸다. 즉, 내 의견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관찰하고 참조해서 형성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은 또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결국 국민주권은 상호 관찰과 참조의 방대한 네트워크 속에서 형성된 의견에 의존하며, 이 과정이 정상적일 경우 우리는 더 나은 의견이 사람들 사이에서 추천되어 여론으로 부상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런 의견 형성의 기제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새롭게 강화되었다. 우리는 여전히 사회적 사건들을 대중매체를 통해 접한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일차적 의견도 매체 엘리트들인 기자와 방송사 피디들이 제공한다. 하지만 인터넷 덕에 평범한 이웃의 의견을 참조할 기회가 엄청나게 많아졌다. 그 결과 대중매체가 유포한 의견도 그것에 대한 대중의 반응과 의견이라는 필터를 통과해야 영향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런 의견 형성의 경로를 방치해서는 권력기관이 대중매체를 장악해도 실제 효과는 신통치 않을 상황인 것이다.


국정원의 댓글 조작은 바로 이런 상황에서 개발된 가장 교활한 조작행위이다. 그들의 댓글은 “의견에 대한 의견”의 연쇄고리에 개입하는데, 그렇게 그들의 입맛대로 의견의 연결을 끊거나 원하는 방향으로만 연결하게 되면, 의견에 대한 의심이 확산된다. 더불어 더 나은 의견들이 상호 추천을 거쳐 폭넓은 지지가 확인된 여론으로 떠오를 경로가 차단된다. 그 결과는 아주 중대하다. 여론이라는 들숨과 날숨에 의존하는 국민주권이 진폐증에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정원 댓글은 국민주권에 대한 도전이며, 촛불집회는 국민주권의 존립조건을 수호하려는 주권적 행위라 할 수 있다.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출처: 한겨레 논단

  • ?
    아기자기 2013.08.13 22:05

    국가정보원 직원의 지시를 받아 인터넷 사이트에 댓글을 작성한 일반인 보조요원 이모(42)씨의 계좌에서 국정원 자금으로 추정되는 돈이 발견됐다.

    2011년 11월부터 경찰의 국정원 사건 수사가 본격화한 지난 1월까지 이씨의 은행계좌 2곳에서 국정원 돈으로 추정되는 9,234만원이 발견됐다고 

    12일 한겨레가 보도했다. 이 같은 내용은 경찰의 국정원 사건에 대한 검찰 송치 기록에 나와 있다. 


    경찰은 이씨가 국정원으로부터 현금을 받아 자신의 통장에 입금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약 1년 동안 29차례에 걸쳐 모두 4,925만원이 현금입출금기를 통해 이씨의 시티은행 계좌에 입금됐다. 

    또한 지난해 5월21일~6월4일에는 정모씨의 계좌에서 이씨의 우리은행 계좌로 4,309만원이 이체됐는데, 

    검찰은 이 돈의 출처가 국정원인 것으로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을 앞두고 국정원 심리전단 직원들의 활동이 활발해질 즈음인 2011년 11월 18일, 

    이씨는 부산의 집에서 서울로 상경해 강남구 일원동의 한 고시원에 머물렀다. 

    이씨가 고시원에 입주한 것은 국정원 댓글 공작을 위해서였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경찰은 계좌에 입근된 돈 역시 국정원 공작을 위한 '정보원비'였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경찰 수사 결과를 보면 이씨는 국정원 심리정보국 소속 여직원 김모(29)씨 등 3명의 국정원 직원과 함께 댓글을 올렸다. 
    이씨는 김씨의 아이디를 공유해 대선 관련 게시글을 올린 혐의도 받고 있다

    김씨와 이씨는 댓글의 정체를 숨기려 '007' 영화와 다름없는 치밀한 준비를 거쳐 은밀하게 작업해왔다. 

    김씨와 이씨는 '인터넷 댓글 활동'을 위해 가족 명의의 차명 스마트폰을 만들었다. 
    이 스마트폰과 아이피변조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터넷 포털사이트 '오늘의 유머' 등에 가입해 댓글을 달았다. 
    스마트폰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수시로 아이피가 바뀌어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해 
    자신의 정체와 활동을 숨기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찰의 국정원 사건에 대한 검찰 송치 기록을 보면 이들은 서로의 통화 내역을 숨기기 위해 다른 사람 명의로 된 전화기를 사용했다. 
    김씨는 이씨의 이종사촌 동생인 신모씨 명의의 휴대전화를 사용했다. 
    국정원이 김씨 등 직원에게 지급한 업무용 휴대전화도 국정원이 아닌 '국제○○○○○'등 우체국 사서함만 있는 
    유령 업체 명의로 돼 있어 경찰과 검찰이 이들의 통화내역을 확인해 연결고리를 찾는 데 애를 먹었다. 

    한편 이씨 외에도 국정원 직원들의 '정보원' 역할을 한 일반인이 상당할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씨의 계좌 거래내역을 보면 대선 직전 8개월간 평균 457만원이 계좌에 들어가고 314만원이 인출됐는데, 
    이씨가 국정원 직원으로부터 활동비를 총괄해서 받아 또 다른 일반인 조력자에게 나눠줬을 가능성이 있다. 
    출처 :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입력시간 : 2013.08.12 10:51:15 수정시간 : 2013.08.12 11:20:19



    옮긴이 :

    막장 드라마나 영화가 아니라 21세기 오늘 신문기사인게 신기합니다^^


    이래도 잠잠하면 둘중 하나 아닌가요! 

    알바거나 바보거나!


    아마 촛불만으로는 밝혀질 어둠이 아닌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7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3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2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30
9505 촛불 없는 촛불집회 방송 백록담 2013.08.13 1796
9504 퇴임 1 년 앞둔 노 교수님들의 ------------------------------ 백록담 2013.08.13 1952
9503 최인님! 오늘은 6시부터 아시죠? 7 남은교회 2013.08.13 1982
9502 시원한 냉수같은 말씀을 소개합니다. file 구닥다리 2013.08.13 2282
» 이 한심한 친구들아, 이래서 촛불을 들어야 하는 거야, 알간? 1 김원일 2013.08.13 1916
9500 사회교리의 가르침. 2 신부님외침 2013.08.13 1830
9499 서울 시청 광장에서 느낀 것 4 김균 2013.08.14 1747
9498 바람이 서늘도 하여 (별) 8 바다 2013.08.14 2236
9497 어둠이 빛을 이겨 본 적이 없다....시대의 등불 천주교에 감사한다. 2013.08.14 2004
9496 눈 먼자들의 도시 - 죽음으로부터 살아가야할 자들을 위하여 4 아기자기 2013.08.14 1907
9495 대구 대교구 천주교 506 명 신부들 시국선언 " 분노넘어 경악" 모퉁이 돌 2013.08.14 1861
9494 '오늘의 우리는 과거역사의 작품이다.' 김가영 2013.08.14 2136
9493 김균의 시청 여행기. 8 네이버뉴스 2013.08.14 1840
9492 국정원 수사 사실대로 발표시 "박44.43% VS 문55,14%...로 약400만표 이겼다. 여론조사 2013.08.15 3027
9491 카스타 게시판의 존스와 와그너에 대해..설명부탁합니다. 1 푸른산푸른강 2013.08.15 1838
9490 푸른산 푸른강님께... 8 student 2013.08.15 1812
9489 유럽과 민초의 연대(連帶)에 대해 1 무실 2013.08.15 1730
9488 조선인들 ‘지옥 노동’에 숨졌는데…일 “근대화 상징” 관광개발 백록담 2013.08.15 1910
9487 내일 5 김균 2013.08.15 1911
9486 역사를 읽지 못하는 세대 김균 2013.08.15 1814
9485 잠수함 타기전 잘난척 한번하기 19 최인 2013.08.15 2029
9484 우리교회의 전설 - 1888년 기별 13 김주영 2013.08.15 2074
9483 중 고등학생도 시국선언 ! 백록담 2013.08.15 1937
9482 교회는 떡집이다. 제리 2013.08.15 2205
9481 우리 재림교회의 '원X훈'은 누구일까?ㅋㅋㅋ 4 제리 2013.08.15 2122
9480 안식교의 알려지지 않은 교리 달수 2013.08.16 2284
9479 죄의식 없는 그들, 진실 규명 바랐던 국민들 ‘모욕’ 백록담 2013.08.16 1906
9478 이집트, 오늘의 바로(Pharaoh) 김원일 2013.08.16 1638
9477 오늘 시청앞으로 모입시다. 4 제리 2013.08.16 2054
9476 이 예수를 어찌 할까나....... 그러게, 어째쓰거나, 잉. 3 김원일 2013.08.16 2030
9475 중독성이 아주 강한 복음성가(ㅅ수봉씨와 ㅇ미자씨의 합성 목소리) 2 최종오 2013.08.17 2129
9474 이 결혼해야 할까요? 7 결혼 2013.08.17 2009
9473 높게 시작해서 슬쩍 물러나라 모퉁이 돌 2013.08.17 1825
9472 이 스님 안식교 단상에 모시고 한 말씀 듣자. 3 김원일 2013.08.17 1977
9471 지금은 시기상조이지만 2 file 구닥다리 2013.08.17 2011
9470 은퇴목사 류영렬님의 한탄(방송사에 수억원 내고도 방송 타지 못하는 안식교회) 1 은퇴목사 2013.08.18 2037
9469 초교파적 음악방송을 만들다. 최종오 2013.08.18 1975
9468 얼바리드라~ 배째라마~ 어쩔낀데~ 그래도마 또 뽀바줄끼 아니가~ 우리가 나미가~ ㅋㅋ 1 바뀐애 2013.08.18 2035
9467 오늘 애굽과 한국의 공통점을 본다. 모퉁이 돌 2013.08.18 1746
9466 김창호 "노무현, 국정원 홍보댓글 안된다고 지시" 2013.08.18 2102
9465 아기자기님 2 바다 2013.08.18 1691
9464 찬미가 제목 알려주십시오 6 묻는이 2013.08.19 2010
9463 트위터에 빠진 여름 1 김균 2013.08.19 2040
9462 모범 답안지 1 김균 2013.08.19 2097
9461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 나루터 2013.08.19 2066
9460 트위터에 인상 깊은 글 1 우주방위사령부 2013.08.19 2116
9459 보고싶은 얼굴 몽당연필 2013.08.19 2234
9458 50. 50 2013.08.20 1745
9457 권은희 한사람 2013.08.20 1732
9456 왜 대통령을 마담으로 고쳤나? 4 마담 2013.08.20 2016
9455 원불교 원불교 2013.08.20 1897
9454 기독교 기독교 2013.08.20 1918
9453 안식교 2 안식교 2013.08.20 1975
9452 어떤 가족의 선언. 막둥이 2013.08.20 4642
9451 트리노의 말과 슬피 우는 밤 1 아기자기 2013.08.20 1825
9450 이거, 이거, 큰일날 설교 아냐? 7 김원일 2013.08.20 2081
9449 그래서 얻는게 뭘까?? 6 User ID 2013.08.21 1847
9448 관찰의 힘과 메모의 습관 - 정민 무실 2013.08.21 2501
9447 대한민국 말아먹은 개독교 김원일 2013.08.21 1960
9446 더블매치 무산 좀 아깝네요. 몽롱해 2013.08.21 1726
9445 문명의 기로에 선 초기 기독교 - 안연희 백근철 2013.08.22 1788
9444 동물의왕국 조작설.. 4 file 박희관 2013.08.22 2638
9443 [평화의 연찬 제76회 : 2013년 8월 24일(토)] ‘우리는 누구인가?’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22 1640
9442 성모의 보석 4 바다 2013.08.22 2062
9441 '한강에서 칼에 찔려 살해된 채 발견된 아내 사건' 1 한강 2013.08.23 2076
9440 은밀하게 위대하게 3 은혜설교 2013.08.23 2439
9439 빌어먹을 스탈린, 빌어먹을 대~한민국!, 빌어먹을 America the Beautiful--Chelsea (Bradley) Manning, Edward Snowden, 그리고 권은희여, 그대 이름 빛날지어다! 1 김원일 2013.08.23 3041
9438 둘다 듣거라 6 박희관 2013.08.25 2254
9437 기적의 소통(Happy Losers) file 최종오 2013.08.25 1759
9436 김 장로님 촛불집회 참석 했다가 경찰서에 5 방청객 2013.08.25 2292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