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선인들 ‘지옥 노동’에 숨졌는데…일 “근대화 상징” 관광개발

배를 타고 해상에서 하시마를 바라보면 바다에 떠 있는 군함처럼 보인다.

강제징용자 한 서린 일 ‘군함도’를 가다

기온 40도 해저 1천m서 강제노역
한인들 1925~45년 122명 숨져

일본인 여행객 “일본 한창때 연상”
여객선 모니터엔 “해저탄광 유적”
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지난 8일 오후 일본 규슈 나가사키만 앞바다 외딴섬 하시마(端島). 초목이 거의 없는 불모의 섬은 회색 성벽으로 둘러싸인 채 황량하게 떠 있었다.

피스 크루즈(평화의 항해)에 참가한 일본 시민단체 회원 100여명과 함께 선착장에 닿자,
이내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이 ‘지옥문’이라고 불렀던 들머리가 나타났다. 한번 들어가면 살아서 나오기 어렵다던 단 하나뿐인 통로였다.
뭉툭한 굴 모양의 두꺼운 콘크리트로 된 지옥문에서 강제동원됐던 이들이 마주쳤을 공포와 불안, 고립감이 떠올라 등골이 서늘해졌다.
 

문을 지나자, 악명 높던 미쓰비시 하시마탄광 강제노역 현장이 앙상하게 골조만 남은 콘크리트 건물 사이로 생생하게 드러났다.
식민지 한국인들을 끌고 가 임금도, 식량도 제대로 주지 않은 채, 침략전쟁에 쓸 석탄을 캐도록 내몰았던 바로 그곳이다.

“하시마는 지옥섬, 감옥섬이었다.” 하시마에서 가까스로 살아 돌아온 최장섭(85·대전)씨는 지난달 말 국내에서 만났을 때도 치를 떨었다.
 “막장에서 죽도록 일하고, 어둡고 습기찬 숙소로 돌아가는 일상을 반복했다. 배고프고 힘들어서 날마다 몸에서 쥐가 나는 바람에 잠조차 제대로 이룰 수 없었다.
 45년 8월 원폭이 떨어질 때까지 2년 반 동안 단 한 번도 섬을 벗어난 적이 없었다.”

탄광 개발 초기인 1905년 하시마 모습.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 조사원회 보고서 재인용.

12년 전 작고한 경남 의령 출신 서정우씨는 14살 때 끌려갔던 하시마의 참혹한 생활을 다음 같은 증언으로 남겼다.
“하시마 생활은 좁고, 덥고, 졸리고, 고달팠다. 몸이 아파 작업이라도 빠지면 심하게 매질을 당했다.
외길뿐인 제방 위로 올라가 고향 쪽을 바라보며 죽을 생각을 여러 차례 했다. 살아서 돌아가기 어려울 것 같았다.”
 

40도까지 올라가는 해저 1000m의 갱도에서 하루 12시간씩 노동에 내몰렸다.
비좁은 막장에서 누운 채 석탄을 캤다.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탄갱을 나오지 못하는 생지옥 같은 나날이었다.
바다에 뛰어들어 도망치려다 빠져죽거나, 붙잡히면 마구 두들겨맞았다. 당시 탈출하다 익사한 한국인이 40~50명 됐다는 게 서씨의 기억이다.
 

군국주의 일본이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뒤 하시마에 강제로 끌려온 한국인은 500~800명으로 늘었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조사위원회’ 보고서를 보면, 1925~45년 하시마에서 숨진 한국인은 122명이었다. 질식·외상·변사 등이 압도적이었다.
 구타나 가혹행위, 탈출 기도에 뒤따른 변고를 짐작케 한다. 전쟁 말기 노동강도가 더 강화된 44~45년 한국인 사망률은
 일본인의 4.7~5.5%보다 갑절 이상 높은 12.3~13.9%였다.
 

하시마는 나가사키항에서 남서쪽으로 18㎞ 떨어져 있다. 애초 남북 320m, 동서 120m, 표고 40m인 작은 섬이었다.
석탄이 발견된 뒤 매립으로 면적 6.3㏊, 둘레 1.2㎞, 남북 480m, 동서 160m로 커졌다. 섬 둘레에 높이 10m 안팎 콘크리트 절벽을 둘렀고,
그 안엔 채탄·저장·수송·주거용 건물 70여동이 숲처럼 빼곡했다.

군함도(軍艦島·군칸지마)라는 별명은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조선소에서 건조중이던 일본 해군 전함을 닮았다’는
 1920년대 일본 언론 기사에서 비롯됐다. 요즘도 일본인들은 이 섬을 ‘군칸지마’라고 부른다.
 

이날 ‘평화의 항해’는 일본의 미래를 위해 전쟁 책임을 분명히 기억해야 한다는 나가사키 시민단체 쪽이 제안했다.
 8월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피폭 68돌을 맞아 추모행사에 참여한 여러 단체 회원들이 참가했다.
나가사키 시민단체는 섬의 역사와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을 담은 14쪽 소책자를 이들에게 나눠줬다.
 

하지만 이들조차도 하시마가 ‘일제가 한국인들에게 침략 전쟁의 필수 자원인 석탄을 캐도록 하고 임금조차 주지 않은
전쟁 범죄의 현장’이었음을 분명하게 인식했던 것 같지는 않았다.
 

도쿄에서 온 가코쿠라 유키(38)는 “텔레비전에서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 섬에 흥미가 생겼다.
상륙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참가자들은 남쪽 광장 근처 갱 어귀, 저탄장 등 을씨년스럽게 남아 있는 잔해들을 1시간쯤 돌아봤다.
중앙의 수직갱 통로, 북쪽의 숙소·식당 등은 붕괴 위험이 있다며 접근을 막았다.
 

나가사키항에서 하시마로 오가는 배 안 모니터에선 하시마를 ‘일본 근대화의 상징’이나
‘해저탄광 유적’으로 소개하는 관광용 화면이 빠르게 지나갔다.
 

고바야시 노리오(53·이바라키현)는 “일본이 한창 잘나가던 근대화 당시를 연상시키는 묘한 매력이 있다”고 했다.
강제동원된 한국인들이 임금조차 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아느냐고 묻자 “임금 문제는 잘 모르지만 한일협약으로 다 지급한 것으로 안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대학생 마쓰모리 후지코(21·교토세이카대학)는 “오늘에야 강제동원과 체불 임금에 대해 들었다.
 일을 시켰으면 돈을 줘야 하는 게 상식이고 도리 아니겠나”라고 했다.
평화의 항해에 함께한 독일인 루카스 아우스테크(21)는 “영어 안내 책자에 한국인 등이 강제동원돼 노동했다는 내용은 없다.
역사를 일부만 쓰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서양식 갱도를 처음으로 도입했던 하시마를 홍보해 관광지로 개발한다는 정책을 세웠다.
 74년 폐광 뒤 출입을 막았던 하시마를 2009년부터 관광객에게 개방했고, 산업화 유적이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중이다.
 ‘전쟁 범죄를 일으킨 가해의 기억은 축소하고, 근대화 상징이라는 면만 포장하려 해서는 일본의 미래가 없다’는 경고는
 나가사키 시민사회에서도 작지만 뚜렷하게 들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09
6285 트리노의 말과 슬피 우는 밤 1 아기자기 2013.08.20 1823
6284 어떤 가족의 선언. 막둥이 2013.08.20 4641
6283 안식교 2 안식교 2013.08.20 1974
6282 기독교 기독교 2013.08.20 1917
6281 원불교 원불교 2013.08.20 1895
6280 왜 대통령을 마담으로 고쳤나? 4 마담 2013.08.20 2014
6279 권은희 한사람 2013.08.20 1730
6278 50. 50 2013.08.20 1744
6277 보고싶은 얼굴 몽당연필 2013.08.19 2233
6276 트위터에 인상 깊은 글 1 우주방위사령부 2013.08.19 2113
6275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 나루터 2013.08.19 2065
6274 모범 답안지 1 김균 2013.08.19 2096
6273 트위터에 빠진 여름 1 김균 2013.08.19 2039
6272 찬미가 제목 알려주십시오 6 묻는이 2013.08.19 2008
6271 아기자기님 2 바다 2013.08.18 1689
6270 김창호 "노무현, 국정원 홍보댓글 안된다고 지시" 2013.08.18 2101
6269 오늘 애굽과 한국의 공통점을 본다. 모퉁이 돌 2013.08.18 1744
6268 얼바리드라~ 배째라마~ 어쩔낀데~ 그래도마 또 뽀바줄끼 아니가~ 우리가 나미가~ ㅋㅋ 1 바뀐애 2013.08.18 2033
6267 초교파적 음악방송을 만들다. 최종오 2013.08.18 1974
6266 은퇴목사 류영렬님의 한탄(방송사에 수억원 내고도 방송 타지 못하는 안식교회) 1 은퇴목사 2013.08.18 2036
6265 지금은 시기상조이지만 2 file 구닥다리 2013.08.17 2009
6264 이 스님 안식교 단상에 모시고 한 말씀 듣자. 3 김원일 2013.08.17 1976
6263 높게 시작해서 슬쩍 물러나라 모퉁이 돌 2013.08.17 1824
6262 이 결혼해야 할까요? 7 결혼 2013.08.17 2007
6261 중독성이 아주 강한 복음성가(ㅅ수봉씨와 ㅇ미자씨의 합성 목소리) 2 최종오 2013.08.17 2128
6260 이 예수를 어찌 할까나....... 그러게, 어째쓰거나, 잉. 3 김원일 2013.08.16 2029
6259 오늘 시청앞으로 모입시다. 4 제리 2013.08.16 2053
6258 이집트, 오늘의 바로(Pharaoh) 김원일 2013.08.16 1637
6257 죄의식 없는 그들, 진실 규명 바랐던 국민들 ‘모욕’ 백록담 2013.08.16 1905
6256 안식교의 알려지지 않은 교리 달수 2013.08.16 2283
6255 우리 재림교회의 '원X훈'은 누구일까?ㅋㅋㅋ 4 제리 2013.08.15 2121
6254 교회는 떡집이다. 제리 2013.08.15 2204
6253 중 고등학생도 시국선언 ! 백록담 2013.08.15 1935
6252 우리교회의 전설 - 1888년 기별 13 김주영 2013.08.15 2072
6251 잠수함 타기전 잘난척 한번하기 19 최인 2013.08.15 2026
6250 역사를 읽지 못하는 세대 김균 2013.08.15 1813
6249 내일 5 김균 2013.08.15 1909
» 조선인들 ‘지옥 노동’에 숨졌는데…일 “근대화 상징” 관광개발 백록담 2013.08.15 1908
6247 유럽과 민초의 연대(連帶)에 대해 1 무실 2013.08.15 1729
6246 푸른산 푸른강님께... 8 student 2013.08.15 1810
6245 카스타 게시판의 존스와 와그너에 대해..설명부탁합니다. 1 푸른산푸른강 2013.08.15 1837
6244 국정원 수사 사실대로 발표시 "박44.43% VS 문55,14%...로 약400만표 이겼다. 여론조사 2013.08.15 3026
6243 김균의 시청 여행기. 8 네이버뉴스 2013.08.14 1839
6242 '오늘의 우리는 과거역사의 작품이다.' 김가영 2013.08.14 2135
6241 대구 대교구 천주교 506 명 신부들 시국선언 " 분노넘어 경악" 모퉁이 돌 2013.08.14 1860
6240 눈 먼자들의 도시 - 죽음으로부터 살아가야할 자들을 위하여 4 아기자기 2013.08.14 1906
6239 어둠이 빛을 이겨 본 적이 없다....시대의 등불 천주교에 감사한다. 2013.08.14 2002
6238 바람이 서늘도 하여 (별) 8 바다 2013.08.14 2235
6237 서울 시청 광장에서 느낀 것 4 김균 2013.08.14 1746
6236 사회교리의 가르침. 2 신부님외침 2013.08.13 1829
6235 이 한심한 친구들아, 이래서 촛불을 들어야 하는 거야, 알간? 1 김원일 2013.08.13 1916
6234 시원한 냉수같은 말씀을 소개합니다. file 구닥다리 2013.08.13 2282
6233 최인님! 오늘은 6시부터 아시죠? 7 남은교회 2013.08.13 1981
6232 퇴임 1 년 앞둔 노 교수님들의 ------------------------------ 백록담 2013.08.13 1951
6231 촛불 없는 촛불집회 방송 백록담 2013.08.13 1795
6230 부자감세 과대냉방 백록담 2013.08.13 1662
6229 백록담 님, 어디 계세요? 2 김원일 2013.08.13 1862
6228 놀고 자빠져있네 8 최인 2013.08.13 1603
6227 천안함프로젝트 2 김균 2013.08.12 1611
6226 풍산교회가 착각하는 것. 1 네이버뉴스 2013.08.12 1958
6225 김균 전 목사가 착각하는 것. 2 네이버뉴스 2013.08.12 1850
6224 여기더 어떻게 줄이란 말이냐? 1 file 도마123 2013.08.12 1680
6223 아담과 하와의 아직 끝나지 않은 진실게임 - 여성동지들을 위하여 15 아기자기 2013.08.12 2178
6222 연합을 해야 성령을 받는다..? 9 file 구닥다리 2013.08.12 1574
6221 우리교회 목사님들 어디 계십니까?? 안식교인인 저는 너무 부끄럽습니다. 10 남은교회 2013.08.12 1789
6220 노정렬 “내가 막말이면, 최고의 막말 김기춘 임명은 막짓” 1 막장드라마 2013.08.12 1786
6219 박근혜의 민주주의 불복 김원일 2013.08.11 1498
6218 살육현장. 말복 2013.08.11 1432
6217 인간에 대한 이해 2 Windwalker 2013.08.11 1476
6216 인간 독재자, 돼지 독재자,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김원일 2013.08.10 1810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