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9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쉼도 그 곳에서는 쉬어간다

 

 

 

1. 정조는 독서로 더위를 잊다


모두가 고전의 힘으로 더위를 이기고자 하는지 뜨거운 여름에도 인문학 독서열풍은 여전하다. 시대를 초월하여 삶의 나침반이 되어주는 책의 생명력은 손에서 손으로 이어지는 유통에서 나온다. 유통의 힘은 공감이다. 때로는 심금을 울리기도 하고 때로는 정수리에 지혜의 칼을 사정없이 들이댄다. 가끔은 앉은 자리에서 뒷목덜미 마저 서늘케 하는 피서처를 만든다. 정조대왕은 독서로 더위를 잊었고, 이덕무(1741~1793) 선비는 추위마저 독서로 이겨냈다고 했다.  어쨌거나 9월에도 늦더위가 이어지고 여전히 ‘휴(休)’를 화두삼아 살아야 할 것 같다.     

 

2. 유선방송에 ‘휴’ 채널이 생기다


2012년 8월부터 유선방송에 ‘착한’채널이 한 개 생겼다. 바로 “휴(休)”다. 청정채널이며 힐링채널이며 편안한 휴식채널을 표방하고 있다. 요란스럽지도 않고 자극적이지도 않는 내용이지만 보는 이로 하여금 심신을 편안케 해준다. 그런데 그 싱거운 채널의 시청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얼마나 세상사람들이 쉬고 싶어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하겠다. 머잖아 ‘휴’ 채널이 영상고전의 반열에 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3. ‘잘 쉬는 것’이 대세다

 

‘워크홀릭’ 즉‘일중독’이 자랑스런 훈장이었던 시절에는 설사 시간이 주어져도 놀줄 몰랐다. 심지어 휴일날에도 출근을 해야 마음이 편한 시절이기도 했다. 휴일도 출근으로 쉬는 셈이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제대로 쉴 줄 모른다는 사실이다.  일은 구체적인 모양이 있지만 쉬는 것은 제대로 모양이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야 제대로 쉬는 것인지를 알지 못했던 무명(無明)의 시절이기도 했다. 그리고 열심히 살긴 했는데 주체적인 삶이 아니라 떠밀려 살아왔다는 느낌이 늘 삶의 언저리에서 함께 했다. 이제‘잘 쉬어야 일도 잘한다’는 가치관이 보편화된 시절이다. 그래서‘휴’에 관한 노하우가 축적된 절집으로도 알음알음 찾아온다.‘휴의 본산’답게 ‘쉬는 법’으로 화답했다.

 

4. 고전 《벽암록》에 심취하다  


늘 선어록에 심취해 살고 있다. 군더더기없는 ‘돌직구’가 속을 후련하게 해준다. 심지어 롤모델인 부처님과 조사(祖師)스님마저도 들었다 놓았다 한다. 때로는 현란한 수식의 문학적 언어가 난무한다. 파격적인 방외지사(方外之士)의 격외도리는 모든 위선적 권위를 맨바닥까지 헤집어 놓는다. 읽는 이는 적지않는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그러던 어느 날 《벽암록》을 차분히 완독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선어록의 최고  백미라고  하나같이 이 책을 주저없이 추천했기 때문이다. 명불허전이란 말처럼 과연 종문제일서(宗門第一書) 였다. 먼저 번역문을 읽은 후 원문을 확인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뜻이 애매한 부분은 성철스님 성본스님 석지현스님의 안목을 빌러가면서 제대로 살폈다. 절집 최고문승(文僧)들의 애독서요, 필독서라는 풍문은 일찍이 들은 바 있다.《벽암록》을 만독한다면 그의 혀 끝과 붓 끝에 놀아나지 않을 선지식이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래서 대혜종고(大慧宗杲1089~1163)선사는 이 책을 가차없이 불 살랐던 것이다.           

 

편집벽암록.jpg

*벽암록

 

 

5.《벽암록》은 ‘휴’를 말하다

 

‘휴’의 시대에 가장 어울리는 선시 한 구절이 혀 끝에 감겼다. 판본에 따라 몇 글자가 바뀐 것도 있지만 그 의미자체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휴거헐거(休去歇去 歇: 쉴 헐)하니 철목개화(鐵木開花)니라 
쉬고 또 쉰다면 쇠로 된 나무에도 꽃이 피는구나.”
   
휴식없이 무리하게 일만 하면 몸이 피로해기 마련이다. 몸이 피로해지면 당연히 감각기관이 무뎌진다. 감각기관이 무뎌지면 그야말로 목석이 된다. 목석은 살아있어도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현장에서 위기대처능력이 떨어지고 이것이 사고나 산업재해로 연결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잘 쉬어줘야 한다는 것을 힘주어 강조한  것이 천년 전에 이미 이렇게 멋진 시로서 표현된 것이다.
성철스님은 이것을 이어받아 “휴거헐거라.... 문수요 보현이라”고 했다. 쉬고 또 쉬어야 문수보살도 되고 보현보살도 될 수 있다고 했다. 내가 제대로 쉴 수 있을 때 비로소 주변이 보이기 때문이다.

 

쉬고 또 쉬라는 말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첫째, 몸도 쉬고 마음도 쉬어라는 뜻이다.
몸만 쉬어서는 제대로 쉬는 것이 아니다. 마음마저 내려놓았을 때 제대로 쉴 수 있다. 그래서 두 번 반복한 것이다. 
둘째. 마음을 쉬어라. 그리고 마음을 쉬었다는 그 생각마저 쉬어라.
그렇게 될 때 그것이 진정한 휴식이 되는 법이다. 진짜 제대로 쉬는 것은 쉰다는 말이 필요없다. 쉬어야 한다거나 쉰다는 말에 걸려있으면 그것은 반쪽짜리 쉼이 될 뿐이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쉬어야겠다고 하면서 쉬기 시작하지만 피로가 완전히 풀리고 나면 쉬었다는 생각마저도 간 곳이 없게 된다. 전자가 보편적 해설이라면, 후자의 해설은 더욱 선적(禪的)해설이라 하겠다.  
 
6. 휴휴실·휴휴당·휴휴산방

 

‘쉬고 또 쉬어라’는 말은 정말 바쁜 사람들에게 절실하게 닿아온다. ‘휴’와는 달리 ‘헐(歇)’이란 말은 글자가 어렵기도 하고 우리말 발음도 별로 매끄럽지 못하다. 그래서 반복을 꺼리는 문사들도 ‘휴헐’ 대신에 ‘휴휴’를 즐겨 사용했다.  

 

최근 일본문화유적답사기 두권을 동시에 낸 유홍준 전 문화재청정은 제2고향인 부여에 ‘휴휴당’이란 작은 휴식공간을 만들었다. 바쁘기로는 한국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이가 자기토굴이름을 휴휴당으로 작명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이다. 부여 무량사 가는 길에 잠깐 들렀는데 작고 소박한 집이였다.  누군가 “쉼도 그곳에서는 쉬어간다”는 찬사를 남기도 했다.    

 

휴휴산방편집.jpg

*휴휴산방

 

 

재야 객필(客筆;주필의 반대말)의 고수이며 컬럼니스트인 조용헌 선생도 장성 축령산에 ‘휴휴산방’이라는 작은 글방을 마련했다. 천연재료인 황토 돌 나무만 사용했고 벽 두께가 70센티라고 했다. 특징은 지붕이 양철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비소리를 제대로 듣기위한 배려라고 했다. 그야말로 자연을 제대로 즐길줄 아는 자만이 누릴 수 있는 공간이라 하겠다.  그런데 정작 이 집을 지은 이는 당사자가 아니라 일지(一止)스님이라고 했다. 휴의 본산 출신답게 휴휴하는 공간을 제대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예로부터 집 짓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다르다고 했던가?

어쨋거나 ‘휴휴’의 원조는 절집이다, 범어사 휴휴정사는 아마 ‘휴휴’라는 말을 가장 오래전부터 걸어둔 곳이 아닌가 한다. 원래는 선원이었지만 지금은 템플스테이 공간으로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몸과 마음을 쉬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그 역할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고 하겠다. 이름이 용도를 결정한 것이다. 

 

휴휴정사편집.jpg

*휴휴정사

 

 

7. 나만의 ‘휴’를 만들자

 

사람마다 ‘휴’하는 방법이 다르다. 평소에 머리만 굴리고 몸놀리기를 싫어하는 사람일수록 오히려 몸을 움직이는 것이 ‘휴’임을 알게 해준다. 쉬는 것이 오히려 몸을 작동시키는 것이기에  이런 부류는 삼천배 절을 통해‘휴’하는 사람일 것이다. 

내가 경전을 읽는 것은 일이 되지만 잡지를 읽으면 휴식이 된다. 같은 읽는 것이지만 때로는  일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휴식이 된다. 성지순례의 인솔자가 되면 그건 일이 되지만 혼자서 혹은 도반 몇 명과 호젓하게 다녀온다면 그것은 휴식이 된다. 같은 성지순례지만 때로는 일이기도 하고 때로는 휴식이 되는 중첩의 도리가 그 속에 있는 것이다.

어쨋거나 나름대로 잘 쉬는 법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즈음 베스터셀러인 《꾸베씨의 행복여행》도 제대로 쉬는 법에 대한 이야기라고 하겠다. 제대로 쉬는 것이 행복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마음이 차분해지는 나만의 방법을 터득하라고 말한다. 
그 자신은 조용한 커피숍을 찾거나, 공원이나 집근처의 평소 좋아하는 곳을 천천히 걷거나, 음악을 듣는다고 했다. 나름대로의 명상공간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모두 ‘휴거헐거’ 하는 공간인 것이다. 

원나라 몽산덕이(蒙山德異1231~1308) 선사는 ‘휴휴암 암주’자칭하며 〈휴휴암 좌선문〉을 남겼다. 

 

“재욕무욕(在欲無欲)이며 거진출진(居塵出塵)이라
 탐진치 가득한 욕심경계에서 살고 있지만 그 욕심에서 벗어나고
 몸은 번뇌로 가득한 세상에 살지만 마음은 연꽃처럼 번뇌에서 벗어나라.”

 

그래서 결국 제대로 쉬려고 한다면 좌선이 제일임을 밝혔다. 참선과 명상의 생활화를 통하여 일 하면서 수시로 쉬어줄 수 있다면 날마다 휴가처럼 살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1
9435 기가막혀 탱크 2013.08.26 1829
9434 안타까운 탈북자 이야기 2 이흥모 2013.08.26 2012
9433 개와 고양이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6 아기자기 2013.08.26 1799
9432 檢 "원세훈, 댓글 민간요원 동원·관리 직접 지시" 1 모퉁이 돌 2013.08.27 1986
9431 여성 고무신에 좌우가 없는 이유는? file 아기자기 2013.08.27 2307
9430 金氷三 (김빙삼)옹 > 다시 보는 예언 ㅋㅋㅋㅋ 1 金氷三 2013.08.27 3025
9429 당신의 00가 궁금하다. 2 음모 2013.08.28 1878
9428 말할 수 있는 사회. 1 프로젝트 2013.08.28 1809
9427 매우 정치적이신 연합회장님? 6 김주영 2013.08.28 1905
9426 느낌 아니까 1 탱크 2013.08.28 2188
9425 전우가 남긴 한마디의 허성희와 최종오가 독도에서 만나다! 1 file 최종오 2013.08.28 2007
9424 머저리들2. 2 박휘소 2013.08.29 1969
9423 영기(靈機; Intelligent) 와 영기(靈氣; Reiki) 1 5 무실 2013.08.29 1922
9422 [평화의 연찬 제77회 : 2013년 8월 31일(토)] ‘우리의 책임과 의무’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8.29 1553
9421 김종찬 - '산다는 것은'(1995) 1 serendipity 2013.08.29 2328
9420 머저리들3. 3 박휘소 2013.08.29 1742
9419 슬픔이 기쁨에게 4 좋은말씀 2013.08.30 2005
9418 유명 목사님의 육성 사랑고백(Happy Losers) file 최종오 2013.08.31 1969
9417 내 앞에서 화살에 맞았다며 아파할 때... 4 file 아기자기 2013.09.01 1802
9416 Try to remember 2 바다 2013.09.01 1643
9415 베리칩 받으면 지옥 갈까요? 2 jhdh 2013.09.02 1901
9414 인본주의 2 김균 2013.09.03 1406
9413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2 김균 2013.09.03 1536
9412 '이석기 사건' : 종북 사냥에 대해 가장 잘 쓴 글 중 하나 김원일 2013.09.03 1772
9411 사회원로들...“국정원, 이석기 수사 여론호도용으로 악용말것 1 모퉁이 돌 2013.09.03 1380
9410 사상의 자유와 매카시즘 안티매카시즘 2013.09.03 1456
9409 노벨문학상에 추천된 허성희의 독도찬가(허성희와 최종오 진행) file 최종오 2013.09.03 2237
9408 탄자니아 다종교가 평화로운 이유는 김다해 2013.09.04 1752
9407 입이 백개라도.... 여기에, 그 잘난 입을 가진 분들 다 어디 갔나???? 9 User ID 2013.09.04 1990
9406 유신의 추억 망령 2013.09.04 1562
9405 [꼭 퍼가주세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꼭 봐야 할 동영상 <백년 전쟁> 망령 2013.09.04 1664
9404 종교 너머 아하! 재림교회에 침투한 종교다원주의.... 2 file 마린 2013.09.04 1879
9403 아씨 노씨 그리고 아씨 단군왕검 4 김균 2013.09.04 1883
9402 선사와 크리스찬 4 김균 2013.09.04 1471
9401 관리자님께 - 실종신고 2 아기자기 2013.09.04 1873
9400 세계의 알몸을 보라 3 삼식유파 2013.09.05 1730
9399 나는 꼴통이다 꼴통 2013.09.05 1755
9398 메카시즘의 광기 ( 펌글 ) - 한겨레 신문에서 7 꼴통 2013.09.05 1498
9397 평화의 연찬 제78회 : 2013년 9월 7일(토)]‘우리 역사 속에 나타난 선비들의 책임과 의무’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9.05 1660
9396 생각하고 살아가자 꼴통 2013.09.05 1328
9395 국정원 직원, '박근혜 대선캠프' 홍보글 직접 퍼날랐다 1 거지 2013.09.06 1898
9394 용감한 아가씨 그리고 아름다운 참빛 2013.09.06 2158
9393 영국도 등돌린 美 시리아 공습, 한국은? 다락방 2013.09.06 1605
9392 천암함 상영중단. 3 암흑기 2013.09.06 1729
9391 천사1515의 외침. 외침 2013.09.06 1983
9390 머저리들4(잔치는 끝났다) 박휘소 2013.09.07 1883
9389 닭털~~ 닭털의부활 2013.09.07 1595
9388 '천안함' 측 "상영중단 통보, 민주주의 후퇴" 처남 2013.09.07 1753
9387 생각할수록 우습기만 하네. 또라이 편식쟁이들만의 게시판... 3 달수 2013.09.07 1874
9386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살아가는 것 꼴통 2013.09.07 1696
9385 징그러운 목사님들 꼴통 2013.09.07 1939
» 쉼도 그 곳에서는 쉬어간다 . - 원철 스님 꼴통 2013.09.07 1961
9383 더듬이가 긴 곤충 되어 거짓말을 타전하다 4 아기자기 2013.09.07 1883
9382 천국에 가려면... 3 박희관 2013.09.08 1495
9381 "나는 왜 이석기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나" 모퉁이 돌 2013.09.08 2150
9380 나는 오늘 국정원에 신고 당했다 2 안티매카시즘 2013.09.08 1504
9379 권순호목사 vs 안드레아 보첼리 file 최종오 2013.09.08 3367
9378 천국과 지옥 - 박희관님에게 화답 1 김주영 2013.09.09 1569
9377 Herem or Hesed southern cross 2013.09.09 1284
9376 한국 천주교회가 심상치 않다 4 꼴통 2013.09.09 2053
9375 독도는 한국 땅 한국은 일본 땅 꼴통 2013.09.09 1863
9374 우리가 ‘개인’이 되지 못하는 이유 6 꼴통 2013.09.09 1794
9373 User ID 님에게 5 꼴통 2013.09.10 1413
9372 백조가 되어 날아간 학림다방 달팽이와 거위의 고해성사 2 아기자기 2013.09.10 1569
9371 예수가 목사 안반가워한다 1 김균 2013.09.10 1462
9370 생태계는 말한다 김균 2013.09.10 1618
9369 어디서 살면 제일 좋을까요? 2 김균 2013.09.11 1871
9368 어느 국문학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김원일 2013.09.11 1715
9367 때가 되면 보여 주리라. 7 박희관 2013.09.11 1486
9366 기가막혀 기가막혀 기가막혀 1 꼴통 2013.09.11 2409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