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266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름을 욕보이지 않게 하는 글쓰기 - 문법 그리고 예의법


한글학자 장석규 박사에 의하면

'이름'의 옛말은 '일홈', '일훔'이고,

'안해'의 'ㅎ'이 없어지듯이 '이롬'이나 '이룸'이 됐다가 '이름'이 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이름은 참으로 존귀한 것입니다.

요즘보다 옛날에는 더욱 그랬습니다.

그래서 부모의 이름을 함부로 이르는 일을 못하게 했습니다.

그러자니 이름은 부를 수 없고 글자를 말하는 방법을 썼지요.

요즘도 부모의 이름을 '무슨 자 무슨 자'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성(姓)까지 그렇게 말하는 이를 보는데, 그건 잘못입니다.

성도 모르는 사람에게 그의 부모 이름을 묻는 경우는 없지요.

어머니의 성은 모르니 알려 주어야 하겠네요.

그러나 그때에도 성은 글자로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옛날부터 자신의 성을 감추거나 높이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남에게 자신의 성을 말할 때 '씨(氏)' 대신 '가(哥)'를 붙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으려고 만든 게 자(字)와 호(號)입니다.

요즘에야 이름을 감출 일이 없으니 자나 호도 필요 없습니다.

제 집안 족보에는 제 가친께서 지어주신 저의 자가 적혀 있는데,

한 번도 불린 적은 없습니다.


시(詩)·서(書)·화(畵) 분야에서 삶을 경영하는 분들은 아호(雅號)를 즐겨 쓰더군요.

조선시대에는 호나 자를 쓰는 게 예의를 차리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 생각이 지금껏 이어지고 있는가 봅니다.

그러나 요즘은 조선시대가 아닙니다.

본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게 훨씬 좋습니다.


특히 듣기 어울리지 않는 과분한(?) 아호를 만들어 쓰는 것은

오히려 없느니만 못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닉네임은 별도이지만 남들이 부르기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 게 예의겠지요.


그리고 닉네임이 아무리 그럴듯하고, 주장하는바가 아무리 옳다고 해도

인신공격성 험담이나 욕지거리를 섞으면

자기 자신의 얼굴에 누워서 침 뱉는 격이 될뿐더러

글을 읽는 이들은 물론이요, 그 글에 동조하는 이들에게까지

좋지 못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야할 줄 압니다.


잘들 아시겠지만 맞춤법/문법 검사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peller.cs.pusan.ac.kr/


다음은 성(姓)에 관한 이야기 잠시.

2000년에 조사한 한국인(남한)의 성씨별 인구가 통계청 홈페이지에 의하면,

<1985년 발표 당시보다 성씨의 숫자가 12 개 늘었다.

그 때는 274개였는데, 이번은 286개가 되었다.


한국의 10대 성씨의 순위는 변화가 없었다.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 강(姜) 조(趙) 윤(尹) 장(張) 임(林)...


“김(金)” 씨는 남한 인구의 21.6%인 992만 여 명으로 여전히 제일 많았다.

“이(李)” 씨는 그보다 훨씬 적은 14.8%로 679만 여 명으로 조사되었다.

“박(朴)” 씨는 또 그보다 훨씬 적은 8.5%로 389만 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李(리, 이)'를 성(姓)으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 '李'를 대부분은 '오얏 리'라 말합니다.

그런데 '오얏'은 사투리입니다.

표준어는 '자두'입니다.


이것은 표준어 규정 제20항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에 따른 것입니다.

이에 따라 고어 '낭(낭떠러지)', '봉(난봉)', '설겆다(설거지하다)', '애닯다(애달프다)',

'머귀나무(오동나무)'는 죽은 셈입니다.

이제부터는 표준어를 써서 '李'를 '자두 리'라 하는 게 나을 듯합니다.


그런데 이 성을 영어로는 대부분 'Lee'라 쓰지요.

그러고 보니 이 성은 한국에만 있는 게 아니군요.

이소룡의 영어 이름 Bruce Lee에나, 남북전쟁 당시의 남군 사령관 Lee장군,

Edgar Allan Poe가 그리던 Annabel Lee 등에도 나오지요.


Lee를 이름으로 쓰는 사람도 있군요.

영화배우 Lee Marvin, 프로 골퍼 Lee Westwood 같은 사람처럼요.

그 유명한 비비안 리는 Vivien Leigh라 쓰니 아니군요.


그리고 우리나라 초대 대통령으로 국적이 'Japan'인 이승만은 Rhee라 썼으니

같은 집안이 아니네요. 요즘은 Yi 로 쓰는 이가 많더군요.


박찬호는 Park씨이고 박세리는 Pak씨인 것처럼요.

Bak나 Bark는 잘 안 쓰는 이유는 아시죠.^^

곽선생이 Dr. Quak 이라고 안 쓰는 이유와 같습니다.

이것은 성씨를 외국어로 표기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박씨의 주요 본관은 밀양, 반남, 죽산, 함양, 순천, 고령, 무안... 등인데,

박씨는 여러 본관 중 단 한 1건도 외래 귀화족이 없어

모든 박씨가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를 유일한 시조로 받들고 있답니다.

박노자 전까지는 말입니다.^^


여담이지만, 그래서 박노자가 러시아 박씨인지 오슬로 박씨인지 궁금했는데,

믿을만한 소식통에 의하면 박노자 박씨는 흥부 박씨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캐고 캐도 옳은 소리만 해댄다고!^^


글을 쓸 때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을 논리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또한 문법에 맞추어 쓰는 것도 중요하며

그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예의에 어긋나지 않은 글을 쓰는 것입니다.

존귀한 자신의 이름에 먹칠을 스스로하면 되겠습니까?


알지도 못하는 상대에게 반말을 쓴다든지

욕지거리를 함부로 쓰지는 말아야 할 것입니다!

같은 반말과 욕이라도 '욕쟁이 할머니'의 구수한 욕과

당신의 품위 없는 욕은 다른 의미이니까요!^^

  • ?
    방청객 2013.11.01 11:57
    옳으신 말씀 !
    민초에 그런사람 없겠지요 ?
  • ?
    아기자기 2013.11.03 16:38

    위의 글에서  "우리나라 초대 대통령으로 국적이 'Japan'인 이승만"이라고 했는데요,

    그 증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런 의식의 소유자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니

    역사 바로 세우기와 친일 세력의 처벌은 영원히 물 건너 가서 

    지금도 친일 세력의 부폐와 폭압 속에 독립인사의 자손들은 

    고난을 당하고 역사는 왜곡되어 교육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가나 교회나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지도자를 만나야 바로 서는 것입니다!


    아래는 뉴시스에서 발취한 내용입니다.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이 미국 체류 시절 국적을 일본으로 표기한 것과는 달리 그 시절 박용만, 민찬호 선생 등 다른 독립운동가들을 비롯한 절대 다수의 미주 한인들은 국적을 한국(Korea)으로 당당하게 표기한 사실이 16일 밝혀졌다.

    미국 국가기록원과 고문서보관 사이트 엔시스트리닷컴(Ancestry.com)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하와이와 LA 지역의 한인들이 제출한 1차 세계대전 징집카드(U.S. World War I Draft Registration Cards) 중 90%가 국적란에 ‘Korea’로 기재했고 나머지는 ‘China’, 드물게 ‘Japan’으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한 징집카드들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 작성한 1918년 10월을 기준으로 한 것들이다. 뉴시스가 지난 10월5일 보도한 이승만의 징집카드엔 ‘영문 이름’(Syngman Rhee), ‘생년월일’(1875년 3월26일), 직업(한국학교 교장), 하와이 주소 등 인적 사항과 함께 국적이 ‘일본’(Japan)으로 자필 기재돼 충격을 주었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당시에 한국(Korea)이라는 나라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해할 수도 있는 일”이라고 두둔했지만 미국에서 독립운동가를 자처한 그가 스스로 국적을 일본으로 기재한 것은 큰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반면 이번에 함께 발견된 동시대의 독립운동가 박용만, 민찬호 선생의 경우 국적을 ‘Korea’라고 밝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미주 한인들 대부분이 국적을 ‘한국’으로 기재했다.

    하와이에서 ‘쌀농사(Rice Planted)’ 를 짓는다고 밝힌 김명옥(당시 44세)은 자신의 한자 이름(金明玉)과 함께 국적을 ‘Korea’ 라고 적었다. 또한 하와이 호놀룰루의 노동자 김경선(44세)과 김용순(43), 김광채(43), 김성은(42), 신학대학생 김채성(40) 등 보통의 한인들도 한결같이 국적을 ‘한국’이라고 기재했다


    당시 44세였던 이승만의 아들뻘인 18세, 19세의 젊은 청년들도 국적을 ‘한국’으로 기재해 ‘일본 국적’ 이승만과 대조를 보였다. 이승만의 서류 다음다음 페이지에 나온 평양 출신의 신학대학생 18세 류창신(Ryu Chnag Shi?) 역시 국적을 ‘Korea’로 기재했다. 

    20세기 초 미주 한인들의 징집카드들을 면밀 분석한 뉴욕한국일보의 함지하 기자는 “알파벳 순서로 분류된 징집카드를 확인한 결과 당시 미주 한인들은 연령과 직업에 상관없이 거의 모두가 국적을 한국으로 기재했다”고 전했다.


    1910년 경술국치로 국권을 잃게 됐지만 절대 다수의 미주 한인들은 국적을 ‘Korea'라고 당당하게 밝히며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조국의 독립을 염원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미주한인사회에서 독립운동을 하는 지도급 인사로 알려진 이승만이 개인 징집서류에 국적을 ‘일본’으로 기재한 배경에 대해 궁금증이 일고 있다.


    그의 친일 행적을 공박하는 사람들은 “이승만의 기회주의적 행태로 미뤄 개인서류에 국적을 일본으로 표기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뉴저지 포트리의 김정태씨는 “해방 후 스승인 서재필 선생이 권력을 잡을까 두려워 음해하고 정부 수립 후엔 친일파를 적극 기용했으며 한국전쟁 때는 서울 시민을 속이고 줄행랑치고 독재권력을 휘두르다 쫒겨난 장본인을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하고 있으니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독립운동가 박용만(朴容萬) 선생과 민찬호(閔贊鎬) 선생의 징집서류에서 생년월일 등 그간 불분명했던 인적 사항이 확인돼 주목된다. 1917년 세계약소국 민족동맹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한 박용만 선생은 고향을 강원도 철원으로 밝혔고 1881년 9월27일생으로 당시 나이 37세였다. 직업을 농사(Farming)로 기재했고 ‘가까운 친척’은 아내(Y.M. Park)로, 거주지는 ‘1306 Miller St. Honolulu’ 로 당시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주소를 넣어 눈길을 끌었다.

    일련번호 1945인 민찬호 선생은 주소를 ‘318 N 28st. Los Angeles, CA’로 1878년 10월21일 출생(당시 40세)으로 기재했다. 직업은 목사(Minister), LA에 주소지를 둔 한국선교회 소속으로 돼 있다.

    1905년 목회자로 하와이 호놀룰루의 한인 교회에 초빙된 민찬호 선생은 1909년 이대위, 안석중 등과 연계, 한인 단체를 규합해 하와이와 샌프란시스코에서 동시에 국민회를 조직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NISI20131017_0008830354_web.jpg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미국 체류시절 국적을 일본으로 표기한 것과는 달리 동시대 절대 다수의 미주한인들은 국적을 한국(Korea)으로 표기했다는 사실이 16일 밝혀졌다. 미국 국가기록원과 고문서보관 사이트 엔시스트리닷컴(Ancestry.com)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독립운동가 박용만 선생과 민찬호 선생을 비롯, 하와이와 LA 지역의 한인들이 제출한 1차세계대전 징집카드 중 90%가 국적란에 ‘Korea’로 표기했고 나머지는 ‘China’, 드물게 ‘Japan’으로 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국적을 '일본(Japan)'으로 기재한 이승만의 징집카드. 2010.10.16. robin@newsis.com 2013-10-17


    NISI20131017_0008830443_web.jpg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미국 체류시절 국적을 일본으로 표기한 것과는 달리 동시대 절대 다수의 미주한인들은 국적을 한국(Korea)으로 표기했다는 사실이 16일 밝혀졌다. 미국 국가기록원과 고문서보관 사이트 엔시스트리닷컴(Ancestry.com)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독립운동가 박용만 선생과 민찬호 선생을 비롯, 하와이와 LA 지역의 한인들이 제출한 1차세계대전 징집카드 중 90%가 국적란에 ‘Korea’로 표기했고 나머지는 ‘China’, 드물게 ‘Japan’으로 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국적을 '한국'으로 표기한 김경선(40)의 징집카드. 직업을 노동자(Laborer)로 기재한 그는 한글이름도 일부러 기재해 눈길을 끈다. 2010.10.16. robin@newsis.com 2013-10-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99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98
6565 격세지감 유자식상팔자 2013.11.08 1464
6564 불이야 할 것을 도둑이야 하다가 당한 사람 시사인 2013.11.08 1286
6563 기똥찬 논설 하나--그리고, 꼴불견 대통령 5 김원일 2013.11.08 2205
6562 점심 때문에 3 초신자 2013.11.08 1581
6561 똥방각하 1 초신자 2013.11.08 1923
6560 도와주세요!! 대속죄일... 4 성소 2013.11.08 1249
6559 천지못 무식이 2013.11.08 1498
6558 철 드는 나이 철학자 2013.11.08 1600
6557 회의 최치원 2013.11.08 1634
6556 교회정치 1 최치원 2013.11.08 1588
6555 아차! 서윤수 2013.11.08 1444
6554 질문 1 서윤수 2013.11.08 1498
6553 [평화의 연찬 제87회 : 2013년 11월 09일(토)]‘은혜와 이기심’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1.07 1282
6552 [평화의 연찬 제86회 : 2013년 11월 02일(토)]‘진리와 교리’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1.07 1270
6551 기술담당자님께 질문 4 아기자기 2013.11.06 1137
6550 평신도가 대총회장 테드윌슨에게. 1 테드 2013.11.06 1967
6549 부르르~박 김빙삼 2013.11.06 2023
6548 청와대 옷 닭이 사는 환상의 섬 박도 박도 2013.11.06 1832
6547 또 하나의 반역? 아기자기 2013.11.05 1298
6546 182:61 로 가결된 반역 6 김주영 2013.11.05 1800
6545 박 희관님 3 프로테스탄트 2013.11.04 1354
6544 요즘 누가 안식일을 이야기하는가? 2 김주영 2013.11.04 1550
6543 마지막으로 10 권오장 2013.11.04 1663
6542 천국환송예배 2 김주영 2013.11.04 1355
6541 눈물 젖은 감사 1 감사 2013.11.03 1664
6540 경하 드립니다. file 박희관 2013.11.03 2014
6539 12345님께 드립니다 9 권오장 2013.11.03 1590
6538 감사의 말씀 1 권오장 2013.11.02 1570
6537 패트리어트 님, 아래 글을 삭제하려 합니다. 조금 수정해서 다시 올리시면 삭제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김원일 2013.11.02 1646
6536 HJM0108님 글에 대한 반박 3 패트리어트 2013.11.02 1621
6535 색동옷 (2)-살육 3 열두지파 2013.11.02 1346
6534 프로테스탄트 님에게 박희관 2013.11.02 1719
6533 하나님 탓, 성령 탓 2 김주영 2013.11.02 1447
6532 이 목사가 가는 좁은 길: 누구나 웬만하면 다 갈 수 있는 길? 2 김원일 2013.11.01 1491
6531 안녕들 하십니까.^^ 5 file 박희관 2013.11.01 1318
6530 패망의 징조인가? 3 이수처ㄹ 2013.10.31 1929
» 흥부 박씨와 욕쟁이 할머니 2 아기자기 2013.10.31 2266
6528 영남합회 교인인 것이 부끄럽다 20 권오장 2013.10.31 3049
6527 박지원, 朴대통령에 "윤석열 복귀가 중요" 2 영혼조작세력 2013.10.30 1631
6526 밑음이 온이유 우림과 둠밈 2013.10.30 1353
6525 이름없는 무지랭이 평신도가 대총회장 테드 윌슨에게 한마디 건넨다 3 테드 2013.10.30 1784
6524 박이 박에게 - 네가 철학을 알아? 양심을 알아? 2 아기자기 2013.10.29 1488
6523 색동옷(1)-형들을 찾아 열두지파 2013.10.28 1198
6522 종교의 타락 시사인 2013.10.28 1676
6521 가을을 남기고 떠난 사랑 - 어느 조폭 아내의 장례식 6 fm 2013.10.28 2262
6520 재림교회 최초의 여성 합회장(Dr. Sandra Roberts)의 탄생을 축하합니다! 3 아기자기 2013.10.27 2239
6519 영화 좋아하는목사가 또 영화 얘기하다. 3 김원일 2013.10.26 1460
6518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해법은 무엇인가? 1 가을하늘 2013.10.25 1256
6517 [평화의 연찬 제85회 : 2013년 10월 26일(토)] ‘나의하나님, 나의 하나님’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0.25 1498
6516 사랑할 시간도 없는데 어떻게 미움을... 11 김균 2013.10.24 1928
6515 김 K님. 원글로 올립니다. (수정, 추가) 1 달수 2013.10.24 1389
6514 블랙홀 7 김균 2013.10.23 1376
6513 민초 성선비 2013.10.23 1501
6512 십자가에 달린 예수 3 김균 2013.10.23 1301
6511 국정원, 트위터에 이어 포털까지 접수 2 영혼조작세력 2013.10.23 1292
6510 차기 국방부 장관깜 1 시사인 2013.10.23 1316
6509 민초 사이트 수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5 기술담당자 2013.10.23 1371
6508 이번만은 좀 진지하게 답을 달 줄 알았는데 12 김균 2013.10.22 1528
6507 교황이 대총회장보다 나은 이유 7 김주영 2013.10.22 3880
6506 주차장 영감과 남산 위의 저 소나무 6 아기자기 2013.10.22 1826
6505 허수아비-이정하 6 백근철 2013.10.22 2098
6504 청와대 박양의 옷 가봉 1 박양 2013.10.21 1790
6503 [국정원 트위터 논란] 새누리 "민주, 댓글 때문에 선거 졌냐"… 문제의 본질을 외면 3 벽창호 2013.10.21 1707
6502 지난 16일 미의회에서 프리메이슨에 점령당한 미국을 비판한 여인 file 피스 2013.10.19 1870
6501 빨갱이 교사(전교조) 식별법 28 빨갱이 2013.10.18 4328
6500 법원 '일베' 비방게시물 2시간내 삭제 안하면 '시간당 5만원 지급' 판결 모퉁이 돌 2013.10.18 1951
6499 달수님이 증명해야 할 문제들 6 김균 2013.10.18 1699
6498 달수 님이 '국국사이버사령부 댓글작업'을 비판하셨습니다. 그의 판단에 박수를 보냅니다 3 영혼조작세력 2013.10.17 1468
6497 "한글장려"에게 사과를 요구함. 8 달수 2013.10.17 1854
6496 나에게 뺨을 얻어맞은 안식교 목사 4 달수 2013.10.17 2025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