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529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20131217일 화요일 오후 4.

자폐아 승리가 네바다 주립대학을 졸업했다!

이건 예능인 타블로가 스텐포드를 졸업한 것보다 더 크고 의미 있는 사건이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승리가 자폐아 진단을 받은 건 중학교 1학년 때의 일이다.

아주 어릴 때부터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지만 일부러 병원을 찾지 않았었다.

아들의 장애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탓이었다.

 

승리가 중학교 1학년을 마쳤을 때 우리 가족은 미국에 들어왔다.

미국학교 진학을 위해 성적표를 발급받아보았더니 체육점수 (D)’을 제외한 전 과목 (F)’였다.

난 그때 승리에게 너무 한 과목(체육)만 편중되게 공부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라스베가스로 이사 오던 해 승리는 자폐아를 위해 마련된 특별반으로 편성이 되었다.

교사들 셋이 상주하면서 8명의 자폐아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반이다.

교육이라 봐야 집에서 가져온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아이들을 무탈하게 돌보는 일이 거의 다다.

 

그렇게 장애인 반에 출석하던 어느 해에 학교 측에서는 승리를 정상인 반으로 올려 보냈다.

우려와는 달리 승리는 고등학교를 무난히 졸업하고 네바다 주립대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했다.

 

일곱 살 때부터 지금까지 컴퓨터 게임이 삶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승리.

승리는 매일의 삶은 물론 시험 당일, 심지어는 졸업식 당일 식장에 갈 시간 직전까지 컴퓨터 게임을 했다.

그런 그가 마치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 당당히 대학을 졸업한 것이다.

 

승리는 장래에 우리 없이 혼자 생존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거리 말고는 우리 부부의 마음에 걱정거리를 준 적이 없었다.

질풍노도의 시기인 사춘기도 없었다.

권태기도 반항기도 없었다.

그렇게 승리는 언제나 우리 곁에서 있는 듯 없는 듯 잘 지내주었(?).

 

자폐아 같지 않은 자폐아 승리.

승리는 대학의 각 부서에 돌아다니면서 서류를 발급받아 OPT 신청을 했고 또 내년 여름학기부터 대학원 과정을 이수할 거라 한다.

이 모든 일을 자기 스스로 처리했다.

 

승리의 졸업식에 함께 한 축하객은 나와 승리엄마 그리고 수민이 밖에 없었다.

그래도 승리는 우리와 눈 맞추며 기쁨과 행복감을 나누었다.

또 정상인의 과정을 마친 자신을 무척이나 대견해하는 듯했다.

 

졸업식을 마치고 곧장 집으로 돌아온 승리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다시 컴퓨터 앞에 앉았다.

 

난 승리의 아빠지만 승리의 마음을 모른다.

지난 10년간...

수많았을 승리의 기구한 사연들을 그의 대학 졸업장만은 알고 있을 것이다.

 

승리는 오늘도 의연(?)하게 그만의 길을 가고 있다.

나, 승리엄마, 승리.jpg

 

졸업가운입은승리.jpg졸업식후가족사진.jpg

  • ?
    프리지아 2013.12.18 15:44
    목사님! 아드님의 대학 졸업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정말 의젓하고 든든해 보이네요.
    그동안 여러모로 힘든 시간을 보냈었으리라 생각하는데.
    이렇게 좋은 결실을 보게 된 것은 가족들의 소중한 사랑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아드님에게 하나님의 은총과 보호하심이 늘 함께 하셔서
    아드님의 꿈을 하나하나 이루어 나갈 수 있기를 기도드립니다.

    추운 겨울 늘 건강하시고 하시는 사역에
    하나님의 축복이 함께하시길 빌면서.... 힘내세요. 화이팅!!!.
  • ?
    최종오 2013.12.18 22:47
    프리지아님,
    이렇게 과분한 축하의 말씀을 받으니 정말 기쁩니다.
    승리로 인해 오히려 우리 가족이 아늑하고 편안한 시절을 보낸 것 같습니다.
    승리의 변함없고 꾸밈없는 모습이 그런 열매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어쩜 우리 곁에 오래오래 남아있을 승리라서 우린 더 행복한지 모릅니다.
    이런 승리를 우리에게 선물로 주신 하나님께 그저 감사할 따릅입니다.

    프리지아님,
    진심어린 축복의 말씀 감사합니다.
    프리지아님의 천성을 향한 순례 길에도 하나님의 복이 넘치게 부어지기를 기도합니다.
  • ?
    김종식 2013.12.19 00:12

    최 목사님,

    승리가 옆에 있다면, 꼭 안아주고 싶습니다...
    그리고 대학원에도 진학한다고 하니
    더 고맙고 기쁨니다.

    모든 가족에게 더 큰 복을 받으시는
    새로운 해가 되시길
    기도드립니다.

  • ?
    snow 2013.12.19 02:24
    What a beautiful family and a beautiful story!~
  • ?
    최인 2013.12.19 06:09
    목사님, 승리군

    무지하게 많이 축하드립니다.
  • ?
    Windwalker 2013.12.19 18:19

    기뻐하고 축하해야 할 글에 토를 달아 죄송합니다.

    "정상인"이라는 단어를 2 군데에 쓰셨는데, 그 말은
    아드님을 포함한 장애인들이 "비정상인"이라는 말로 들립니다.

    저 밑에 제가 쓴 글 "어디까지가 정상이고 어디서부터 비정상인가?"를 보시면
    제 뜻을 잘 이해하시리라 믿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뜻은 충분히 잘 이해하고 있어서 그냥 넘어 갈 수 있지만
    혹시라도 부지불식간, 편견으로 작용할까봐 한 말씀 드렸으니
    언짢게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아드님과 가족들의 노력의 결실에 축하드립니다.

    P/S 헬렌 켈러는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비정상”이라는 개념에는 차별이라는
    또 다른 폭력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그리고 장애, 비장애로 나누는 것조차도 우스운 일이다.

  • ?
    최종오 2013.12.19 23:29

    그 장애인이라고 하는 말은 제가 정의한 것이 아니고 사회에서 정의한 것입니다.
    장애인 등급판정을 받아 승리는 군대면제를 받았으며,
    또 장애인의 자격(?)으로 세금 혜택을 받는 차를 샀습니다.
    마찬가지로 장애인이기에 그들만을 위한 특별클래스를 받은 것이지요.

    사회에서 규정한 장애인을 말하는 겁니다.
    최종오가 규정한 것이 아니지요.

    마찬가지로 헬렌켈러는 사회의 한 구성원에 불과합니다.
    사회가 그의 의견을 받아들였다면 세상에 장애인이란 말은 사라졌겠죠.

    아무려면 내 자식을 장애인이라고 말하는 최종오가 더 가슴이 아프겠지요.


    승리를 보시면 정상인의 대접을 해주시겠습니까?
    이 아이가 취직은 제대로 할 수 있겠습니까?
    승리와 결혼할 사람을 구할 수 있겠습니까?

    난 24년간 승리에게 이성적 관심을 보이는 여자아이조차 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멋있는 말이 아닙니다.
    그냥 현실이 가장 우리에게 영향을 줄 뿐입니다.

    제 글은 장애인을 비하하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장애인인 승리를 소위 '정상인'이라는 사람들 못지 않은 자리에 올려놓은 것이지요.

    입학자 중에 졸업하지 못하는 친구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회적응력은 그들이 승리보다 훨씬 좋을 겁니다.
    사회적 편견이든, 혹은 사회적 정확한 판단이든 졸업 못해다는 그 '정상인(?)'들이 사회의 선택을 받기가 승리보다 쉬울 거라는 게 현실입니다.

    아픈 경험으로 체득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그런 '장애인' 승리를 자랑스러워 하는 것입니다.

    Windwalker님의 글은 저에게 보다는 포괄적으로는 사회에, 구체적으로는 장애인을 규정하는 단체나 기관에 기고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글의 내용이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내용이라 신선미는 다소 떨어집니다.

    죄송합니다.
    이런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 댓글을 달아서요.
    저도 졸필이지만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글로 누군가 토를 달아오면 본능적으로 응대를 합니다.

    물론 이성적으로 또는 이치적으로 설득력이 있는 글에는 바로 굴복합니다.

    어쨌든 저도 글 말미에 주신 축하의 말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정성들여 써주신 위의 의견도 감사한 마음으로 받겠습니다.

  • ?
    Windwalker 2013.12.20 11:48
    제 뜻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신 것 같아 한 말씀만 더 보탭니다.

    저는 장애/비장애를 논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비정상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제가 견문이 짧은 탓인지 미국에서 "정상인 반"이 있다는 말을 아직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더하여 "특수반"은 들어 봤어도 "비정상인 반"이 있다는 것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장애를 갖고 있다는 것은 현재의 사회에서 살아가기 불편하다는 것이지,
    비정상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언컨대, 미래의 사회에서는 또 천국에서는 (거의) 불편이 없을 것입니다.

    님은 장애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어떻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십니다.
    그러니 인식을 바꾸어 장애인도 더불어 같이 살 수 있다는 것을 당당하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장애인은 "정상인"의 범주에 속하지 못하는
    "비정상인" 또는 "열등한 사람"이 아니고 우리와 똑같은 사람입니다.

    우리의 "의식"을 당장 바꾸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인식"은 바꾸자는 이야기입니다.
  • ?
    최종오 2013.12.19 23:43
    글을 쓰고 나서 하루 한나절이나 지나서야 댓글을 확인할 여유가 생겼습니다.

    미국은 장애인을 위한 제도가 잘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그 제도를 잘 이용하는 사람에게만 혜택이 주어집니다.
    그런데 우린 그 제도조차 잘 활용을 못했죠.

    대학에도 장애인을 위한 조력자를 요청할 수 있었지만 우린 그렇게 못했습니다.
    미국이래도 장애인이 살아가기엔 아무래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승리는 졸업후 취업문제나 대학원 진학문제 등을 스스로 해결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일은 각고의 노력 끝에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장애인이라 표현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무실 근무자들이 승리의 요구를 무시하고 돌려보내는 일이 다반사였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는 끊임없이 그들을 찾아가 설득해서 원하는 걸 얻어내고야 말았습니다.

    한국이라면 부모가 다 해결해줄 수 있겠지만 언어와 문화가 다른 미국에서는 멀쩡한 부모라도 거의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또 대부분 맞벌이를 하느라 학교를 찾아다닐 정신적 시간적 여유도 거의 없지요.

    그렇게 승리는 미국에서 거의 홀로 서기를 하였습니다.
    이제 50을 넘긴 연약한 부모로서 승리를 바라볼 때 참으로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가 무기력해서 그를 위해 아무 것도 해줄 수 없는 날이 오기 전에 그가 완전히 독립하여 생존할 수 상태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우리의 마지막 바램입니다.

    그런 승리의 인생 마라톤 과정 중에 곁에 서서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진심어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하나님께서 동일한 복을 여러분께 선사해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재림마을에 썼던 댓글을 이곳에 올렸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0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19
6845 내가 처음 주를 만난 날 1 file 달수 2014.01.02 1604
6844 예수 그리스도가 작사한, 내가 좋아하는 노래 4 file 달수 2014.01.02 1486
6843 하루 종일 들어도 질리지 않는 연주음악, B/e/c/a/u/s/e H/e l/i/v/e/s 2 file 달수 2014.01.01 1563
6842 [평화의 연찬 제95회 : 2014년 01월 04일(토)] ‘새해 벽두 분단시대를 넘어 통일을 바라보며’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01.01 1596
6841 진실 케 하소서.!! 8 file 박희관 2014.01.01 1295
6840 지현이와 정원이에게 - 새해 아침의 간절한 바람 6 아기자기 2013.12.31 1492
6839 새해에 복 많이 받으세요! 1 file 1.5세 2013.12.31 1419
6838 옛날이 좋았더라 4 Windwalker 2013.12.31 1130
6837 아편전쟁의 패배와 중화주의. 3 백근철 2013.12.31 1362
6836 교회 청년에게 보내는 기별 6 fallbaram 2013.12.30 1312
6835 새해에는 5 fallbaram 2013.12.30 1119
6834 오늘 교과공부를 하다가 2 교회청년 2013.12.29 1877
6833 이 해(年)가 가기 전에 꼭 하고 싶었던 말(1) 7 아기자기 2013.12.29 1412
6832 우리 모두 피해자 6 김균 2013.12.29 1559
6831 [남대극/구약학박사] . . 교과해설 성소 13과 - 성소에서 얻는 권면 (놀라운 속죄/어린양의 피의 원리) 2 hm 2013.12.29 2013
6830 달수님 단상 1 카운셀러 2013.12.28 1173
6829 유대인의착각 기독교인의 착각 안식교인의 착각 1 지경야인 2013.12.28 1273
6828 배시언 선생 책 내용과 관련한 시조사에 대한 아쉬운 마음 1 장탄식 2013.12.27 1777
6827 달수님의 글에 달린 댓글을 읽고 3 winterlotus 2013.12.27 1465
6826 이 누리의 "김정은" ^^ 달수 님을 위하여 2 김원일 2013.12.27 1704
6825 개종과 개신 4 fallbaram 2013.12.27 1294
6824 또 내가보니-마지막 4 단계 fallbaram 2013.12.27 1353
6823 오늘 아침, 나에게 [감명과 가르침을 선물한 아름다운 '깊은생각님'의 '댓글'을 읽고 . . .] hm 2013.12.27 1284
6822 [평화의 연찬 제94회 : 2013년 12월 28일(토)] 다문화사회 한국에 대한 이해와 한국인 되기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2.27 1446
6821 나의 삼육학원 채용을 절대적으로, 강력하게 반대한 목사 13 달수 2013.12.26 1677
6820 접장님과 Windwalker 님. 2 file 달수 2013.12.26 1198
6819 색동옷(6) - 줄초상 열두지파 2013.12.26 1051
6818 또 내가보니-반복하고 팽창하는 성경 이야기 제 3 단계 7 fallbaram 2013.12.26 1412
6817 또 내가보니-제 2단계 (반복과 팽창하는 성경 이야기) 2 fallbaram 2013.12.26 1444
6816 또 내가보니-제 1 단계 (반복과 팽창의 성경 이야기) 3 fallbaram 2013.12.26 1540
6815 사랑해 ~ 대한민국, 사랑해 ~ 대한민국, 반달 2013.12.25 1446
6814 <<<  Happy Christmas Day To You! >>> * 말/글이 복을 부르기도 하고, 말/글이 독을 부르기도 한다. (말씀/말씨/말투의 철학) (글씀/끌씨/글투는?) 반달 2013.12.24 2623
6813 즐거운 크리스마스 입니까? Happy Christmas, if War Is Over! 9 아기자기 2013.12.24 1649
6812 최 헌국 목사와 예수 부끄미 2013.12.24 1395
6811 내시열전 클론 2013.12.24 1606
6810 똥물에 튀겨 죽일 놈과 년 2 fallbaram 2013.12.24 1588
6809 또 내가 보니-이런 도표가 3 fallbaram 2013.12.23 1572
6808 독재자 인명사전-다음에서 클론 2013.12.22 1491
6807 짐승들의 울부짖음 시사인 2013.12.22 1132
6806 박정희 와 딸을 지지 하는 사람들은. 바이블 2013.12.22 1442
6805 젊은이! . . 김정은 동지는 . . 돌발사건을 일으킬수 있는 위험천만의 인물이다. 5 hm 2013.12.21 1729
6804 지금, 청와대에서는 . . 2일전, 3일전, 4일전, 1주전, 2주전, 3주전 . . . http://www.youtube.com/user/cheongwadaetv/videos 5 hm 2013.12.21 2491
6803 이런 역사를 아는이가 있는지? 바이블 2013.12.21 1212
6802 김대중 노무현의 멀때 행위 4 바이블 2013.12.21 1343
6801 변호인....이 시대의 아픔 1 김균 2013.12.21 1230
6800 << 질병의 진짜 원인을 알아본다 >>> 1. 멀정한 교수가 치매환자가 되고, 반달 2013.12.21 1563
6799 민영이에 대한 견해 민영엄마 2013.12.20 1571
6798 “김대중 노무현 이름만 들어도이가 갈리는데 문재인이라니” - 국군 사이버사령부(사이버사)의 심리전단(530단) 요원들 1 고양이방울 2013.12.20 1069
6797 독백 (내 나름의 공부방식) fallbaram 2013.12.20 89033
6796 따끈따끈한 호빵이요 6 fallbaram 2013.12.20 1142
6795 중국 인터넷 인기글 . 3 박희관 2013.12.20 1344
6794 혈변이 나오는데... 7 홀애비 2013.12.19 1889
6793 교회에 안 갔다는 결혼하고 성장한 아들과 나눈이야기 김종식 2013.12.19 1262
6792 [평화의 연찬 제93회 : 2013년 12월 21일(토)] ‘한해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보내면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12.19 1506
6791 구름 타고 가는줄 알았는데 . 5 file 박희관 2013.12.19 1469
6790 세뇌교육 (독사와 독사새끼들) 7 fallbaram 2013.12.19 1299
6789 안녕하지 못한 사람들 시사인 2013.12.18 1242
6788 지난 1년은 몇 점? 시사인 2013.12.18 1567
» 자폐아 승리의 대학 졸업식 9 file 최종오 2013.12.18 1529
6786 조선일보 자매지 스포츠조선과 중앙일보가 소개하는 --- 변서은의 박근혜 대통령에게 "팔고 싶으면 언니 몸이나 팔아" 1 장원감 2013.12.18 1293
6785 장원감 4언시를 소개합니다. - 이대 다니는 남자’의 ‘안녕들…’ 대자보 화제 장원감 2013.12.18 1699
6784 일석 이조의 하나님 fallbaram 2013.12.18 1164
6783 북벌보다는 북학으로: 적에게 배우기 - 이상수 13 백근철 2013.12.17 1450
6782 Mr.Moss 2 winterlotus 2013.12.17 1280
6781 풍경 2 fallbaram 2013.12.17 1460
6780 하나님의 토사구팽 (안식일 이야기) 12 fallbaram 2013.12.17 1383
6779 기독교장로회 목사등 400여명 도심서 “박근혜는 물러가라” 첫 거리행진 거리로 2013.12.16 1099
6778 두 여고생의 "안녕들 하십니까? 여러분!!" 1 여고생 2013.12.16 1569
6777 떠나기로 한 분에게 무실 2013.12.16 1551
6776 갈대의 노래 fallbaram 2013.12.16 1461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