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리가 익지 않았으면 한달 늦춘다는 해석은 저는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 왜냐하면 레위기 23장에 나오는 보리 이삭은 원문을 찾아 보시면 아시겠으나 갓
> 올라온 (곡식 알맹이가 아직 이삭속에 생기지 않은) 보리 이삭을 일컫는것입니다.
> 다 익은 보리이삭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 레위기 23장에 보시면 초실절이 바로 보리이삭을 흔들고 나서 50일째 되는 날입니다.
> 첫올라온 보리 (속이빈) 이삭단을 흔들고 나서 50일이 지나면 보리 이삭이 다 익어서
> 추수하여 떡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그 곡식을 추수하여 떡 두 덩어리를 만
> 들어서 드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초실절=오순절 입니다. (출23:16)
제 글에 오해를 일으키게 하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아래의 제 글에서 초실절은 오순절이 아니라, 요제절입니다.
초실절에는 "이른" 초실절과 "늦은" 초실절이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이른/늦은"이란 단어는 인터넷에서 얻어낸 수많은
자료들 중에서 나온 것인데, 이게 그렇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용어가 아니라서 오해가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제 글 "유월/무교/초실절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절기이다"라는 글을 "유월/무교/요제절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절
기이다"라고 고칩니다. 이 점은 제가 잘못한 것이라 인정합니다.
그러나 아주 잘못한 것은 아니고, 그 초실절이라는 것은 보리 수확과
관련된 절기라고 제가 이미 부연하였습니다.
즉, "이른 초실절"은 보리 수확과 관련된 것이고, "늦은 초실절"은 밀
수확과 관련된 것입니다.
그럼, 이제 인용글에 대해서 착오가 될 만한 점을 지적하겠습니다.
> 보리가 익지 않았으면 한달 늦춘다는 해석은 저는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답변 : 이스라엘의 달력은 음력이니, 1월(현대 3월)이 되었는데도 보리가 다 익지
않는 상황은 당연히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점을 님은 "해석"이라고 하시는데,
이건 굳이 해석할 것이 아니라, 현대의 이스라엘에서도 그렇게 하는가 알아보면 될
일입니다. 보리 수확의 시기의 문제는 예나 지금이나 같은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이스라엘을 여행해본 사람들도 많을 것이고, 그곳의 학자들을 통해서도 확인
되는 내용입니다. 자, 보리가 익지 않았으면 한달을 늦춘다는 제 글을 부정하신다면,
그들의 윤달은 왜 12월과 1월 사이에 만들어집니까? 답해보십시오.
> 레위기 23장에 보시면 초실절이 바로 보리이삭을 흔들고 나서 50일째 되는 날입니다.
> 첫올라온 보리 (속이빈) 이삭단을 흔들고 나서 50일이 지나면 보리 이삭이 다 익어서
> 추수하여 떡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그 곡식을 추수하여 떡 두 덩어리를 만
> 들어서 드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초실절=오순절 입니다. (출23:16)
> 초실절은 보릿단을 흔드는 날이 아니라 오순절임을 생각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답변 : 초실절은 오순절이다, 예, 맞습니다. 애초에 제가 말하고자 한 것은
"이른 초실절"을 말하는 것이고, "요제절"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저의 착오
입니다. 그런데 요제절에 님은 익지 않은(or 속이 빈) 보리 이삭을 흔든다고 하시네요.
그렇지 않습니다. [신 16:9]에 보면 낫을 대는 첫날부터 50일을 계수하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요제절과 그로부터 50일 후가 되는 초실절은 "둘 다" 추수와 관련된 절기입니다.
"이른/늦은"이 잘못된 용어일 수 있지만, 이해하기 쉽게 다시 사용하겠습니다.
이른 초실절(=요제절)---보리 수확.
늦은 초실절(=맥추절=오순절)---밀 수확.
이렇게 되는데, 많은 인터넷 자료에도 오순절은 보리가 아니라, 밀 수확과 관련한 절기라고
나옵니다. 이 오순절은 현대력의 5월, 6월 사이입니다. 밀이 그 시기에 수확을 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님의 착오가 아닌가 합니다. 이러한 수확의 문제는 우리나라의 방식으로
판단해서는 안 되고, 이스라엘 지역의 방식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님은 무작정 우길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스라엘에서는 보리와 밀을 언제 수확하는가
알아보면서 주장을 전개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의 보리 수확은 6월임.)
[레 23:20]을 다시 읽어보십시오.
"제사장은 그 첫 이삭의 떡과 함께 그 두 어린 양을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을 것
이요...."
"킹 제임스 역"은 이렇게 말합니다.
10 그 땅의 수확물을 거둘 때에 너희 수확물의 첫 열매 한 단을....
11 .... 안식일 다음 날에 그것을 흔들지니라.
"개역 성경"에도 "거둘(추수할) 때에"라고 말하고 있으니, 다 익어서 수확된
보리의 단으로 제사 드리라는 말로 이해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게 다 익은 보리 열매의 단을 가지고 흔드는 제사를 드리라는 말인데,
님은 "빈 이삭"을 흔든다는 걸로 이해하시네요. "빈 이삭"이라는 원어의 문
제는 제가 시간 나는 대로 알아볼 것이고요,("갓 올라온 이삭"은 "처음 익은
이삭"의 의미이고, "빈 이삭"이라는 말은 님이 억지로 만들어낸 말인 것으로
생각됨.) 위에서 말한 대로, 밀이나 보리
가 실제 이스라엘에서 어느 달에 수확을 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네이버 지식에서 가져온 문답 글입니다.--------
-------- 지식 검색으로는 다들 요제절은 보리 추수와 --------
----------- 관련된 절기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901&docId=147553968&qb=7J207Iqk65287JeYIOuztOumrCDsiJjtmZU=&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xxt2lpySoVssceBkHosssssssC-475473&sid=UxxB2gpyVosAAHRjZXg
[질문]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에 대해 문의합니다.
khs**** 질문 86건 질문마감률89.8%2012.03.12 12:02추천 수 4
고대 이스라엘 성지와 관련하여 성경이해를 위해 아래의 질문을 드리오니
성지순례를 다녀오셨거나 잘 아시는 분께서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이스라엘 백성들의 농경생활은 주로 어떤 것을 어떻게 가꾸었을까요?
(지형과 기후와 관련지어서) ......
[답변]
... 보리 수확 때에는 무교절 축제를, 밀 수확 때에는 오순절을, 연말(가을)에 농작
물의 수확을 마칠 때에는 초막절 축제를 지키게 되어 있었습니다. (출 23:14-16)....
-------------------------------------------------------------
레위기 23장 17절에 보시면, 오순절때 새로 추수한 곡식 가루로 두덩어리의 떡을 만들어 하나님께 드리는 것을 '첫 요제' 라고 설명 합니다. 17절과 20절 원문을 살펴 보시면 "첫열매" 라는 표현이 두번 등장 합니다.(원어성경 참고) 그러나 10절에는 "올라오기 시작하는 이삭한단" 을 제사장은 가져와서 흔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성경 어디에도 보리가 덜익었으면 한달 유월절을 늦추라는 말이 없습니다.
님이 말씀하시는바 이른 초실절, 늦은 초실절은 성경 어디에서 지지하는 내용인지 알려 주십시요.
그리고 보릿단을 흔들고 50일뒤에는 밀로 빵을 만들어 제사 드린다는 내용은 어디에서 보신 내용인지 가르쳐 주십시요.
10절의 한글 번역 " 첫열매"를 거둘때라는 번역은 히브리어 원어를 보면 "beginning of harvest" 인데 harvest 의 원어를 찾아보시면 영어로 "peel, cassia" 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17,20절에 나오는 "첫 열매" 라는 단어는 #1061로서 말그대로 "첫열매" 를 의미 합니다.
왈수님의 연구 감사합니다. 함께 연구하여 올바르고 선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면 좋겠습니다.
이스라엘 나라의 실태를 연구하는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성경이 그 내용을 지지하는지를 살펴 보는게 더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