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4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사 관련 사진
▲  박근혜 대통령의 '투자활성화복'.
ⓒ 청와대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옷깃부터 단추까지 모두 빨간 상의.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7월 11일 2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 이어 9월 3차 회의에도 같은 옷을 입고 등장했다. 

"우리 경제에 많은 열정을 불어넣어서 경제를 활력 있게 살려야 한다는 뜻으로 열정의 색깔인 빨간색을 입고 나왔다"며 스스로 '투자활성화복'이라 이름 붙인 재킷이다. 

대선 전날 방문한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 3000 시대를 약속한 것을 비롯해,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주요 경제행사에 줄곧 빨간색 상의를 입고 나타났다. 

6월 방중 당시 경제사절단 조찬, 8월 국민경제자문회의와 중견기업회장단 오찬, 12월 창조경제박람회 개막식, 지난달 9일 외국인투자기업간담회 등도 디자인은 달랐지만, 강렬한 이미지의 빨간색 패션은 변함없었다.

취임 1년, 공식석상 의상만 122벌 

박 대통령은 예전부터 머리 스타일과 패션을 잘 이용하는 정치인으로 통했다. 육영수 여사를 떠올리게 하는 올림머리가 대표적인데, 머리카락을 여러 개 핀으로 올려 고정시킨 헤어스타일을 오랫동안 고수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중요한 순간에는 '전투복'이라 불리는 바지정장을 입은 것도 유명하다. 취임 이후 군 관련 행사에서 줄곧 카키색 외투를 입는다거나 해외순방에서 한복을 빼놓지 않는 등 패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에 적극적이다.

취임 이래 기자회견도 단 한 번뿐이었고 주요 시국현안에 대해서도 침묵하는 등 '불통 이미지'를 쌓아온 박 대통령이 지난 1년, 패션으로 또 다른 '이미지 만들기'를 해온 셈이다. 

지난해 2월 25일 취임 이후 2014년 2월 24일까지 <단비뉴스> 취재진이 청와대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에 올라온 사진을 중심으로 일일이 집계한 결과, 박 대통령이 착용한 옷은 총 122벌이었다. 공식일정에서 사진으로 찍힌 의상 가운데 중복 착용한 것들은 뺀 수치다. '패션정치', '패션외교'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임기 1년 만에 공식석상에서 착용한 옷 가짓수가 이렇게 많았던 것은 우선 옷을 자주 갈아 입은 해외순방이 잦았기 때문이다. 첫 순방지였던 미국에서 5일간 선보인 옷만 한복 3벌을 포함해 모두 10벌이었다. 2013년 9월초 G20 참석차 방문한 러시아와 베트남 국빈방문, 그리고 10월초 APEC 참석과 동남아 순방에서는 각각 13벌을 착용했다. 중국방문 3박4일에는 9벌, 유럽순방 1주일간은 무려 16벌을 갈아입어 패션쇼를 방불케 했다.

기사 관련 사진
▲  박근혜 대통령은 1년 동안 공식석상에서만 122벌의 다른 옷을 착용했다.
ⓒ 청와대 홈페이지, 페이스북

관련사진보기


대통령 순방길에만 오르면 의상 관련 보도 쏟아내는 언론 

황금색부터 분홍·초록·빨강 등 화려한 양장과 한복을 다양하게 입고 등장하니, 대통령이 순방길에만 오르면 언론은 의상 관련 보도를 쏟아낸다. 

미국 방문 때 박 대통령이 푸른 재킷을 입고 나타나자 오바마 대통령의 넥타이와 색깔이 같다며 '커플룩' 효과를 운운했고, 영국 방문 때 다홍색 저고리에 연분홍 치마를 입고 나오자 흰색 드레스를 입은 엘리자베스2세 여왕과 '색 궁합'이 맞는 패션외교라고 치켜세웠다. 

9월초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첫 공식일정으로 '한복-아오자이' 패션쇼 무대에 올랐을 때는 국내 언론 대부분이 '한복외교'라며 찬사를 보냈다.

언론은 해외 순방의 목적·의미·성과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해외반응 등을 자체적으로 취재해 보도하기보다는 청와대가 내놓는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고, 대통령의 패션 등 볼거리를 보도하는 데 치중했다. 보도라기보다는 홍보에 가까운 기사들이 많았다.

<동아일보>는 토요판 커버스토리로 4개 면을 할애해 대통령의 패션을 집중보도하기도 했다(2013년 9월 7일치 '박근혜 패션 프로젝트'). 지금까지 패션을 심층분석해 베스트와 워스트를 꼽는가 하면, 패션전문가에게 의뢰해 새로운 스타일링을 제안하기도 했다. 

기사 관련 사진
▲  박근혜 대통령 패션 관련 보도들
ⓒ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세계일보

관련사진보기


패션은 '적재적소', 정치는? 

순방 목적과 성과는 파악하기 힘든 반면 볼거리만큼은 화려했던 해외방문이 잦았던 덕분에 박근혜 정부 1년을 평가하는 주요 업적으로 '외교'가 꼽히고 있다. 물론 여성 대통령이 외국에서 한복 등으로 패션감각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다른 나라를 방문할 때 입었던 옷을 다시 입는다 해서 흉잡을 외국인도 없다.

취임 첫날 한복과 양장 다섯 벌을 소화한 것을 언론이 화제로 삼으면서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지만, 특히 보수언론이 대통령의 패션 변화에 호들갑을 떨면서 정작 주목해야 할 대통령의 공약 뒤집기 등에 대해서는 감시기능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언론이 '적재적소 패션'이라며 TPO(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를 고려해 자신이 입을 옷을 직접 결정한다는 박 대통령의 스타일링을 칭찬한 것과 달리, 지난 1년간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은 패션 센스만큼 빛나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민주화와 복지확대 등 야당의 선거공약 등을 자신의 것으로 활용했으나, 결국 종래의 '줄푸세' 기조, 곧 '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는 세우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틀고 말았다.

핵심 공약이었던 경제민주화는 자취를 감췄고, 대선 당시 호언장담했던 복지공약 역시 대부분 파기되거나 후퇴했다. 지급범위가 축소된 기초연금은 국민연금까지 흔들고, 4대 중증질환 무상의료는 '무상'이란 말이 무색해졌다. 국가가 책임진다던 영유아 보육과 교육은 중앙과 지방정부 사이 국고보조 힘겨루기 속으로 던져지고 말았다.

대통령 후보로서 내세운 공약들이 대부분 축소되고, 임기 1년차 정부의 성과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화려한 패션은 암담한 현실을 위장하는 이미지 정치나 이벤트 정치로 보일 수 있다. 

'패션 꽝' 메르켈과 '3천 켤레 구두' 이멜다의 교훈

재임시절 핀란드를 국가청렴도 1위, 국가경쟁력 1위,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1위인 나라로 만들고 퇴임 당시 지지율이 80%에 육박했던 타르야 할로넨 전 대통령은 최고 지도자답지 않은 소탈한 모습으로 화제가 됐다. 

그녀는 2002년 한국을 방문하면서 집에서 쓰던 다리미와 다리미판을 가져와 호텔 객실에서 손수 옷을 다려 입고, 호텔에서 제공한 전문 미용사의 머리 손질도 사양하며 자신이 직접 머리를 다듬었다. 2011년 대통령으로서 주최한 마지막 연회에 이미 여러 번 입었던 옷을 입고 나타나, 정치 인생 마지막까지 여성 지도자가 흔히 구사하는 패션 정치를 지양했다.

박 대통령이 대선 전부터 다방면으로 벤치마킹 했다던 독일 메르켈 총리 역시 집권 이후 고용률을 평균 60%대에서 2011년 기준 72.6%까지 끌어올리며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패션은 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11년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위에 선정되고, 지난해 독일 총리로 3선에 성공하면서 대처 전 영국 총리를 넘어 유럽 최장수 여성총리가 될 예정이지만 그녀의 옷차림은 패션이라 부를 수 없을 정도다.

기사 관련 사진
▲  같은 행사에서 세 번 모두 같은 의상을 입고 등장한 메르켈 총리.
ⓒ society24

관련사진보기


그녀는 같은 디자인의 옷을 색상만 다르게 해서 계속 입는 걸로 유명한데, 가디언은 메르켈의 의상을 채도별로 나열하며 '비극의 광경(The Spectacle of Tragedy)'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자기 체형과 외모에 적합한 몇 개 디자인을 고수하며 색상에만 변화를 주는 메르켈의 무신경함은 단골 디자이너의 맞춤복만 착용하는 박 대통령과 비교된다. 유럽 최고 음악제로 알려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방문하면서 2008년, 2010년, 2011년 세 번 모두 똑같은 옷을 입었던 메르켈의 패션을 과연 '비극'이라 할 수 있을까?

민중봉기를 부른 독재자 마르코스의 부인 이멜다는 남편과 하와이로 도망간 뒤 말라카냥 궁에서 3천 켤레의 구두가 발견돼 빈축을 샀다. 이멜다를 다룬 영화에도 3천 켤레 구두가 등장했는데 그것은 인간 욕망의 바닥을 보여준 진짜 '비극'이었다. 민주주의나 복지의 확대에는 관심 없는 박근혜 대통령의 패션 정치는 무엇으로 귀결될까?









한복이 계속계속 바뀜 ㄷㄷㄷㄷㄷㄷㄷ


한복 디자이너 돈 마이 벌듯 (내가 낸 세금으로 ㅠ)

  • ?
    그래서 2014.06.28 02:43
    닭의 국정기조는 거짓
    두어시간전 당정청에서 해경해체가 아니고 기능조정이라나
    내참 또 거짓말을 홍할배 원위치 해경도 곧 원위치되고
    즙짜내며 해경해체한다 담화는 지방선거용 1회용 쇼한거 맞고
    (사람들이 쇼한거다 즙짜면서 그렇게 말들해도 나는 설마
    그건 아닐꺼야 라고 아주 쪼금 믿어줬었다 그런데 댓통부탁으로
    청문회에 올인하는 완구놈을 보니까 악어의눈물이 맞았어)

    댓통 지가 선두에서서 선동질해 노무현대통령께서 친히 윤허해줘
    입법한 청문회제도를 지가 불리하니 도로 갈아엎으려고 완구놈이 연일
    개거품 뿜어대며 지랄 닭 이것은 사건사고터지면
    하지마 없애버려 죽여버려 가만있어 ..
    아~ 진짜 피곤해
    미쳐버리겠어 이것들 때문에
  • ?
    언년이 2014.06.28 02:57
    영국방문때 한복입고
    차에서 내리다가 깨꼬락 엎어진 사진
    조중동놈들이 안싣다가 해외언론에실려 개망신당한거
    트위터리안들이 푸고나르고 하니 그제사
    언론에도 코딱지만큼실렸던가
    여행가고 옷지랄하는게 국정기존데
    멀 바람
  • ?
    기똥차다 2014.06.28 03:27
    메르켈총리한테가서 좀 배워
    검소검약한거
    요새 옷들 기지좋아
    안닳아 안떨어져 재생해 입어라
    복지예산 싹 없애고 그돈으로 니옷값대기도
    벅차다
  • ?
    세월이 2014.06.28 05:39

    그녀가 배운거라곤 독재와거짓말뿐인것 같습니다
    국정운영은 하지않고 매일 국민들 노예만들 궁리만 하는것 같습니다
    재벌은살리고 국민들은죽이고
    매일매일 사고나지않을까
    오늘은 그어떤이가 죽지는않을까
    불안하고 조마조마 가슴쓸어내리며 살아가고있는 대한민국입니다

  • ?
    돌쇄 2014.06.28 06:08
    때리는 시어미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어쩐다고
    이들을 찬양하는 분들이 더 한심스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6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12
8035 대총회 앞에서 일인 시위 1 김운혁 2014.06.30 914
8034 김문수 패러디 -개콘 황해 패러디 김푼수 2014.06.30 999
8033 기별동창회장급으로 전락한 사람 2 김균 2014.06.30 799
8032 구원파 교주 유병언 살해설이 나도는 까닭은.. 박 끔찍 2014.06.30 859
8031 큰안식일 회복 켐페인에 참여,활동해 주세요. 김운혁 2014.06.30 822
8030 교수님께. 2 김운혁 2014.06.30 691
8029 2015 텍사스 대총회 주요 안건채택에 대한 호소: 다니엘 9장 해석에 대한 재점검 김운혁 2014.06.30 800
8028 유머 107단 할아버지 유머 2014.06.29 1035
8027 "세월호 '에어포켓' 쇼였다…유독성 공기 주입" 2 배달원 2014.06.29 714
8026 세월호 공기주입은 쇼"? 2 배달원 2014.06.29 818
8025 [충격] 당국, 세월호에 유독성 일산화탄소 공기 주입 1 기가막혀 2014.06.29 832
8024 거짓말 공화국 2 김균 2014.06.29 687
8023 신랑이 더디오므로 다 졸며 잘새 밤중에 " 보라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 !! 김운혁 2014.06.29 690
8022 2015년도 텍사스 대총회 회의에서 안건으로 채택 되도록 기도해주세요. 3 김운혁 2014.06.29 724
8021 한민구 "軍에 친북·종북 성향 간부 존재 가능성" 흘러간노래 2014.06.28 815
8020 여기 의인이신 장로님 또 한분 자살했습니다 정말 버는대로 나눔하셨던 분이셨는데... BBC 2014.06.28 915
8019 (사)평화교류협의회 '평화의 연찬' 대장정 목록([제1회] 2012년 3월 3일(토) ~ [제120회] 2014년 6월 28일(토)) -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말씀의 향연. "막히면 연구하고, 열리면 찾아가고!" (사)평화교류협의회 2014.06.28 605
8018 이런 불쌍한 박근혜.. 2 file 진짜 2014.06.28 934
8017 안성댁 옆집 사람님! 5 진짜 안성댁 2014.06.28 763
8016 재림운동에 대한 호소 김운혁 2014.06.28 601
8015 친일파 [親日派]한국 역사- 브리태니커 3 돌쇄 2014.06.28 665
8014 우리나라의 현실 (친일파의 역사) 10 돌쇄 2014.06.28 896
» 박근혜 등장으로 계속 바뀐것들.... 5 2014.06.28 744
8012 이럴수가 6 시사인 2014.06.28 838
8011 재림운동때의 두번의 대실망과 그 속에서 저지른 실수(영상) 김운혁 2014.06.27 764
8010 명성교회 수석장로 자살 파장…'비자금' 관리 스트레스 때문 속사정 2014.06.27 797
8009 안성 님의 글 삭제에 대한 설명 7 김원일 2014.06.27 764
8008 청와대 '부정 선거' 앞잡이, 정보부…어쩌다? 구라스도인 2014.06.27 687
8007 what happened in 1843,1844 and contradiction of SDA = Video 김운혁 2014.06.27 710
8006 35년만에 감동 이런 치과의사도 있다. 호순이 2014.06.27 774
8005 '세월호 알바비 6만원' 사과했던 정미홍 또 망언 "시위로 100만원 받아" 홍군 2014.06.27 716
8004 신앙인 상위 1%를 위한 방송 JLBABC의 청취 소감 모음. 1 file 최종오 2014.06.27 863
8003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시사인 2014.06.27 881
8002 [평화의 연찬 제120회 : 2014년 6월 28일(토)] “재림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5 cpckorea 2014.06.27 641
8001 만만회 시사인 2014.06.27 790
8000 우리 아버지-페이스 북에서 3 김균 2014.06.26 873
7999 자살-페이스북에서 1 김균 2014.06.26 697
7998 1800년간의 역사의 폐허 속에 묻혀 있었던 주님의 피로 세우신 안식일 김운혁 2014.06.26 658
7997 돌고 도는 물레방아 인생 시사인 2014.06.26 697
7996 뭐여? 1 뭐여 2014.06.26 778
7995 잊지 않으려..단원고 '예슬이의 꿈' 전시합니다 1 단원 2014.06.26 746
7994 이 정부 사람들에게서 오랜 만에 들어보는 균형잡힌 말 시사인 2014.06.25 673
7993 "한심하고 기가 차도다. 세월호 책임지고 사퇴한 총리 되살리고, 목소리 내는 책임총리 없다는거네. 박정희의 딸 답도다. 정치는 없다^^" - 정홍원 유임에 변희재마저 “반박할 여지가…” 잣대와 줏대 2014.06.25 667
7992 새누리당 의원들이 비난여론이 일자 뒤늦게 4 미나리 2014.06.25 740
7991 코털뽑기 1 김균 2014.06.25 784
7990 아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1 무실 2014.06.25 782
7989 [단독] JTBC 세월호 사고 당시 실제 레이더 관제 영상 입수 고의적인 살인, 추리해보시길 진실규명 2014.06.25 1032
7988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의 춘향전 해석 몬스터 2014.06.25 887
7987 `내 뜻'이 곧 `신의 뜻'? 시사인 2014.06.25 696
7986 박근혜. 다음 총리후보는-- 바로 이분 5 배달원 2014.06.24 812
7985 홍명보의 책임통감과 대통령의 책임회피 배달원 2014.06.24 623
7984 朴, '김기춘 없인 일 못해'…與 의원들, '그래도 바꾸시죠' 미나리 2014.06.24 592
7983 [트위터뷰] 김문수_춘향 이야기 만수 2014.06.24 845
7982 [조국의 밥과 법] 젊은 정치인들, 조로(早老)하지 마라 정중동 2014.06.24 511
7981 독재자의 딸 박근혜의 환관정치 국무회와 노무현의 국무회의 비교 무서운여자 2014.06.24 971
7980 안식교가 바벨론이 되었다는데 무슨 말인가요? 6 홍길동 2014.06.24 684
7979 문창극 "남북 분단은 하나님의 뜻" 방통심의위 '문창극 발언 보도' KBS뉴스 심의 신의뜻 2014.06.23 923
7978 정성근 '정치 편향 SNS 글' 삭제 논란 확산 민들레 2014.06.23 698
7977 박원순 “정몽준 네거티브, 가족이 용서하자 했다” 용서 2014.06.23 685
7976 빌어 먹을....각하의 유체이탈화법은 변함없다 1 시사인 2014.06.23 739
7975 천안함이 북한 잠수함에 맞았다고 아직도우기는 사람들 많다 시사인 2014.06.23 751
7974 문창극 사퇴, 의미도 없고 감흥도 없다!!... 배달원 2014.06.23 636
7973 목사님들 이번 안식일에 또 홍야홍야하지 말고 이런 설교 좀 하세요. 김원일 2014.06.23 874
7972 원통한 문참극 ! 3 Good 2014.06.23 609
7971 조선일보 애독자들은 필이 읽으셔야 할 기사. 특히 장기 구독자들은 필히 읽으셔야 할 기사. 특특히 목사 또는 기관 사역자로서 장기간 구독한 분들은 반드시 읽어야 할 기사 조선일보 2014.06.22 593
7970 라깡의 어깨 위에 앉은 지젝의 눈으로 본 하나님의 뜻 아기자기 2014.06.22 739
7969 문창극은 역시 '강적', 자진사퇴 거부하고 출근 2 시사인 2014.06.22 864
7968 유저님의 사고방식에 딴지를 걸면서 2 김균 2014.06.22 980
7967 보수인과 보수단체 (1)친일사관부끄럽습니다 2 민들레 2014.06.22 654
7966 문창극 총리 후보자에 대하여. 18 User ID 2014.06.22 777
Board Pagination Prev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