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폭로/김대중 노벨상 그거 로비로 받은거 아닌가? "노벨재단'그렇다


대한민국 제 15대 대통령, 김 대 중 金大中 (1924 01.06 ~ 2009.08.18)

137326374EB67CEA2E6856

2077093C4EB6885B17079E

대한민국 최초 노벨 평화상 수상

"김대중 노벨상 그거 로비로 받은거 아닌가?"

노벨재단의 김대중 로비설에 대한 답변-

'그렇다. 한국으로부터 로비가 있었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김대중 정부로부터의 로비가 아니었다.

정치적 반대자 등으로부터 상을 주면 안된다는 로비가 있었다.

그럼에도 우리는 노벨상을 주기로 결정했다'

군나르 베르게, 노벨위원회 위원장

‘이상한 한국’

난 한국인에게 노벨상을 주지말라고 한국인들에게 로비 시도를 받았다

노벨상은 로비가 불가능하게 로비를 하려고 하면 더 엄정하게 심사한다.

한국인은 참 이상한 사람들이다

김대중의 노벨상 수상을 반대하는 편지 수천통이 전달되었다

(모두 경상도에서 날아든 편지였다)"

"내가 노벨 위원회에 들어온 이래, 처음있는 일이었다.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는 나라에서

반대를 표시하는 편지가 날아온것은. 그것이 특정지역에서 날아온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을때,

나는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체 그 지역의 사람들의 의도가 무엇인지 혼란스러웠기 때문이다.

노벨상중에서도 가장 노벨의 염원을 담고있는 평화상이 로비로 받아 낼 수 있는 상이라면

과연 세계 제일의 평화상으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그 편지를 보낸 사람들에게 묻고싶다. 노벨상은 로비로 얻어낼 수 있는 상이 아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상이 얼마나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까.

그러기에 더더욱 그 가치가 찬란히 빛나는 것이다.

왜 다수의 한국인들이 김대중의 위대함과 그의 민주주의를 향한 불굴의 의지에 감명받지 못하는지

그 이유가 이해할수 없을 뿐이다"

노벨상을 받으려고 김대중이 로비를 한 것 아니냐며 집요하게 묻는 월간조선 기자의 질문에,

앞서 노벨평화상을 받았던 동 티모르의 오르타장관(현 대통령)...

'멍청한 소리 하지 말라. 김대중은 가장 유명한 독재자에 목숨을 걸고 항거한 사람이었다.

왜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위대한 지도자를 비난하는지 묻고 싶다. 질투 때문인가"

노벨상심사위원회 비상임간사인 노르웨이 스팔니치뇨 박사(노르웨이 국립대학 종신교수)는 
공평하고, 공정한 심사결과에 따른 노벨상수상을 자국의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불공정하고 부당한 수상이라고 주장하는 한국에 또다시 노벨상을 수여하는 것은 
노벨상 취지에 어긋나는 행위라 판단하여

대한민국에 '다시는' 노벨상을 수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설명.

한편 김대중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지금까지의 역대 수상중 가장 빛나는 수상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 정부 집권시기 1998~2002년 경상수지 흑자 906억 달러 증가,

연평균 181억 4천 400만 달러로 역대 최다

김영삼 정부 말기 외한보유액 '204억 600만달러'

김대중 정부 말기 외환보유액 '1천 214억 1천 300만달러' 약 5배 증가

이로 인해 세계 4대 외환보유국 진입

이는 한국이 2008 미국발 경제위기 등의 위기상황을 잘 넘기게 해준 든든한 버팀목이 됨

1999년 5월, 홍콩의 시사주간 아시아위크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 50인' 중 1위 선정

181FD0484EB68B3411B98A

IMF를 3년 8개월만에 극복, 전세계서 유일

151DC64C4EB68C750CB656

2009년 8월 18일, 도널드 그레그, 코라이소사이어티 이사장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핵 문제로 얼어붙은 북미관계를 풀기 위해 오바마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냈고

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 방문을 결심했다"

2009년 초 도널드 그레그는 김 전 대통령에게 북미관계에 난항을 겪고 있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조언의 편지를 써달라고 요청,

이에 따라 지난 5월 북한을 방문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에게 편지가 전달.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후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희호 여사에게 전화를 걸어

“나는 김 전 대통령께서 늘 하셨던 일을 발판 삼아 했을 뿐이고, 제가 할 수 있었다는 건 큰 영광이었다”

최근 방북으로 억류됐던 여기자 2명을 데려온 것이 김 전 대통령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강조.

이어 클린턴 전 대통령은 “그는 좋을 때나 나쁠 때나 나를 지원해준 친구였다”고 애도를 표하고

“김 전 대통령을 평생의 친구로 생각할 것”이라 전

2009년 9월 23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조국의 정치, 경제, 사회적 변혁을 이끈 11인의 지도자 '트랜스포머'로 김대중 선정

1525D44C4EB68E970BFA3E

2009년 12월 19일 뉴스위크 인터넷판

‘올해 세상을 떠났지만 잊혀지지 않을 36명의 저명인사'에 김대중 선정

2033C5494EB68DA2114F50

국민의 정부 때 만들어진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이 한류의 바탕

1134994A4EB68F0B2A1185

마이클 그린, 미국 정치학자

“DJ는 주변 4강과 모두 친하면서 대북관계를 개선하는,

한국에 꼭 필요하나 실현하긴 힘든 난제를 풀어낸 전무후무한 지도자

150EFD474EB68F911F78B2

돈 오버도퍼,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교수

“1980년 필자의 대담에서 일부 고위 군 관련 인사들은 김대중이 과거에 북한의 사주를 받았거나

현재까지도 사주를 받는 공산주의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 중 대다수는 김대중을 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었다.

김대중과 여러 차례에 걸쳐 인터뷰해온 필자로서는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주장을 믿지 않았다.

1980년대 말 CIA 전문 요원 출신인 제임스 릴리 주한 미 대사는 김대중의 과거 행적을 면밀하게 조사한 뒤

그가 공산당에 가담했다는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160596474EB68FDE33B9C5

앨빈 토플러, 미국 미래학자

“아내 하이디와 저는 대통령께서 최근에 아프시다는 소식에 마음 아파하고 있다.

대통령께서 쾌차하셔서 내외분과 저희 부부가 다시 만찬을 할 수 있기를 간절히 희망했다.

수년 전 대통령과 가진 첫 만남 이래 대통령님을 계속 깊이 존경해 왔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을 세계의 모범국가로 변화시키신 분이다.

무슨 일이든 저희 부부가 도와드릴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주저 없이 불러주시기를 기대한다”

1671BB344EB6906B04C9A2

노엄 촘스키, MIT 언어학과 교수

"오랜 기간 존경해왔다. 그는 남다른 용기를 갖고 일관되게 한 생을 산 사람이었다.

그의 삶은 한국과 세상 모두에 위대한 공적을 남겼다"

195ECF334EB690AA1472D5

에즈라 보겔, 하버드 대학교 명예교수

“햇볕정책을 만들어낸 비전, 남북한, 중국, 일본, 그리고 서구 세계와의 화해 추구 노력을 존경한다.

김 전 대통령은 우리시대의 진정한 위인 가운데 한 분이다"

125373334EB690E73056C2

로버트 루빈, 前 미 재무장관

“한국이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극복한 것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리더십이 큰 역할을 했다.

(현재 미국 경제가 위기상황인데) 미국 대통령에 출마하면 어떻겠느냐?"

125EAB334EB691181ADE8E

헨리 키신져, 前 미 국무장관

“위대한 비전, 위대한 상상력을 가진 인물이다"

195270464EB691B11A7C9F

다이안 파인스타인, 미 상원의원

역사 속의 인물인 김대중 대통령과 같은 비전을 가진 분을 지도자로 가진 한국민은 행복하다

134BEF464EB691E61F41D4

제임스 울펀슨, 前 세계은행 총재

“엄청난 탄압에도 좌절하지 않고 마침내 자신의 뜻을 이뤄낸 김대통령은 만델라의 삶을 연상시킨다

민주화뿐 아니라 경제의 재구축에 성공하고 있는 김 대통령은 세계를 감동시키는 지도자다”

182A21404EB6924C3A6608

미셸 캉드쉬. 前 IMF 총재

한국은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두고 있다는 자체를 행운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경제위기를 맞아 몇가지 고비가 있었지만 IMF와 미국 그리고 국제사회 전반은

김 대통령을 믿고 한국을 밀어준 측면이 적지 않은게 사실이다

186CA1364EB6930C3469B5

마이크 디버, 레이전 前 미국대통령 특보

“김 대통령은 메이크 업이 필요 없는 논픽션 드라마의 인생을 살아왔다.

이름 석자만 갖고도 국제사회에 영향을줄 수 브랜드다"

1171B7344EB6937E21BA8C

김대중 전 대통령의 미국 망명 시절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펴낸 '대중경제론' 과 '3단계통일론' 은

하버드 대학교의 교재용으로 번역 출간

197BD93B4EB694330A7E5D

리오넬 조스팽, 前 프랑스 총리

“김대중 대통령은 나에게 살아가야 할 힘, 살아가야 할 도덕적 스승이자 길잡이다

185E5D464EB694C70D8EF7

요하네스 라우, 前 독일 대통령

“김 대통령에 대한 존경심이 독일이 한국의 금융위기 때 한국을 돕는 동기가 됐다”

1634A43E4EB6950E018B8C

오마에 겐이치, 미국UCLA대학 교수, 경제평론가

“김 대통령처럼 한국 경제에 공헌한 대통령은 없기 때문에 한국민은 떠나가는 김대중을 마음으로부터 감사해야 한다.

세계에서 단임 5년에 지금처럼 많은 변화를 이뤄낸 대통령은 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5년 사이에 한국 경제를 V자 회복 시킨 김 대통령은 희대의 명대통령이다

블룸버그, 세계적 경제전문 통신

“김 대통령은 경제ㆍ정치ㆍ외교 분야에서 이룬 업적으로 반세기 역사상 가장 훌륭한 대통령으로 남을 것이며,

77세의 김대중은 한 세대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지도자의 업적을 이뤘다

19049A3F4EB695E90F6183

조지프 바이든, 미국 부통령

"가장 존경하는 지도자는 김대중"

호콘 망누스, 노르웨이 황태자

“김대중 전 대통령이야말로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그 자체를 살아오신 분"

152E714C4EB6974F3B3641

에리크 손하임, 노르웨이 환경개발주 장관

저의 개인적 영웅이다. 다른 나라에서 하지 못했던 평화에 대한 많은 일을 하셨다”

14630B4A4EB6978D044319

요한 갈퉁, 평화학자

그는 좌파도 우파도 아닌 ‘중도’이며 대단히 인도주의적인 인물이다

160928344EB6980B0A300C

리하르토 폰 바이츠체커, 前 독일 대통령

친구를 넘어 인류애를 갖춘 인격자

1403CD384EB698610C05AE

노르베르트 람머트, 前 독일 국회의장

“독일에서 김대중만큼 영향력 있는 한국인은 없다”

에곤 바르, 前 독일 경제협력부 장관

“김대중 대통령이 지구 상에 마지막 남은 최악의 분단을 극복해 냉전시대에 종말을 고하고,

평화와 긴장완화,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대북정책을 추진해온 것이 한국인들에게는 커다란 행운이며,

남한과 북한에서 제기되는 수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 민족에게 미래의 희망을 주는 정책을 끝까지 추진하는

김 대통령의 끈기에 탄복했다. 노벨 평화상 수상은 이에 대한 국제적 인정의 증표다"

하르무르트 코쉭 독일 연방하원의원은

김 대통령의 개혁 성과, 남북화해를 위한 기여를 기리고자 책자를 발간하게 됐다면서

퇴임 후 적절한 시기에 독일과 유럽을 방문해 강연 등을 해달라고 요청

폴커 뤼헤, 독일 하원 외무위원장

“유럽에서 김대중 대통령과 비교될 만한 인물은 '하벨'과 '바웬사'정도일 것,

그러나 이들보다 더 큰 고통을 받은 김 대통령이 일관된 원칙을 세워놓고 꾸준히 추구해온

김 대통령의 인생에 관해 엮은 책을 젊은이들이 꼭 읽어야 한다

코트프리트 카를 킨더만, 뮌헨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최근 한국 내에서 김 대통령이 이 획기적 계기 마련을 위해 물질적 수단을 투입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으나

과거 서독 정부도 동서독 관계를 완화하고 생활수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동독에 물질적 지원을 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싶다

1538C0484EB6992E40FA69

울리히 벡, 독일 뮌헨대 교수, 사회학자

“분명한 분석, 설득력 있는 주장에 놀랐다. 많은 정치가들을 만나보았으나

이렇게 명확한 비전을 가진 분은 만나지 못했다. 완전히 설득당했다

20011년 폭로 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에서 공개한 김대중에 대한 미국 대사관의 평가

'세계적으로 알려진 정치적 인물로, 외교 정책의 모든 측면에서 능숙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에도 해마다 세계 각국의 정상급 인사와 지도자들과

신년 우편을 주고 받아 왔으며 2009년에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을 비롯해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

아키히토 일왕, 아버지 조지 부시 대통령, 교황 베네딕토 16세, 호콘 망누스 노르웨이 황태자 부부,

미국 하버드대의 드루 길핀 파우스트 총장 등에게 연하장을 받았으며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은 새해 선물을 보냄

12365F3A4EB685391F26F2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후 전세계 저명인사들의 애도 -

164AA4504EB6997C34D211

교황 베네딕토 16세

“서거한 김 전 대통령의 영혼을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에 맡기시며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하는 모든 대한민국 국민에게 평화와 힘을 주시도록 하느님의 축복을 진심으로 간구한다”

13488A4D4EB699B521878E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용기있는 민주화와 인권 투사인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슬픔에 빠졌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의 역동적인 민주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운동을 일으키고 이끌어 오는데 목숨을 바쳤다

그의 조국에 대한 헌신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칠 줄 모르는 노력,

자유를 위한 개인적인 희생은 고무적이며 결코 잊혀지지 않을 것"

켈리, 미국 국무부 대변인

"김 전 대통령은 한국 국민의 민주주의 열망에 영감을 일으킨 지도자이자 상징이었다"

1924503C4EB69A0E3834B9

빌 클린턴, 前 미국대통령, 김대중짱팬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용감하고 강력한 이상을 가진 지도자였다.

한국이 심각한 경제위기를 넘어서게 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을 닦고 국제적으로 인권을 보호하는데 앞장섰다.

김 전 대통령이 대통령이 된 후 나는 남북한의 화해를 위해 그와 함께 일하는 영광을 누렸다.

햇볕정책이 한국 전쟁 이후 어느 때보다도 영속적인 평화에 대한 희망을 제공했다

부인 힐러리와 나는 우리의 좋은 친구였던 김 전 대통령을 그리워할 것이다"

196872354EB69A700AB8FE

에드윈 퓰너, 미국 보수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 대표

“김대중은 진정 역사적인 인물이었다. 오늘 한국은 거인을 잃었고, 나는 절친했던 벗을 잃었다

187211334EB69AA62F3005

잭 프리처드, 한미경제연구소 소장

“김 전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한국 민주주의의 얼굴로 기억될 것이다. 비단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는 사실 뿐아니라

한국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통찰력을 지녔다는 점에서 그의 비범한 삶 전체가 기억될 것이며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보여준 김 전 대통령의 리더십과 역사적인 평양방문은

그가 남긴 현란한 유산 가운데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151DC64C4EB68C750CB656

도널드 그레그, 前 주한미국대사

“50여 년간 아시아와 관련된 일을 해오면서 내가 만난 가장 위대한 아시아인 3명이 바로

김 전 대통령과 중국의 덩샤오핑, 싱가포르의 리콴유였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에 강력한 민주주의를 가져왔고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의 화해를 향한 중대한 진전을 이뤄냈다.

시간이 갈수록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와 명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확신한다"

180510334EB69AEE0D32AB

제임스 레이니. 前 주한미국대사

“평생을 민주화와 한국의 발전 그리고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 헌신해온 분이며

노벨 평화상을 충분히 받을 자격이 있는 분이었다고 본다.

김 전 대통령은 삶 자체가 민주주의와 인권향상을 위해 헌신한 삶이었으며,

특히 수십 년간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우며 투옥을 당하는 등 민주화 투쟁의 상징이었고, 영웅이었다

146BA5504EB69B610179EA

엘리자베스 2세, 영국여왕

“김 전 대통령의 1998년 런던방문과 그 다음 해 이뤄진 저의 공식 방한 당시의 행복한 기억이 떠오른다.

김 전 대통령은 세계 민주주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중요한 분이고,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노력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해 정말 기뻤다”

204604484EB69BB533DC8F

고든 브라운, 영국총리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비통한 마음 금할 길이 없다.

김 전 대통령은 격동의 시기에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아시아 금융위기 시에는 한국의 빠른 경제 회복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평생을 헌신하신 분이며,

김 전 대통령은 2000년도에 한반도 평화 조성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최근에도 김대중 평화센터를 통해 세계 인권수호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영국 정부를 대신해 이명박 대통령과 한국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

136CD34B4EB69C51012506

아소 다로, 前 일본 총리

“김 전 대통령의 업적에 깊은 존경심을 표한다.

김 전 대통령과 일본 정계 지도자들이 합심해 2002년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를 포함해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지대한 공헌을 했다”

가와무라 다케오, 前 일본 관방장관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일 관계를 비약적으로 진전시킨 대통령으로 한일 파트너십을 선언하고 문화교류를 진전시켰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前 일본 총리

“한국의 현대 정치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김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일본 국민을 대표해 심심한 애도의 뜻을 전한다.

특히 남북통일에 대한 염원을 바탕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는 역사에 길이 남을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고,

이를 계기로 노벨 평화상을 받는 등 아시아를 대표하는 지도자로서 손색이 없을 만큼 훌륭한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한일 양국의 외교관계 개선에도 큰 기여를 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민주당 前 대표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며, 한국 근대화에도 큰 공헌을 하신 분이다.

김 전 대통령의 비보를 듣고 놀라움과 슬픔을 가눌 수 없다"

코노 요헤이, 前 일본 중의원 의장

국내외를 통틀어 가장 존경하는 선배이자 친구였다"

1746BA484EB69CC3393781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중국 정부와 국민은 그가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 쏟았던 노력을 잊지 않을 것이다"

장쩌민, 前 중국 국가주석

“김대중 선생님은 나의 오랜 벗으로 중한관계 발전을 위한 그분의 공헌을 잊지 못할 것이다"

196DBE4E4EB69D110D9EE0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의 국경을 넘어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정치인이자 민주주의자였다.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업적은 잊히지 않을 것이다.

독일과의 오랜 인연으로 독일인들의 마음에 깊이 새겨져 있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독일연방공화국은 좋은 친구를 잃었다.

그는 대통령 재임기간 양국관계의 심화와 교류강화를 통해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160928344EB6980B0A300C

리하르트 폰 바이츠체커, 前 독일 대통령

“나의 오랜 친구인 김대중 전 대통령과 쓰라린 아픔으로 작별하게 됐다.

김 전 대통령은 불굴의 용기, 자유 민주주의를 위한 사랑,

그리고 무엇보다 한민족 전체의 평화를 위한 탁월한 기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모범이 됐다”

베르나르 누슈네르, 프랑스 외교부 장관

“김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평생을 바쳐 지칠줄 모르고 투쟁한 용기있는 정치인이었다.

그는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이 같은 중요한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헌신하고 있는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지도자다”

2061C7354EB69DBE3051CB

미하일 고르바초프, 前 소련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자

“저명한 정치인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전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전해 들어 매우 애통하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의 인권과 민주주의 형성, 한반도의 평화조성에 큰 기여를 했다.

그의 정치적 행보는 평화, 민주주의, 자유, 인권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그랬기에 그는 대통령에 당선된 것이다.

오래전부터 김 전 대통령을 알아왔고 그의 용기와 선견지명을 매우 높게 사 왔다.

그는 대통령 임기 말 건강에 문제를 겪으면서도 한반도를 재결합시키면서 남북문제 해결책을 계속해서 찾았다.

김 전 대통령은 우리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포럼 공동 업무에도 많은 힘을 쏟았다"

140BA3334EB69E3A0FFC28

넬슨 만델라, 남아공 前 대통령의 만델라 재단

"우리는 그가 인권을 위해 싸우고 북한과의 화해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기억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을 찬양하자는 게 아닙니다

국민의 정부, 대통령으로서의 김대중, 당연히 완벽하진 않습니다. 못한 부분들 분명 존재합니다.

그러나 친일, 남로당, 독재의 역사를 가진 박정희 조차도 찬양하고 그의 업적은 인정해주자면서

김대중과 같은 인물을 제대로 보지 않고 넘어간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왜 우리는 이런 위대한 인물을 가졌음에도 자랑스러워 하지 않는 것입니까,

국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세계인들에게만 인정받아서야 되겠습니까?

최근 들어선 일부 넷상에서 슨상님 따위로 비하되며 희화화 될 인물 정도로 밖엔 인식을 못하는

이 한국민의 수준이 참으로 애통합니다

출처 : http://m.cafe.daum.net/thrive88/7nrc/10938?q=%E6%BA%90%C2%8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90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3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2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31
8105 나는 왜 사민주의자가 아닌가? 김원일 2014.07.12 589
8104 불자와 신자 모두에게 드리는 말 3 배달원 2014.07.12 591
8103 英 데일리메일, '우스꽝 월드컵' 명장면 TOP 10 우스꽝 2014.07.11 915
8102 큰안식일 회복 운동을 위한 호소문 13 file 김운혁 2014.07.11 766
8101 [평화의 연찬 제122회 : 2014년 7월 12일(토)] “성경에서 理와 氣를 만나다 -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김한영 장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cpckorea 2014.07.11 652
8100 DJ-盧정부 조직 하나하나 되살리는 朴정부 ... 이건 신문이 아냐 "동아일보" 박비어천가 2014.07.10 598
8099 Erik Ravelo 작품 패러디(박근혜 등 뒤에 걸린 아이) 1 에릭라벨로 2014.07.10 1892
8098 JTBC ‘손석희 NEWS9’ 8시 이동 검토한다 1 손짱 2014.07.10 740
8097 어또케 이런 작자가 아나운서며 정치를 한다고 떠들고 다닐까? +++ 정성근 “조국·공지영 ‘종북’ 글 장관 내정 후 지웠다” 3 캐로로 2014.07.10 700
8096 영산강에 서식하는 희안한 동물. 자연인님에게. 1 왈수 2014.07.10 607
8095 천주교에 대고 한마디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하라. 666, 적그리스도, 일욜흄녕 같은 소리 집어치우고. 2 김원일 2014.07.09 855
8094 개인회생 및 파산에 대한 무료상담 안내 김남윤 2014.07.09 595
8093 내라면 9 김균 2014.07.09 758
8092 국회에서 열린 개그 콘서트. 청문회 2014.07.09 659
8091 시진핑 서울대 강연 짚어볼 사항-한반도 비핵화와 북핵의 차이는 무었인가 ? 은유법 2014.07.09 682
8090 재림교회 성도 1천만명 중 단 한명도 답을 알지 못하는 기산점 5 김운혁 2014.07.08 778
8089 [김용민의 그림마당]2014년 7월 9일 1 만평 2014.07.08 945
8088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은 어디 있었나? 1 배달원 2014.07.08 842
8087 박 대통령에게 직격탄 날린 유시민 - "박 대통령은 혼군… 이 상태로 후반기 보낼 것" 주장 혼군 2014.07.08 759
8086 세월호 가족들 “인터뷰 물의 홍가혜씨 처벌 안 원해” 탄원서 4 진리 2014.07.08 738
8085 유시민 “박 대통령은 폭군 아닌 ‘혼군’”···‘어리석은 임금’ 직격탄 알라딘 2014.07.08 591
8084 우리는 하나 미주지역 북한선교 소식지 5호가 나왔습니다. 평교협 2014.07.08 788
8083 유시민 "朴 대통령은 혼군, 지금처럼 계속 갈 것" 알라딘 2014.07.08 581
8082 예수님이 서기 31년도에 돌아가셨다는 오류를 지난 151년동안 믿어온 재림교회 그리고 그 실마리 1 김운혁 2014.07.07 818
8081 해학과 감동의 어우러진 사무엘서 해설. 1 최종오 2014.07.07 885
8080 '못된' 국정원, 국정원장 청문회서 '야당 사찰' 들통 --- 새정치 "야당 의원 사찰" VS 새누리 "관행이었다" 1 관행? 2014.07.07 638
8079 예수 믿으면 안 되는 팔자 1 김균 2014.07.07 1028
8078 혼자 살 팔자 김균 2014.07.07 1867
8077 한반도평화포럼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서명운동'에 함께 합니다. 참여합시다 2014.07.07 635
8076 일본 장학금 받는 한국 단체와 학자들 공개. 1 각시탈 2014.07.06 761
8075 일요일 휴업령 같은 소리 3 은하수 2014.07.06 18468
8074 [부고] 고 정진실사모님 (김성래 목사님의 부인) 주 안에서 잠드셨습니다 1 admin 2014.07.06 18614
8073 박근혜정부가 그래도 가장 잘하는 정책 3 3초만 2014.07.06 715
8072 軍사이버사령부가 숨긴 정치댓글만 2~3배 이승만 2014.07.06 466
8071 재림 성도 여러분 5 김운혁 2014.07.06 604
8070 낙동강서도 '큰빗이끼벌레'…"4대강, 호수됐다 자연인 2014.07.06 1654
8069 영산강에 서식하는 희안한 동물. 6 자연인 2014.07.06 14736
8068 지상파 3사 ‘김명수, 정종섭이 누구?’…장관 후보자 검증 침묵 바른 2014.07.06 591
8067 [동영상 뉴스]“또각또각 구두소리가 좋아” 단원고 박예슬전시회 ... 다시 예슬이를 마음에 내딸 2014.07.06 18358
8066 거짓말탐지기를 속인 여간첩? 2 배달원 2014.07.05 696
8065 4월 16일 서울신문 보도 구조된 승객들 증언 배달원 2014.07.05 635
8064 재림성도 여러분!! (이글을 여러분의 지인들과 함께 나누는 것은 하나님의 사업 입니다) 1 김운혁 2014.07.05 750
8063 국정원 간첩증거조작 사건 협력자, 유우성에 사과 “국정원과 검찰을 도와준다는 어리석은 생각뿐”.............간첩은 이렇게 '탄생'한다 7 빨갱이 2014.07.04 605
8062 당신의 목사는 "창녀"에 대해 설교한 적 있는가. 30 김원일 2014.07.04 1089
8061 안식교 목사가 적그리스도의 교회인 로마천주교의 성모 마리아 상 앞에서 기도 하였다 10 홍길동 2014.07.04 905
8060 쉿 조용히 있어 모두 1 file 가만있어 2014.07.04 805
8059 뜨거운 열정으로 ‘게일 숨결’ 따라 잡았다 최창규 2014.07.04 745
8058 박혜경 - Lemon Tree (Official Video) serendipity 2014.07.04 860
8057 33년 만에 돌아온 김추자! / YTN serendipity 2014.07.04 799
8056 고충진 정달숙 부부 기타듀엣 - 엘 빔보(El Bimbo) serendipity 2014.07.04 996
8055 고충진 - 기차는 8시에 떠나네(The Train Leaves At Eight) serendipity 2014.07.04 803
8054 세월호 ‘레이더 잡힌 이상물체’는 무엇인가…의혹 여전 진실 2014.07.03 630
8053 이재오는 어떻게 '모난 돌' 김홍신을 쫓아냈나 1 모난돌 2014.07.03 711
8052 아직도처녀를업고있느냐 1 느티나무 2014.07.03 925
8051 [평화의 연찬 제121회 : 2014년 7월 5일(토)] ‘평형수’ 이야기 좀 합시다. 최창규장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07.03 835
8050 큰안식일 회복 운동에 대한 호소 : 교회 지도자분들께 김운혁 2014.07.03 776
8049 이 사람을 누가 뽑았나? "박 대통령 지지율 30%대로 급락…새누리 지지율보다 낮아져" 궁민 2014.07.03 658
8048 챔피언의 자전거 3 file 김주영 2014.07.03 767
8047 천성을향하여 1 느티나무 2014.07.03 739
8046 이래서 '가수 김장훈'이야~! 김장훈이간다 2014.07.02 788
8045 "이제 당신들을 위해 소리내지 않겠다" 5 가만히있겠다 2014.07.01 911
» 폭로, 노벨재단/김대중 노벨상 로비로 받은거 그립고애통한 2014.07.01 1105
8043 고려대 경제학과 장학생 故 김지훈 일병 父 "단추 하나로 시작된 아들의 죽음 가해자의 누나는 유명 탈런트 한ㅎㅈ 남동생 한 ㅎ ㅈ 2014.07.01 1492
8042 입장바꿔 생각할 때가 된 것같다 2 시사인 2014.07.01 731
8041 북한하고 붙으면 이길까? file 김균 2014.06.30 851
8040 조용한 날이 없다 file 김균 2014.06.30 966
8039 안식교는 어떤 교회입니까? 이단입니까? 안식일, 지옥, 제칠일? 4 우리는이단인가 2014.06.30 821
8038 노무현 대통령의 글쓰기 1 김균 2014.06.30 1083
8037 6월 30일 국정조사특위 보고에 대한 후기 배달원 2014.06.30 577
8036 국민에 눈높이와 미운 7살 1 배달원 2014.06.30 7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