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1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09349&PAGE_CD=N0004&CMPT_CD=E0019



기사 관련 사진
▲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와 소속 의원들이 6월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 로텐더홀에서 19대 하반기 상임위에서 교섭단체의 진보정당 환경노동위원회 배제에 항의하며 무기한 연좌농성에 돌입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19대 국회 후반기 상임위원회(아래 상임위)가 결정되었다. 근 한 달 어느 상임위가 될지 알 수 없어 가슴 졸이던 상황이 종료되었다. 우리 의원실은 다행히 원하는 상임위에 배정되었지만 그렇지 않은 의원실도 있다. 상임위 변동에 따라 보좌진이 교체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은 2년에 한 번 원 구성 때마다 반복되는데 늘 당혹스럽다.

내가 속한 정의당은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에서 배제된다는 소식에 의원단 전원이 국회 본청 로비에서 농성을 하기도 했다. 환노위 정수는 15인인데 이중 8석은 새누리당, 7석은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배정하고 비교섭단체는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전반기 정수도 15인으로 동일했지만 새누리당 7석, 새정치민주연합 7석, 정의당 1석이었다. 양당이 동일한 숫자이므로 정의당 1석은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의석수 비율에 따라 결정했다지만 새누리당이 야당보다 단 1석이라도 많은 8석을 고집했다는 말이 많았다. 

결국 정의당의 강력한 항의에 정수를 16인으로 늘려 새누리당 8석, 새정치민주연합 7석, 정의당 1석으로 결정했다. 여야 동수 구성으로 한발 물러난 것이다.

정의당은 왜 국회에서 농성했나

과거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16대 국회인 2001년의 일이다. 상임위 배정과 관련해 국회의원이 국회의장을 상대로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했다. 당시 한나라당 김홍신 의원은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이었는데 당사자 의사와 무관하게 한나라당 대표의원(이재오 의원)이 환노위 박혁규 의원과 맞바꾸는 사·보임 요청서를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 의장이 이를 결재하자 김 의원은 국회의장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김 의원은 '건강보험 재정분리법안'에 대해 당론과 다르게 반대하고 있었다. 한나라당 의원이 8명, 민주당과 무소속 의원이 7명이었던 복지위에서 김 의원의 1표는 의결 정족수를 좌우하는 캐스팅 보트였다. 당론과 다르게 소신대로 행동한 김 의원이 강제 사·보임된 날 해당 법안은 한나라당 당론대로 의결됐다.

이 사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국회의장은 해당 의원이 소속된 정당 대표의원의 요청에 응한 것이므로 헌법 및 법률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기각했다. 하지만 '국민의 대표'로 자유위임의 권한을 부여받은 국회의원의 상임위 강제 조정은 대의제 민주주의의 기본원리에 반한다는 논쟁이 있었다.

우리나라 국회는 '위원회 중심주의'다. 법안 등 안건은 본회의 심의 전 상임위에서 예비적으로 심사하는데 대체로 상임위에서 통과된 그대로 본회의에서 의결되기 때문이다. 법안 발의야 상임위와 무관하게 할 수 있지만 법안 통과는 소속 상임위원이 훨씬 유리하다. 해당 상임위 위원들을 설득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상임위 위원이 되느냐는 의정활동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다. 원 구성에 앞서 소속 정당에 희망 상임위를 신청하면 전문성 등을 고려해 배정하는데, 여기에도 의원들이 선호하는 상임위와 그렇지 않은 상임위가 있다.

상임위 전체 인원을 몇 명으로 할 것인가는 '국회상임위원회 위원정수에 관한 규칙'을 따른다. 그런데 이게 딱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편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2013년에만 3번 개정됐다. 이번에도 외교통일위원회 정수를 1석 줄이고, 환노위 정수를 1석 늘리도록 했으니 규칙을 개정해야 한다.

현재 국토교통위는 무려 31석이다. 환노위는 16석으로 국토위의 절반에 불과하다. 지역구 예산 배정에 유리한 국토위는 지원자가 많고, 환노위는 하고 싶어 하는 의원이 적기 때문이다. 17대만 해도 건설교통위(현 국토위)가 26인, 환노위 16인으로, 두 배까지 차이가 나지 않았다. 18대에 국토해양위는 29인으로 늘었고, 환노위는 15인으로 줄었다. '노동 없는 민주주의'는 이렇게 표현된다.

의원들이 희망하는 바를 고려하지 않는 상임위 배정도 문제지만 의원들의 요구만을 반영하는 것도 문제다. 비인기 상임위가 존재한다는 건 국회가 사회구성원 모두의 권리를 동등하게 보장하지 않는다는 걸 의미한다. 

특히 비교섭단체는 상임위가 결정되기까지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정의당은 노동의 가치와 생태의 지속가능성 실현을 존립 이유로 삼고 있지만 비교섭단체라는 이유로 환노위에서 하루 아침에 배제됐다.

책임정치 막는 교섭단체 규정

국회법은 국회 운영에서 교섭단체의 막강한 권한을 보장하고 있다. 교섭단체는 '20인 이상의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과 '다른 교섭단체에 속하지 아니하는 20인 이상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현재 새누리당이 148석, 새정치민주연합이 126석이고, 정의당과 통합진보당이 각각 5석, 무소속이 2석이다. 양당을 제외한 나머지가 뭉친다 해도 12인에 불과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없다. 양당 외에는 교섭단체 구성이 원천적으로 불가하다.

기사 관련 사진
▲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6월 12일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20인이라는 기준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제헌국회에는 교섭단체라는 것이 없었다. 참의원, 민의원 시절을 제외하면 1963년 당초 기준 인원은 10인이었다. 20인 이상으로 늘어난 것은 유신 직후인 1973년 2월, 국회법 전부개정을 통해서다. 국정감사를 없애고, 국회의원 1/3을 대통령 추천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하도록 하며, 대통령에게 긴급조치권, 국회 해산권, 법관 임면권을 부여하여 삼권 위에 군림할 수 있도록 보장했던 때다. 그리고 그 기준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교섭단체의 목적은 '의원들의 의사를 사전에 통합·조정하여 정파 간 교섭의 창구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국회의 의사를 원활하게 운영'하는 데 있다지만 실질적 권한은 목적을 능가한다. 연간 국회운영 기본일정부터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정한다. 상임위에는 교섭단체만이 간사를 둘 수 있으며 의사일정, 안건, 질의시간, 증인 선정 등 거의 모든 것을 간사 간 협의로 결정한다.

게다가 교섭단체는 정책연구위원도 별도로 둔다. 1급 내지 4급 상당의 67인이 교섭단체 소속의원의 입법활동을 보좌한다.

2004년 민주노동당은 "정책연구위원의 배정에 있어서 오로지 교섭단체 구성 여부만을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 의원 20인 이상을 확보하지 못한 정당에게는 정책연구위원을 전혀 배정하지 아니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소수정당을 위한 최소한도의 배려조차 하지 아니하고 있다"는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 정책연구위원 배정으로 인한 소였지만 이는 본질적으로 교섭단체 중심의 일방적 국회운영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헌재는 아래처럼 판결했다. 

일단 헌재는 "(교섭단체에게만 정책연구위원을 배정하는 건) 교섭단체 소속의원과 그렇지 못한 의원을 차별하는 것인 동시에, 교섭단체를 구성한 정당과 그렇지 못한 정당도 차별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국회의원 20인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여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한 청구인은 이 사건 규정으로 인하여 자신의 기본권을 침해받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하였다.

하지만 결국 헌재는 "일정 수 이상의 소속의원을 가진 교섭단체가 입법활동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적으로 교섭단체의 전문성을 제고시켜야"한다며 "교섭단체에 한하여 정책연구위원을 배정하는 것은 입법재량의 범위 내로서 그 차별에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고 판결했다. 차별은 맞지만, 법적 재량 범위 내의 차별이라는 것이다.

5석의 정당일지라도 그에 따른 책임과 역할이 있다. 국민이 부여한 권한이 교섭단체 구성 여부에 따라 차별될 수 없다. 법 개정을 통해 교섭단체 요건을 대폭 완화하여 목적대로 국회를 원활하게 운영하는 방법으로만 기능하게 해야 한다. 정치에서 다원주의적 가치가 실현돼야 사회 구성원 모두가 온전한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다. 

책임정치, 제대로 좀 하자.

  • ?
    홍신이도 2014.07.03 14:55

    홍신이 잘 쫒겨났지
    그가 국개의원일때  고 김대중대통령께 뭐라고 한줄아십니까
    공업용미싱으로 김대통령 입을 박아버리고 싶다고 했어요
    지금도 가끔 티비 나오는 홍신이를 볼때마다 작가로 보이기보단
    그때의 그 강렬한 막말 드립만 생각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26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5
7685 [평화의 연찬 제121회 : 2014년 7월 5일(토)] ‘평형수’ 이야기 좀 합시다. 최창규장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07.03 835
7684 아직도처녀를업고있느냐 1 느티나무 2014.07.03 925
» 이재오는 어떻게 '모난 돌' 김홍신을 쫓아냈나 1 모난돌 2014.07.03 711
7682 세월호 ‘레이더 잡힌 이상물체’는 무엇인가…의혹 여전 진실 2014.07.03 630
7681 고충진 - 기차는 8시에 떠나네(The Train Leaves At Eight) serendipity 2014.07.04 803
7680 고충진 정달숙 부부 기타듀엣 - 엘 빔보(El Bimbo) serendipity 2014.07.04 996
7679 33년 만에 돌아온 김추자! / YTN serendipity 2014.07.04 798
7678 박혜경 - Lemon Tree (Official Video) serendipity 2014.07.04 859
7677 뜨거운 열정으로 ‘게일 숨결’ 따라 잡았다 최창규 2014.07.04 745
7676 쉿 조용히 있어 모두 1 file 가만있어 2014.07.04 805
7675 안식교 목사가 적그리스도의 교회인 로마천주교의 성모 마리아 상 앞에서 기도 하였다 10 홍길동 2014.07.04 905
7674 당신의 목사는 "창녀"에 대해 설교한 적 있는가. 30 김원일 2014.07.04 1089
7673 국정원 간첩증거조작 사건 협력자, 유우성에 사과 “국정원과 검찰을 도와준다는 어리석은 생각뿐”.............간첩은 이렇게 '탄생'한다 7 빨갱이 2014.07.04 605
7672 재림성도 여러분!! (이글을 여러분의 지인들과 함께 나누는 것은 하나님의 사업 입니다) 1 김운혁 2014.07.05 750
7671 4월 16일 서울신문 보도 구조된 승객들 증언 배달원 2014.07.05 635
7670 거짓말탐지기를 속인 여간첩? 2 배달원 2014.07.05 696
7669 [동영상 뉴스]“또각또각 구두소리가 좋아” 단원고 박예슬전시회 ... 다시 예슬이를 마음에 내딸 2014.07.06 18358
7668 지상파 3사 ‘김명수, 정종섭이 누구?’…장관 후보자 검증 침묵 바른 2014.07.06 591
7667 영산강에 서식하는 희안한 동물. 6 자연인 2014.07.06 14736
7666 낙동강서도 '큰빗이끼벌레'…"4대강, 호수됐다 자연인 2014.07.06 1654
7665 재림 성도 여러분 5 김운혁 2014.07.06 604
7664 軍사이버사령부가 숨긴 정치댓글만 2~3배 이승만 2014.07.06 466
7663 박근혜정부가 그래도 가장 잘하는 정책 3 3초만 2014.07.06 715
7662 [부고] 고 정진실사모님 (김성래 목사님의 부인) 주 안에서 잠드셨습니다 1 admin 2014.07.06 18614
7661 일요일 휴업령 같은 소리 3 은하수 2014.07.06 18468
7660 일본 장학금 받는 한국 단체와 학자들 공개. 1 각시탈 2014.07.06 761
7659 한반도평화포럼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서명운동'에 함께 합니다. 참여합시다 2014.07.07 635
7658 혼자 살 팔자 김균 2014.07.07 1867
7657 예수 믿으면 안 되는 팔자 1 김균 2014.07.07 1028
7656 '못된' 국정원, 국정원장 청문회서 '야당 사찰' 들통 --- 새정치 "야당 의원 사찰" VS 새누리 "관행이었다" 1 관행? 2014.07.07 638
7655 해학과 감동의 어우러진 사무엘서 해설. 1 최종오 2014.07.07 885
7654 예수님이 서기 31년도에 돌아가셨다는 오류를 지난 151년동안 믿어온 재림교회 그리고 그 실마리 1 김운혁 2014.07.07 818
7653 유시민 "朴 대통령은 혼군, 지금처럼 계속 갈 것" 알라딘 2014.07.08 580
7652 우리는 하나 미주지역 북한선교 소식지 5호가 나왔습니다. 평교협 2014.07.08 788
7651 유시민 “박 대통령은 폭군 아닌 ‘혼군’”···‘어리석은 임금’ 직격탄 알라딘 2014.07.08 591
7650 세월호 가족들 “인터뷰 물의 홍가혜씨 처벌 안 원해” 탄원서 4 진리 2014.07.08 738
7649 박 대통령에게 직격탄 날린 유시민 - "박 대통령은 혼군… 이 상태로 후반기 보낼 것" 주장 혼군 2014.07.08 759
7648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은 어디 있었나? 1 배달원 2014.07.08 842
7647 [김용민의 그림마당]2014년 7월 9일 1 만평 2014.07.08 945
7646 재림교회 성도 1천만명 중 단 한명도 답을 알지 못하는 기산점 5 김운혁 2014.07.08 778
7645 시진핑 서울대 강연 짚어볼 사항-한반도 비핵화와 북핵의 차이는 무었인가 ? 은유법 2014.07.09 682
7644 국회에서 열린 개그 콘서트. 청문회 2014.07.09 659
7643 내라면 9 김균 2014.07.09 758
7642 개인회생 및 파산에 대한 무료상담 안내 김남윤 2014.07.09 595
7641 천주교에 대고 한마디 하고 싶으면 이렇게 하라. 666, 적그리스도, 일욜흄녕 같은 소리 집어치우고. 2 김원일 2014.07.09 855
7640 영산강에 서식하는 희안한 동물. 자연인님에게. 1 왈수 2014.07.10 607
7639 어또케 이런 작자가 아나운서며 정치를 한다고 떠들고 다닐까? +++ 정성근 “조국·공지영 ‘종북’ 글 장관 내정 후 지웠다” 3 캐로로 2014.07.10 700
7638 JTBC ‘손석희 NEWS9’ 8시 이동 검토한다 1 손짱 2014.07.10 739
7637 Erik Ravelo 작품 패러디(박근혜 등 뒤에 걸린 아이) 1 에릭라벨로 2014.07.10 1892
7636 DJ-盧정부 조직 하나하나 되살리는 朴정부 ... 이건 신문이 아냐 "동아일보" 박비어천가 2014.07.10 598
7635 [평화의 연찬 제122회 : 2014년 7월 12일(토)] “성경에서 理와 氣를 만나다 -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김한영 장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cpckorea 2014.07.11 652
7634 큰안식일 회복 운동을 위한 호소문 13 file 김운혁 2014.07.11 766
7633 英 데일리메일, '우스꽝 월드컵' 명장면 TOP 10 우스꽝 2014.07.11 914
7632 불자와 신자 모두에게 드리는 말 3 배달원 2014.07.12 591
7631 나는 왜 사민주의자가 아닌가? 김원일 2014.07.12 589
7630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는 분들께 <[이대근칼럼] 바보야, 문제는 너야> 바보들의행진 2014.07.12 678
7629 재림 교회 안에 있는 누룩들(=오류들) 4 김운혁 2014.07.13 649
7628 백근철님 말이 옳도다. 2 사마리아 2014.07.13 833
7627 생명을 나누는 것은 최고의 나눔입니다 file 선한사마리아 2014.07.13 407
7626 자위대 창설 50년 행사의 나경원 .......................... 무슨 생각을 하면서 사는 여성인고? 무뇌아 2014.07.13 795
7625 말바꾸기의 달인 - 나경원! 무뇌아 2014.07.13 772
7624 하루 1불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file 김주영 2014.07.13 827
7623 이제 알겠습니다, 진짜 사퇴할 사람이 누군지 ^^ 17시15분 당신의 첫마디 “구명조끼 입었는데 발견 힘듭니까” 사고 후 8시간이나 지나도록 당신은 아무 것도 몰랐습니다 무심녀 2014.07.13 574
7622 이 자 (놈)의 교회에는 11 김균 2014.07.14 839
7621 이스라엘의 학살은 외면, 무기에 감탄하는 중앙일보 ,,,,,,,, [비평] “이·팔, 대등한 관계에서 전쟁하는 것처럼 보도” 2 왜곡 2014.07.15 565
7620 구슬땀 흘리며 1시간째 행진 "생존학생들 처음으로 웃었다" --- 세월호 단원고 학생들, 안산~국회 1박2일 도보행진 6 안산 2014.07.15 634
7619 세월호 미국 잠수팀 일당 3천만원 요구 배달원 2014.07.15 730
7618 새정치, 수도권-충청 완패?…새누리, 초반 압도 1 경악 2014.07.15 699
7617 안녕하세요. 하나님께서 일요일 교인들의 기도는 응답 하지 않나요? 5 궁금이 2014.07.15 696
7616 자신의 성공을 위해 기도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받지 않으실까요? 2 궁금이2 2014.07.16 719
Board Pagination Prev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