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4.09.01 14:12

베틀크릭과 강신술

조회 수 413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죤 하비 켈록에 관한 새로운 책이 나왔다

그의 책에 관하여 저자와의 인텨뷰가 베틀크릭의 신문에 엊그제 실렸다. 


이 책에서 한가지가 눈에 띈다. 

베틀크릭이 19세기에는 각종 종교 집단들로 꽉 차있었던 도시였고,

그 모든 그룹들이 심령술, 강신술(spiritualism)을 믿고 있었다는 점.

그런 종교적 환경 속에 재림교회가 등장을 하였다는 사실.


아 이제 좀 이해가 되는 구나.

화잇 여사가 왜 그리 '강신술'에 집착을 하고 비판을 했는지.

각시대의 대쟁투, 영적 은사 등 각종 책에 그리 널려 있는 강신술에 대한 비판과 주의.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이구나. 

좀 더 훤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http://www.battlecreekenquirer.com/story/news/local/2014/08/29/author-finds-new-insights-jh-kellogg/14813513/

Author finds new insights on J.H. Kellogg

Chuck Carlson12:12 a.m. EDT August 30, 2014
 12 4LINKEDINCOMMENTMORE

Brian Wilson didn't set out to write a book on John Harvey Kellogg. It just sort of worked out that way.

"Research always takes you into a lot of dead ends," said Wilson,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mparative Religion at Western Michigan University. "But you have to pursue it."

Indeed, Wilson originally planned to write about the religious history of Battle Creek when he became entangled with Kellogg and his battles with the Seventh-day Adventists, a group which had, and still has, deep roots in the community.

"It was a circuitous history," Wilson said. "Battle Creek early is filled with all sorts of religious groups and they all became interested in spiritualism. Then the Seventh-day Adventists showed up. And reading about Kellogg and his problems with the Adventist church and just how complicated and interesting that was, I just headed off in that direction. I got into the Kellogg history and it was so rich."

The result, after nearly six years of study, is Wilson's second book, "Dr. John Harvey Kellogg and the Religion of Biologic Living," published by the Indiana University Press and which is due out in late September.

Exhaustively researched with nearly 60 pages of footnotes and bibliographies, Wilson embarked on a journey with Kellogg in which even he wasn't sure where it would end.

His goal? To bring a new, more scholarly, view of Kellogg, who is best known for creating the Battle Creek Sanitarium and his flamboyance and his obsession with health and wellness.

Wilson came to WMU from Santa Clara, Calif., in 1996 and says he didn't know much about the area.

"There were two things I knew about Michigan," he said. "This is where cars come from and Battle Creek is where cereal comes from. I read (the T.C. Boyle book) "The Road to Wellville" and saw the movie and I had this general impression that Kellogg was kind of a quack and a huckster. But I put him back in the context of time and tried to take him more seriously. He's a much more interesting and complicated figure than that."

He found J.H. Kellogg was something of a theological innovator whose interest in wellness really was more about making people healthier and not just espousing some off-beat inventions.

"I think he really was driven by his goal to reconcile science and religion," Wilson said.

He was especially intrigued by Kellogg's interest in eugenics, the social philosophy of improving human genetics to create a "better" human being.

"It was a very powerful movement among progressives in the first three decades of the 20th century," said Wilson, who cited Kellogg's creation in 1914 of the Race Betterment Foundation.

"In 1914, there was a national conference in Battle Creek called the Race Betterment Conference, but what Kellogg meant by that was the human race," he said. "He basically made it part of his religious world view. He thought it became part of God's purpose on Earth, to create a perfect human being."

Wilson said he was aided in his lengthy research by having a trove of state information to tap into.

"We were really lucky because anyone who does work on Kellogg and the Adventists has a huge archival record," he said. "There are J.H. Kellogg papers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Michigan State and the Michigan State Archives and, of course, Heritage Battle Creek. There's just tons of material to work with, which for a historian is like a gold mine.

One of Battle Creek's leading historians, Duff Stoltz, said Kellogg is indeed a fascinating figure worthy of more investigation.

"He really needed to start the ball rolling in the health business, especially in 1897, when the charter for the Sanitarium no longer existed," Stoltz said. "He changed it so non-Adventists could be part of the Sanitarium. And he promoted biologic living. It's good stuff today. He was ahead of his time."

After writing his book, Wilson is beginning to think the same.

"My respect for him grew as I read more and more," he said. "Coming from a rough frontier background to achieve what he achieved was extraordinary."

And he said he wrote the book to appeal to a wide spectrum of readers.

"I really wrote it to not only appeal to other academics, but to the wider public," he said. "It's just a fascinating history and fascinating life and it should appeal to anybody whose interested in American history, medicine and the Midwest."

The book is available to order online through the Indiana University Press athttp://iupress.indiana.edu or through Amazon.com.

Chuck Carlson is editor of Connections. Reach him at 966-0690. Follow him on Twitter: @ChuckCarlson4

  • ?
    김주영 2014.09.01 17:37

    켈록의 새 전기가 나왔다니 반갑네요
    켈록은 단연 안식일교회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이고
    소생이 이 민초게시판 초기에 건강기별 역사시리즈를 썼을 때 말했듯이
    안식일교회 건강기별을 파선에서 구한 사람입니다. 그 아니었으면 우리 모습 많이 달랐을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우리 교회의 Richard Schwartz 가 쓴 전기가 표준? 이었는데
    새 전기를 한 번 읽어봐야 되겠습니다.

    제목을 보니 새니터리움의 모습에 대해서도 좀 더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에 인터뷰를 보니 켈록이 말년에 우생학에 관심가졌던 내용도 나오네요.
    그에게는 건강기별이 우생학으로 귀결되었나보네요.

    강신술은 배틀크릭뿐 아니라 당시 미국 전역에 인기를 끌고 있었습니다.
    배틀크릭은 개척되는 '서부' 의 교통의 요충이었지요.
    지금은 쇠락했지만 당시는 바쁘고 번성하던 곳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여러 사상들, 기풍, 종교, 운동을 다 찾아볼 수 있었던 것 당연합니다.

    배틀크릭의 명사중에
    흑인 여성으로 인권운동의 화신인 소저너 트루스는

    원래 은사를 강조하는 교회 출신인데 
    한때 안식일교회에 잠시 발을 들여놓기도 했었고 
    나중에는 강신술을 받아들였습니다. 
    당시 사회상을 온 몸으로 보여주는 예라 하겠습니다.

  • ?
    민들레 2014.09.02 02:44
    만일 화잇 여사께서 19세기 한국에서
    태어나서 활동을 하셨다고 하면(그냥 가정해 보면 ^^).. .
    아마 귀신, 잡신, 미신에 대하여
    강력한 경고를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러면 아마도 모르긴 몰라도
    대쟁투에 귀신, 잡신, 미신에 관한 말이 많이 나왔을 것이고.
    또 성황당도 나오고...처녀 귀신도 언급도 하시고..
    ㅋㅋㅋ
  • ?
    김주영 2014.09.02 11:43
    그런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말씀하신 한국의 민간신앙이 언제나 늘 있어왔던데 비해
    미국의 강신술은 물론 그 뿌리가 늘 있었겠지만 1848년 뉴욕의 폭스 자매에 의해
    갑자기 전국무대에 등장했습니다. TV 같은 대중매체가 없던 당시였지만
    전국으로 삽시간에 퍼져 흥행과 오락을 제공했지요.
    아들을 잃은 링컨의 부인도 백악관에서 영매를 찾았던 기록이 있습니다.

    1848 년은 우리의 '안식일 회의' 가 생겨나기 시작했던 때였고
    남북전쟁으로 사회가 뒤숭숭했고 (우라이아 스미스는 아마겟돈 전쟁이라고 보았습니다)
    그 이후의 시기는 유럽에서 카톨릭 이민의 대량 유입으로
    미국 개신교인들 사이에 반카톨릭 반교황 정서가 무르익고
    일요일법/금주법 제정 운동이 일어나는 시기였습니다.

    엘렌 화잇의 대쟁투는 이러한 사회상을
    당대가 바로 마지막 때라는 확신 가운데 바라보며
    계시록 예언에 대입하여 이해하던 생각의 산물입니다.
    물론 그런 이해는 스미스의 예언 해석으로 비롯된 것입니다.
  • ?
    민들레 2014.09.03 04:46
    그러니까 요점은
    1세기 반 전에 이슈이었던 문제가
    지금에도 문제가 되는가 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날에도 문제가 되는가 입니다.
    그래서 미신, 잡신, 귀신 이야기를 끄낸 것입니다.
  • ?
    김주영 2014.09.03 10:56
    맞습니다. 바로 잘 말씀하셨습니다.

    대쟁투 하권에 나오는 일들 (강신술, 교황과 개신교, 일요일 휴업령) 은
    당시 눈 앞에서 벌어지는 실제상황이었습니다.

    그런 일들이 다시 되풀이 되는 일이 있을 것이다 그러니 대쟁투 말씀대로 밀고 나가자 라고 믿는 분들이 있는가 하면
    저처럼 교회는 오늘의 세상을 우리 자신의 예언적 안목으로 직면하고 살아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01
8455 김운혁 님에게 이 글을 추천합니다. 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이상돈칼럼]‘7시간’ 때문에 세월호 특조 무산되나 2 조은 2014.09.03 507
8454 별 히안한 공원 구경하십쇼. 2 닥그네 2014.09.02 764
8453 술 마..약 도...박 섹..스...그리고 때때로 신앙(광신). 온갖 중독자들의 공통적 특징 중독 2014.09.02 896
8452 교회가서 맘적 평안을 얻고 오는게 아니라 스트레스 받고 오는데, 3 ㅇㅇ 2014.09.02 764
8451 민초님 모두 보셨으면 합니다. 1 광화문 광장 2014.09.02 799
8450 안식교 재림 design은 개x 같은 일이다. 2 재림으로먹고살기 2014.09.02 751
8449 홍준표 "노무현 대통령, 훌륭한 대통령입니다" 2 대통령병 2014.09.02 750
8448 그래서, 결국 우주의 대쟁투는 있다라고 이 장로교 목사는 말하려는 것인가. 1 김원일 2014.09.01 672
8447 전매특허 2 김균 2014.09.01 843
» 베틀크릭과 강신술 5 민들레 2014.09.01 4130
8445 박근혜..오늘도 화장을 고치며. 2 화장빨그녀 2014.09.01 671
8444 서기 31년도 유월절이 월요일이다 라고 주구장창 외치는데도 재림교회가 발칵 되집히지 않는 이유? 3 단기필마 2014.09.01 625
8443 박정희 찬양자에 대하여 어떻게 볼 것인가 - 진중권 두리안 2014.09.01 743
8442 이렇게 낚시하는 것 봤소이까?^^ 놀라운세상 2014.09.01 752
8441 김운혁님.아님니다. 9 도시락 2014.09.01 586
8440 김주영 선생님 글에....돌격 앞으로! 6 보고있나 2014.09.01 826
8439 곽건용 목사의 도깨비 대동강 건너가고 귀신 씨나락 까먹는 설교 5 김원일 2014.08.31 778
8438 당신들은 당신들 할 일이나 제대로 하세요 6 김주영 2014.08.31 810
8437 김운혁님이 주장한 수요일 십자가설의 오류 81 file 우연히지나다가 2014.08.31 1088
8436 제자회 교회 (Disciples of Christ) Sharon Stanley-Rea 목사가 쓴 국경을 넘어오는 아이들을 위한 기도 김원일 2014.08.31 697
8435 그러니까.... 아침이슬 2014.08.31 658
8434 깊은 혼수 상태에 빠져 있는 재림교회 4 김운혁 2014.08.31 680
8433 '왕이 된 광해' 패러디 '왕이 된 근해' 인기 폭발!!! 인기폭발 2014.08.30 740
8432 삼육대학/연합회는 아직도 그렇게 하라고 가르치고 있나? 20 김주영 2014.08.30 947
8431 목사가 이렇게 쉬운가 6 kim sun dal 2014.08.30 774
8430 푸틴이 미국과 유럽을 향해 겁주네요 ! 배달원 2014.08.30 618
8429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모욕한 일베회원 징역 1년 선고 1 엄벌 처단 2014.08.30 603
8428 환경과학원 "낙동강 강준치 떼죽음은 4대강 사업 탓" 1 자연의 반격 2014.08.30 679
8427 근해ㅡ 왕이된 아낙. 3 아낙 2014.08.30 757
8426 저 년(?)은 인간도 아니라는 것. 2 金氷三 2014.08.30 663
8425 청첩장에 이력서를 써서 돌린 사람이 있다네요 별꼴이야요 4 홍길동 2014.08.29 708
8424 예수님 탄생과 처형된 정확한 시기 8 민들레 2014.08.29 929
8423 "새 세상에는 국경이 없다" (캐나다 한국일보 2014년 8월 27일 수요일)/ 명지원((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 "기성세대와 젊은세대 모두에게 우리 민족에 대한 역사와 통일에의 열망을 일깨우는 글을 선물로 드립니다."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08.29 623
8422 우연히 님에게 5 왈수 2014.08.29 605
8421 [평화의 연찬 제129회 : 2014년 8월 30(토)] “예수님의 해학 - 오른뺨을 때리거든 왼뺨을 돌려대라” 김춘도 장로 [(사)평화교류 협의회 상생협력대표] cpckorea 2014.08.28 611
8420 십자가 사건은 제칠일 안식일 토요일 전날이므로 금요일임. 6 십자가사건 2014.08.28 683
8419 김운혁님이 제시한 유대력을 믿을 수 없는 이유 5 우연히지나다가 2014.08.28 775
8418 길고 짧은 것 지당 2014.08.28 645
8417 "응답하라, 이지안~!" 오늘 그녀를 보고 싶다. 1 응답하라 2014.08.28 872
8416 왈수 선생 김영오님 단식이유를 물었소? 들어 보시오. 1 단식이유 2014.08.27 733
8415 김영오씨 단식중단 이유 노란리본 2014.08.27 614
8414 왈수님 께 1 노란리본 2014.08.27 569
8413 김대성목사 듣고 잇나? 보고있나 2014.08.27 872
8412 믿음 기별 전파한 존스와 와그너 형제가 안식일교회를 떠났나요?? 1 믿음 2014.08.27 769
8411 '유민아빠'에 막말한 배우 이산, 유가족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먼저 사과하라" 3 하여 2014.08.26 835
8410 봉준호 감독, 문성근 출연의 영화 '해무' 보러 갑시다. === 단역배우 ‘막말’에 날벼락 맞은 ‘해무’ 300만 관객 들어야 하는데… 1 그리고... 2014.08.26 713
8409 무식한가 아니면 바보인가? 3 김균 2014.08.26 789
8408 사악함과 멍청함. 사악 2014.08.26 665
8407 동족상잔‏ 그려 2014.08.25 610
8406 자칭 유민아빠 김영오에 대한 정규재의 일침 5 베츙이 2014.08.25 778
8405 보고있나 안식교!!!! 4 보고있나 2014.08.25 634
8404 머리가 아니라 2 지당 2014.08.25 579
8403 "당신은 가짜 목사"라고 외치는 교인을 보고 싶다 재민 2014.08.25 671
8402 현직 부장판사 세월호 특별법 지지 2 진실 2014.08.25 699
8401 세월호 참사는 우리 역사에서 실로 모처럼 배달원 2014.08.24 550
8400 김운혁님, 성경은 제칠일 창조기념일 안식일도 큰 안식일이라 하였습니다! 22 계명을 2014.08.24 672
8399 독일에서 보도된 일본의 음울한 미래 배달원 2014.08.24 694
8398 김운혁님, "창조 기념일 안식일(토요일)은 큰 안식일이 라 할 수 없나요?" 9 계명을 2014.08.24 581
8397 이단 안식교인이 기성 정통교회에 고합니다(내가 목사다). 2 file 최종오 2014.08.24 801
8396 "좋은 아빠인데, 외삼촌 글 '당황' 아빠의 노력 무너진 것 같아 속상" 월요일아침에 2014.08.24 683
8395 2천년간 역사의 폐허 속에 묻혀 있었던 보배로운 예수님의 피로 세워진 안식일 "위대한 안식일" 26 김운혁 2014.08.24 807
8394 박그내가 유민아버님 김영오 님을 만나지 않는 이유 1 피곤해 2014.08.24 743
8393 막말도 이 정도 수준은 되야~ 배우 이산 “새끼 잃었다고 발광” 막말 발광 2014.08.24 690
8392 “단식하다 죽어라” 뮤지컬배우 이산, 단원고 유족 비난 오호통재라~ 2014.08.24 666
8391 결국, 김운혁님은 대답을 못하셨습니다. 20 계명을 2014.08.24 572
8390 결국, 석국인님은 대답을 못하셨습니다. 대신 대답할 정직한 재림성도 없습니까? 4 계명을 2014.08.24 580
8389 세월호 정국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누가 과연 유리할까? 배달원 2014.08.23 564
8388 교황은 왜 박근혜를 여우라고 부르지 않는가: 교황 프란치스코와 순교자 본회퍼 김원일 2014.08.23 601
8387 멍청한 이명박과는 달리, 그 이상의 무언가가 느껴지는 박근혜의 이상하고 어두운 아우라--어떤 설교에 나오는 말 1 김원일 2014.08.23 692
8386 이래서 나는 김운혁님의 권리를 보호하려 하고, 조선일보마저 옹호할 수도 있다는 얘기 (일본 극우에 참패한 한국 극우 이야기) 김원일 2014.08.23 690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