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일: 위기와 개혁

by 루터 posted Sep 11, 2014 Likes 0 Replies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9/13일 안교교과: 위기와 개혁
 

“하나님의 율법은 모든 영속적인 개혁의 기초이다. 우리는 분명하고 뚜렷한
방법으로 이 율법을 순종할 필요를 세상에 제시해야 한다.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순종은 근면과 절약과 진실과 사람 상호간의 공정한 관계에 대한 가장
큰 동기가 된다.”(8증언, 199)

성경적 평화주의
**************

1. 주님의 가르침과 모본을 따른다면 우리의 원수들을 어떻게 대하여야 하는가
어떤 행실들이 그리스도인의 생애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되는가? 마5:39, 44;
26:52.

****************************************************************



****************************************************************


“사단은 전쟁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전쟁은 사람의 가장 악한 감정을 자극하며
전쟁의 희생자들을 죄악과 유혈 속으로 영원히 쓸어 넣어 버리기 때문이다. 나라가
다른 나라를 대적하여 싸우도록 자극하는 것이 사단의 목적이다. 그렇게 함으로
그는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님의 날에 설 준비를 갖추는 사업에서 떠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쟁투, 589)

“나는 하나님의 특별한 소유가 되어 있는 그분의 백성들이 이 난처한 전쟁에
가담할 수 없음을 보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들의 모든 신앙상 원칙에 반대되기
때문이다. 군대에서 그들은 진리에 순종하면서 동시에 상관들의 명령에 순종할 수
없다. 거기에는 계속적으로 양심을 어기는 일이 있게 될 것이다.”(1증언, 361)


재림교회 본래의 입장
*****************

2. 다음의 영감적인 이상을 볼 때 재림교회 대총회는 본래 어떤 입장을 취했는
가? 엡6:12; 고후10:4.

****************************************************************



****************************************************************

1864년 8월 3일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행정위원회는 “원칙에 관한
진술서”를 미시간 주지사에게 제출하였다:


어스틴 블레어 미시간 주지사 귀하

------------------------------------------------------
아래에 서명한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대총회 행정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진술을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요청하는 바입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인이라 불리는 그리스도인 교단은 성경을 자신의 믿음의
법칙과 실천사항으로 삼고 있으며 전쟁의 정신과 행동이 성경의 가르침과 반대된다는
사실을 만장일치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항상 집총문제를 양심적으로 거부해 왔습니다. 우리가 성경에서 우리의 신조로
생각하는 중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십계명이며 우리는 그것을 가장 권위 있는 법으로
생각하며 각 조항을 명백하게 문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넷째 계명은 주일 중 일곱째 날에 모든 노동을 그치고 쉴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여섯째
계명은 생명을 취하는 일을 금하고 있습니다. 이 두 계명은 우리의 관점으로 볼 때에
군대에서는 지켜질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의 신조는 이 원칙과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군대복무를 할 수 있는 자유가 우리에게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아직 어떤 교단 출판물에서도 집총문제를 옹호하거나 권장한 적이 없으며
청년들이 징병 되었을 경우에도 우리의 원칙을 범하기 보다는 서로를 돕는 가운데 300불을
지불하는 방법을 취하여 왔습니다. 이 일반적인 적용규정이 남아 있기 까지는 우리는
요구하신 질문에 대하여 우리의 신조의 어떤 공식적인 표현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나아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는 확고하게 노예제도를 반대하며 정부에 충성하고
반역에 반대하며 정부에 협력하고 있는 바입니다.


그러나 본 교단은 독특한 사람들로서 오래 되지 않았으며 최근에 조직을 완전하게
만들었으므로 우리의 신조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최근에 바뀐 정부의 법률로
말미암아 이 문제에 대해 공개적인 교단의 입장을 표명해야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는, 한 조직체로서, 집총에 관련하여 우리는
양심적인 집총거부 자들에게 요전 의회조처를 열망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우리의
요청에 대한 승인을 주저하지 않으시리라 믿으며, 본 교단의 신조를 주지사님께 제출하는
바입니다.

죤 바잉톤, 라포보로우, 죠지 아마돈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대총회 행정위원회
베틀크릭 미시간 1864년 8월 2일
(F. M. Wilcox, 전쟁의 시기에, p58.)

 



3. 주어진 세가지 제안 중에 재림교회는 어떤 제안을 선호하였는가?


****************************************************************



****************************************************************

“…징병 되었을 경우에도 우리의 원칙을 범하기 보다는 서로를 돕는 가운데
300불을 지불하는 방법을 취하여 왔습니다.”(F. M. Wilcox, 전쟁의 시기에, p58.)

“징병제도는 전쟁에 나갈 수 있는 몸(대상자)을 가진 자들 중 3명중 한명의 비율로
징병된다는 말이 있다. 그러므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인들도 같은 비율, 즉
3명중 한명이 뽑힐 것이다. 이런 경우 모두가 100불씩을 준비 할 수 있다면 징병에
차출된 사람에게 300불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 모두는 다가오는 징병 시에 면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리뷰 앤 헤럴드, 1865년 1월 24일)”


4. 어느 곳에서나 재림신자들은 어떤 교육을 받았나? 행4:19; 5:29.


****************************************************************



****************************************************************

“우리는 인간이 세운 정부를 하나님이 임명하신 규범으로 인정하고, 그 정당한
범위 안에서 거기에 순종하는 것을 거룩한 의무로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그
요구가 하나님의 요구와 상치될 때에는 사람보다 하나님께 순종하여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모든 인간의 법보다 높다는 것을 승인해야 한다.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이란 말을 “교회가 이렇게 말하기를” 혹은 “국가가 이렇게
말하기를”이라는 것 때문에 파기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스도의 면류관이 지상 군주의
왕관보다 더 높임을 받아야 한다.”(행적, 69)

위기의 때
*********

5. 정확히 50년 뒤인 1914년 1차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몇몇 유럽의 지도자들
은 정부의 압박 속에서 무엇을 했는가? 사5:20-21.


****************************************************************



****************************************************************

“성경의 기본 원칙과 기독교의 규율들을 고수하며, 안식일에 모든 일을 금함으로써
하나님께서 태초에 제정하신 안식일(토요일)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반면, 이러한
전쟁 시기에 우리는 ‘조국’을 수호하기 위해 뭉쳤으며 이러한 특별한 상황에서는
토요일(안식일)에도 무기를 들 것입니다. 우리는 벧전 2:13-17절에 나오는 성경
원칙을 고수할 것입니다.

- 독일 연합회장: H. F. 슈버트, 독일 국방부 장관에게 1914년 8월 4일”

“… 유사시인 지금 독일의 재림교회 조직의 지도자들은 자신들 스스로 군복무에
참여하는 모든 교인들에게, 이러한 긴박한 상황가운데 시민들로써 성경말씀에
의하여 조국의 요구를 따라 토요일(안식일)에도 다른 전사들이 일요일에 전투를
벌이는 것처럼 열심히 싸우도록 권고하였습니다. - 유럽지회 지회장: 콘라디,
동부독일연합회, 연합회장: H.F 슈벌트, 색슨지회, 지회장: 폴 드린하우스 1915년 3월
5일”


성경적 입장을 취한 남은 무리
**************************


6. 얼마나 많은 재림교인들이 정도에서 벗어났는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믿
음에 충실했는가? 롬11:3-5; 9:27.

****************************************************************


****************************************************************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우리교회(재림교회)는 둘로 나뉘었다. 우리 98%의
교인들은 조국을 지키기 위해 안식일에도 무기를 들어 수호하는 것이 저들의
양심적인 의무였다는 성경에 기초한 입장을 취하였으며, 지도자들의 연합된 이러한
입장이 곧 국방부에 전해졌다. 하지만 2%의 교인들은 이 연합된 결의에 따르지
않았고 ….”(드레스덴 최근 뉴스에 실린 재림교회 성명, 1918년 4월 12일)


7. 이 충실한 적은 신자들에게 어떤 일이 발생했는가? 그들은 진리에서 분리되
었는가? 사66:5; 습3:19.

****************************************************************



****************************************************************

“하지만 2%의 교인들은 이 연합된 굴복하지 않았으며 그 결과로 저들의 비
70 안식일학교 장년교과 2014년 하반기
그리스도인적인 태도로 저들은 출교를 당했다.”(드레스덴 최근 뉴스에 918년 4월
12일)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인데도 재림교인가운데 정부에 공식적으로 자신의
양심적인 윤리관을 고백하지 않았던 분리된 교인들이 있었다. 그들은 비밀리에
그들의 의무를 철회하였으며, 더욱더 그들은 이 마을과 저 마을로 걷고 걸어서 다른
사람들을 말로 그리고 글로써 같은 길을 가자고 부추겼다. 그들은 그들의 윤리관에
있어서 단호한 입장과 내부적 외적 평화를 위협하기 때문에, 이를 없애기 위하여
교회에 의해 호출되었다. 그들은 교회에서 출교되어져야만 했다. (베를린 지역 뉴스,
1918년 8월 24일)


8. 그렇다면 이 위기속에서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가운데 누가 책임이
있는가? 사3:12(하단); 9:16.

****************************************************************


****************************************************************

“하나님의 뜻의 대표자와 모본이라고 불리워진 지도자들에 의하여 계시된
표준으로터 떠나는 어떤 것이든지 반드시 당신의 백성들 대열에 혼란을 가져온다.
신실한 영혼들은 혼난케되며 분명하고 명료해야할 것에 당황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성들은 단지 두 가지 결론 중에 선택의 여지가 없는 하나만 남게 된다.
그들은 반드시 이러한 지도자들의 행위를 질책해야 하며 그들 스스로 주님의
표준을 고수해야한다. 아니면 그들은 이러한 지도자들이 인정하신 자들인지
입증된 자들인지를 결론 내려야 한다. 그래서 그들이 주님의 표준에 엄격한 순종에
관해 그들이 생각했던 것 같이 주님께서 그렇게 특별하시지 않다고 한다면, 그들이
하나님의 표준에서 아마도 너무 멀리 떠난것이다라는 결정을 내려라. 그리고,
하나님의 가납하심의 희망을 그치라. - (의료 전도자, vol.9, no.2, p.9)


9. 배교한 유럽 지도자들이 재림교회 대총회의 어떤 잘못된 가르침에 매달렸나
벧전2:16.

****************************************************************


****************************************************************

“우리는 각자가 이 문제에 있어서는 그들 자신의 양심에 따라 처신해야 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A. G. 다니엘스, 대총회장(1920), 의사록, 36[1920년 7월 21-23일,
프리덴사우 청문회]

“우리는 교회의 모든 교인들이 그들의 양심의 확신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지 그들의
조국을 섬길 수 있는 절대적인 자유를 하락한다.”- 스위스, 글랜드, 유럽행정위원회
결의, 1923년 1월 2일, 리뷰 앤 헤럴드 vol.101, No. 10, 1924년 3월 6일, p.4


10. 왜 하나님의 교회의 교인들은“그들 자신을 위해 의무의 표준을 세움”에
있어 결코 자유함이 없는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할 때
그 결말은 무엇인가? 롬2:21- 24; 삿17:6.

***************************************************************


****************************************************************

“만일, 사람들이 하나님의 요구에서 떠나 스스로 의무의 표준을 세울 것 같으면,
각 사람의 마음에 따라 여러 가지 표준이 있게 되고, 주권도 주님의 손에서 빼앗게 될
것이다. 사람들의 뜻이 최고의 것으로 여겨지고, 높고 거룩한 하나님의 뜻, 곧 피조물을
사랑하시는 그분의 목적은 업신여김을 받고 무시될 것이다.”(보훈, 51-52)



11. 다가오는 위기 때에 견딜 수 있게 되도록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
가? 교인 개개인과 당신의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은 무엇인가? 엡4:14; 5:27;
히13:9(상단).

***********************************************************************


************************************************************************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들을 체질하고 계십니다. 그분께서는 교회를 정결하고
거룩하게 하실 것입니다.”(1증언, 99)

“다른 사람들이 감염되지 않도록 교회 안에 있는 죄와 죄인들은 신속히 처리되어야
한다. 아간과 같은 사람들에게서 장막을 정결하게 하기 위한 더욱 철저한 사업을 하는
데는 진리와 순결이 필요하다.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어떤 형제에게 있는
죄를 용납해서는 안 된다. 그가 죄를 버리든지 교회에서 떠나든지 해야 한다는 사실을
그에게 알려 주라.”(5증언, 147)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