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4.09.29 11:57

그속에 있다니까

조회 수 655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린시절 까마득한 기억속의 이야기 하나


오랫만에 큰 아들이 나흘간의 휴가를 내어서 에미 애비가 사는 텅빈 집으로 찾아왔다. 오기전부터 마음이 부산하던 제 어미가

맛 있는 반찬이다 무어다 온갖 배려를 쏟는중에 사흘의 밤이 훌쩍 지나고 나흘째의 아침이 왔고 아내는 큰놈이 자고있는 방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더니 아들은 제 집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당연한 그날이지만 시간이 이렇게 순식간에 지나 버려 마냥 섭섭하다는 푸념을 늘어 놓는다.

자식이라고는 딱 두 아들이 전부이지만 그놈들이 제각기 짝을 찾아서 떠나기 전에는 두놈이 다 운동으로 다져진 단단하고 우람한 몸매와 사내다운 분위기 때문에 마치 제 어미의 심정은 터지기 직전까지  바람을 넣은 풍선의 부피만큼이나 뿌듯한 가슴으로 살았던 내 아내였다.

내 기억속에는 큰 아이가 자라면서 별로 기억에 남을 만한 이상한 행동들이나 징징거리는 일들이 없었다고 생각하는데 딱 한번 가장 친하던 친구를 뉴욕의 어느 식당에서 만났을 때 그 식당에서 두살이던  아들이 본인이 좋아하는 것을 먹지 못하게 한다고 몇개의 그릇을 엎어버렸던  난처한 기억을 우리 부부는 동시에 떠 올렸다..

형제로 자라던 나와 내 동생에게도 그런 비슷한 기억이 까마득히 남아 있다. 외딴곳으로 발령이 난 어머니의 전근 때문에 미처 따라가지 못한 식구들, (아버지와 나와 내 동생) 이 엄마가 당장 집에 없다고 가엽게 여긴 어느 교인의 집으로 저녁을 초대 받았다.

옛 날에는 계란 후라이가 손님들의 식탁에 오르는 상당한 대접의 표시였는데 그날도 큼지막한 계란 후라이가 하나씩 올라 왔다. 그것을 바라보면서 입맛을 다시는 동생의 그것을 아버지가 반찬 몇개를 넣어서 밥에다 비비기 시작하셨다. 그렇게 사라져가는 계란의 행방을 따라 점점 낯빛이 어두워지는 동생의 안색을 추호도 눈치채지 못하신 아버님이 계란 후라이를 다 비빈후에 동생에게 비빔밥을 내어 놓았다.

계란 후라이의 고소한 맛을 그대로 맛보고 싶었던 아이의 마음과 먹기좋게 섞어서 영양이 더 좋은것으로 아들에게 주려한 아버지의 마음이 일치하지 않는 그 순간에 식탁이 와장창 엎어지는 소란이 벌어졌고 그 소란의 주인공은 모처럼 먹음직한 식탐을 끝내 이루지 못했다는 억울함에 몸을 사리지 못한 비교적 두살치고는 힘이좋았던 내 동생의 원색적이고 난처한 어린아이 같은 땡깡이었고 다섯살이 위였던 나와 아버지에겐 그것때문에 고개를 들 수 없어서 낑낑대야 했던 지금도 잊을 수 없는 마치 돌에 새겨져 있는듯한 기억의 한 조각이다.

이런 기억을 간혹 새롭게 해주는 어떤 사건들이 있는데 그 사건들은 이런것들이다.

그림을 그리는 화가들은 노오란 색을 단색으로 칠하지 않고 적어도 세가지 정도의 색을 섞어서 그 노란색을 만들어 칠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했을 때 또 다른 색들하고 조화 (동화-assimilation)  되는 일에 도움이 되고  웬만해서는 단색 보다는 다른 색갈들하고 잘

어울리는 바탕이 된다.  어린아이들이 칠하는 색은 대부분 단색이다. 그러나 성숙한 화가들은 색갈의 동화라는 원칙을 염두에 두기 때문에 단색을 칠할 수가 없다. 색갈은 색갈끼리 서로 손을 잡아야 하고 서로 받혀 주어야 하고 서로를 들어내는 역활도 해야 한다. 시를 써는 일에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이 되고 소설을 쓰는 일에도 그런 전체적인 구도에서 한개 한개의 단어와 장면들이 엮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소설이 끝날때 쯤에는 아하! 그래서 그랬구나를 소리치게 된다.

그렇다고 무조건 비벼서는 안된다.

이곳 민초에선 무조건 비비는 일과 동시에 비빔밥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난처함미 많이 일어난다.

성경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비비는 자들을 일요일 교회식이라고 비난하지만 아마도 마음속으로는 "바벨론의 앞잡이" 라는 원색적 비난이 분명 입속에 맴돌고 있을 것이다.


독자들이여

계란 후라이는 분명히 그속에있다니까.



  • ?
    fallbaram 2014.09.29 11:59

    계란 후라이 딱 그것만 먹고싶은 내 동생과 여러분들이 생각이 나서 저녁 일몰에 떠 올린 한개의 단상입니다.
    또 엎을 려나

  • ?
    Rilke 2014.09.29 12:56
    안녕하세요.

    가을 바람과 함께 가을비가 부슬 부슬 내리는 월요일 오후입니다.


    "과함은 모자람만 못하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는 이 말을 개인적으로 좋아 합니다.

    항시 우리는 우리의 의견을 잘 (강하게 ?) 전달하기 위해서, 본래 의견보다 더 강하게 전하는 버릇이 있는것 같습니다. 부드럽게 해서는 도저희 상대편이 이해를 못할것 같은 초조함 (불안함 ?)이 있는것 같습니다.

    서울로 초등학교 (당시 국민학교) 5학년때 전학을 가서, 6학년때 자취를 시작했었습니다.

    처음 자취집에 들어 가는날, 좋아 하는 계란후라이를 몇개 먹고 잠을 잣는데, 하필이면 그날밤에 "연탄가스"가 새어서 힘들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 날 이후로 근 20년간 계란 후라이는 커녕, 방학때 시골에 갈때 마다 타고 가던 기차에서 맛있게 먹던 "찐 계란"도 냄새를 못 맡았습니다.

    그렇게 맛있게 먹었던, 계란 후라이가 냄새만 맡아도 토할것 같은 기분이 든 것이 참으로 신기했습니다.

    지금은 다시 조금씩 먹기 시작했지만,

    요즘 같이 비만이 유행 (?) 인 미국의 삶과 배고픈 제3세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 "누구는 배불러 죽고, 누구는 배고파 죽는다" 라는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의 삶과 신학, 그리고 신앙에도 이와 같은 모습이 자주 일어 나지 않나 싶습니다.

    같은 형제 자매가 신앙 (신학) 이라는 이유로 서로 욕 (가장 많이 나오는것, "당신을 하늘에서 못 볼것 같습니다" - 너는 지옥에나 떨어져 영원히 고통받으며 살아라 - 는 저주의 말)을 하면서 논쟁을 하는것을 보며는, 우리가 신학의 배부름속에 있지 않나 하는 슬픈생각을 하게 됩니다.

    신영복교수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 나오는 "여름징역"편이 생각납니다.


    계란 후라이와 찐계란이 생각나는 비오는 날 입니다.

    샬롬
  • ?
    fallbaram 2014.09.29 13:32
    님은 Rilke 라는 이름이 잘 어울립니다.
    언제나 봄비 같이 부드럽고 가을바랍 못지않게 서정적입니다.
    이 민초에서 드물게 보는 신사입니다.
    계란 후라이에 스며있는 나름의 기억들이
    민초의 들판에 안개처럼 흩어집니다.
    님의 글 만큼이나 님의 발자취도 늘 기댜려지는 저녁에
  • ?
    fm 2014.09.29 19:03
    님의글 읽으며 문득 떠오르는것은
    돈키호테의 무모한 시도, 이룰수없는 많은 꿈과, 싸움, 사랑을 보게된다
    별을따려하고 풍차와 싸움걸고
    이성보다 감정이 가슴이 뜨거운 사람으로 평가해본다
    은어로 쓰면= 또라이호테
    한마디로 즐겁고 유익하였다
  • ?
    fallbaram 2014.09.30 09:54

    Don Quijote 의 이룰수없는꿈 (The Impossible Dream) 가사

    그꿈, 이룰수 없어도
    싸움, 이길수 없어도
    슬픔,견딜수 없다해도
    길은 험하고 험해도

    정의를 위해 싸우리라
    사랑을 믿고 따르리라
    잡을수 없는 별일지라도

  • ?
    fm 2014.09.30 19:26
    thanks
  • ?
    조약돌 2014.09.30 07:45
    가을 날씨가 많이 쌀쌀해진 화요일 오후입니다.
    저도 계란후라이 에 대해 생각나는 에피소드가 있네요.
    저의 부모님은 그시절에 비해 남녀차별을 안하셨지만
    워낙 모두들 가난한 때이기 때문에 식탁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많았지요. 특별하게 가끔씩 먹을수 있는 계란후라이는
    자주 아버지와 오빠 그릇에만 올라갔습니다. 먹고 싶어도
    아무말도 못했지만, 늘 아버지는 제 그릇에다 자신의 몴을
    언져주셨습니다. 이젠 정말 많은 시간들이 흘러갔지만,
    그 생각만 하면 눈물을 적십니다.

    계란 후라이를 비유해서 주신 좋은 교훈 감사합니다.
  • ?
    fallbaram 2014.09.30 09:40

    계란후라이에 얽힌 또 다른 이야기

    가난하게 사는집에 아들이 둘 있었습니다.
    하루는 목사님이 방문을 오셨는데 어머니가 구멍가게에서 계란
    세개를 사오셔서 후라이를 한다음 그 세개를 목사님 상에다 올려 놓았는데
    두 아들이 문 틈으로 쳐다보면서 후라이 세개중 하나정도는 남기겠지 하는 희망을 가지고
    지켜보는데 하나씩 하나씩 덥석덥석 목사님 입으로 그 통닭 (?)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둘쨋놈이 하도 속이 상해서 "에이 씨발" 하니까
    형이 하는말 "야 임마 계란 후라이 먹고 싶으면 너도 목사나 되라고" 하면서
    쥐어 박았습니다.
    그리고 이십년이 지난 어느날 그 동생이 진짜로
    목사가 되었습니다.
    지금도 계란 후라이를 좋아하는 목사님으로...

  • ?
    김운혁 2014.09.30 09:57
    재미 있네요.

    저도 계란 후라이 좋아 합니다.

    계란 후라이 한개 먹는데 1분 걸리면 3개 먹는데는 몇분 걸리나요? 3분 걸립니다.

    예수님이 무덤속에서 하루 밤낮 계실려면 몇시간 걸리나요? 24시간 걸립니다.

    그러면 예수님이 무덤 속에서 3일밤낮 계실려면 몇시간 걸리나요? 72시간 걸립니다.

    "인자도 땅속에서 3일밤낮을 지내리라" 이 문장을 우리 모두 70번 복창 합시다.

    예수님은 땅속에서 목, 금, 토 계셨습니다. 저는 오늘도 외칩니다. 예수님은 서기 30년도 유월절인 수요일에 죽으셨다고....그리고 일요일에 부활 하셨다고...깨어나시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94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40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26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36
6915 "사제단이 빨갱이? 예수도 사탄이라 욕 먹었다" 4 2014.09.28 584
6914 카스다 글동네 3 푸른푸른 2014.09.28 768
6913 석국인님께 질문입니다. 5 설명을청함 2014.09.28 547
6912 인도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 funny 2014.09.28 599
6911 이제와서 "하나님의대리자"666 아니다-건너 마을에서 10 김균 2014.09.28 1005
6910 자기 맘에 안드는 댓글 지우는 사람 9 민주 2014.09.28 544
6909 세종VS 연산 ( 댓글 삭제 이야기 없음) 1 민주 2014.09.28 629
6908 .남은 세월이 얼마나 된다고 2 하얀구름 2014.09.28 567
6907 아주 작은 시험도 극복을 못하는 이유 2 예언 2014.09.28 455
6906 부산예언연구세미나에 누구든지 초대합니다 2 file 루터 2014.09.28 606
6905 니키타 김균 2014.09.28 696
6904 몽학선생 그리고 율법과 계명/계명을 님 15 김균 2014.09.28 775
6903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패티김 1 resort 2014.09.29 762
6902 김부선, <조선> 기자 문자 공개하며 "조폭이냐?" <여성조선> '김부선도 난방비 0원' 기사에 "소설 쓰는 곳인가" 성토 소설 2014.09.29 659
6901 백지연의 끝장토론 진중권 vs 윤정훈 목사 셈함야벳 2014.09.29 996
6900 뉴스9 특집토론 다시보기 (전원책, 이혜훈, 노회찬, 유시민) 단군 2014.09.29 656
6899 돈에 대한 60가지의 재미있는 글 3 무명초 2014.09.29 581
» 그속에 있다니까 9 fallbaram 2014.09.29 655
6897 악하고 음란한 현 세대 16 김운혁 2014.09.29 619
6896 쉬지 않고 가는 평생열차 하주민 2014.09.29 499
6895 똥개는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 4 Tears 2014.09.29 614
6894 목숨을 바쳐도 전혀 아깝지 않는 것 예언 2014.09.29 553
6893 온라인 서점 3 Pebbles 2014.09.29 590
6892 중국 네티즌들 김정일 4번째 부인이라고 올린 화제의 사진 입수!!! file 중꿔러 2014.09.29 701
6891 이 2사람 혹시 요? ~~~ 1 file 진실 2014.09.29 612
6890 하늘나라에 십계명이 있을까? 15 지경야인 2014.09.29 610
6889 세월호 희생자 성적모욕 일베 회원 '징역 1년' 선고 ... 중세의 교황과 똑같네 1 고의 2014.09.29 637
6888 카톡→텔레그램' 사이버 망명 "이제 몸만 옮겨오면 되겠군요" 카톡 누르고 무료앱 다운로드 1위 기록... 검찰 불신이 IT업계에 불똥 난리 2014.09.29 696
6887 잃어버린 우산 - 우순실 serendipity 2014.09.30 736
6886 산은 왜 타느냐고? 6 김균 2014.09.30 602
6885 Tears님....똥개와 기차. 6 나는똥개다 2014.09.30 580
6884 내 머리가 나빠서 (I have a bad head) 아침이슬 2014.09.30 682
6883 성소제도의 올바른 이해 1 하주민 2014.09.30 490
6882 성소제도의 올바른 이해 2 하주민 2014.09.30 408
6881 이렇게 읽으면.... 5 졸업생 2014.09.30 554
6880 시험이 우리에게 쏟아져 내릴 것입니다 예언 2014.09.30 805
6879 http://www.president.go.kr/ 파란 기와집 쥔장 2014.09.30 609
6878 [제주 4.3사건, 서북청년단...그리고 한경직] 그려 2014.09.30 573
6877 아저씨의 무릎 4 김균 2014.10.01 606
6876 카카오톡-텔레그램, 논란 불붙인 '사찰 사례' 기자회견 7 민초 2014.10.01 672
6875 진리냐 아니냐 보다 더 두려운것은 2 fallbaram 2014.10.01 610
6874 여론조작 수법 한 가지 언론ㄷㅅㄹ 2014.10.01 487
6873 실망과 재정적인 손실로 죽고 싶은... 예언 2014.10.01 595
6872 진풍경 4 수도승 2014.10.01 542
6871 마지막 큰 소리 외침 34 김운혁 2014.10.01 576
6870 민초 9월 통계 5 민 통계 2014.10.01 543
6869 똥개와 기차 그리고 석국인님 9 김균 2014.10.02 609
6868 금란교회 김홍도목사 사기미수, 무고, 위조사문서행사, 출판물에의한명예훼손으로 징역2년 법정구속 먹사 2014.10.02 659
6867 내가 읽은 것은 fallbaram 2014.10.02 592
6866 김혜수·송강호·박해일 등 "세월호 합의 참담해" 5 우체부 2014.10.02 1257
6865 [평화의 연찬 제134회 : 2014년 10월 04일(토)] “교회는 과연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까?” 라이트하우스 이영화 대표 1 cpckorea 2014.10.02 497
6864 <가난한자의 후광이신 하나님> 1 말씀 2014.10.02 606
6863 자신을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예언 2014.10.02 496
6862 제칠일 안식일에 예수님이 재림하신 다는 사실을 믿는 교회 => 복스런 교회 27 김운혁 2014.10.02 651
6861 왜 뾰쪽하게 되었을까? 하주민 2014.10.02 438
6860 이봉창 의사 '마지막사진' 발견 5 열사 2014.10.02 636
6859 아들보다 딸기 같은 딸을 원하는 요즘세상/김민정 4 2014.10.02 591
6858 영화 "클래식" OST (김광석 -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2 인생 2014.10.02 744
6857 가벼우면 흔들린다 11 2014.10.02 545
6856 정치 논쟁과 신학 논쟁을 넘어서 2 fallbaram 2014.10.03 469
6855 fallbaram님, 장인어른 갑니다. 8 장인어른 2014.10.03 592
6854 제칠일 안식일 준수는 우리 믿음의 증표임 2 석국인 2014.10.03 558
6853 [Daum 희망해] "구멍난 심장을 채워주세요" Daum에서 로그인 하셔서 '희망해' 맨 아래의 칸에 서명하시면 김시은 형제를 위하여 후원하시는 것입니다.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10.03 603
6852 낡은 자전거-안도현 1 fallbaram 2014.10.03 491
6851 [세월호 희생자와 실종자 그리고 유가족에게 바치는 곡(哭)] 하얀나비 - 심은경 (영화 '수상한그녀' OST) "......때가 되면 다시 필걸, 서러워 말아요... 꽃잎은 시들어 슬퍼하지 말아요. 때가 되면 다시 필걸, 서러워 말아요" / 물 속에 진 꽃들은 다시 피어 우리 곁에 올 것입니다. <이 곡은 너무도 역설적이어서 우리의 마음에 더 와닿습니다> 1 serendipity 2014.10.03 704
6850 [세월호 희생자와 실종자 그리고 유가족에게 바치는 곡(哭)] 빗물 - 심은경 (영화 '수상한 그녀' OST) "......돌아보면은 아무도 없고 쓸쓸하게 내리는 빗물. 조용히 비가 내리네 추억을 말해주듯이 이렇게 비가 내리면 그 사람 생각이 나네" serendipity 2014.10.03 646
6849 채은옥 - 10년 만에 돌아온 채은옥. 김정호의 '하얀나비'와 자신의 노래 '빗물' 외. 그대 잘 왔다 채은옥~, 기다렸다 채은옥~. 여전하구나! serendipity 2014.10.03 680
6848 이번주 안식일= 대속죄일= 티스리월 10일= 10월 4일 안식일 김운혁 2014.10.03 510
6847 테러집단 ‘서북청년단’ 부활! 그려 2014.10.03 548
6846 [조갑제 현대사 2] 김대중-노무현, 대한민국 위기에 결정적 이적행위 조갑제닷컴 2014.10.03 483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