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5.01.03 18:43

어울림

조회 수 689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이 나립니다. 조금 과장하면 송아지 눈망울만한 커다란 눈이 하늘에서 땅위로 자유낙하를 하고 있습니다. 새하얀 눈은 바람을 타고 빠르게 세상 속으로 파고 듭니다. 불과 몇 십분 사이에 세상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하얀 옷으로 갈아입은 세상의 모습이 마치 곱게 화장을 하고 수줍게 웃고 있는 소녀의 그것과 닮았습니다.


'나린다'는 표현이 퍽 마음에 듭니다. 한결 가볍고 정감어린 느낌을 안겨 줍니다. 그래서 '눈이 내린다' 보다는 '눈이 나린다'는 표현이 더 멋들어지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많은 눈이 나릴 것 같습니다. 저 눈과 함께 세상 사람들의 걱정과 시름, 한숨과 고민들이 함께 나리기를 희망해 봅니다. 퍽퍽하니까요, 무거우니까요, 까칠하니까요, 그리고 눈물이 자꾸 나니까요, 삶이 말입니다.


새해의 문이 열린지 삼일째입니다. 어떠신가요, 다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사실 타이핑이 끝난 수많은 글자들을 지워야만 했습니다.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을, 근거없는 낙관과 희망의 부질없음을 이야기하고 싶었지만 '새해'의 이미지에 투영되어 있는 강력한 마력을 도저히 깨뜨릴 수가 없었습니다. 새해에는 그래도 '희망'을 이야기 해야 하니까요. 그래서 눈물을 머금고 과감하게 몇몇의 이야기들을 기억의 창고로 순간이동을 시켜야만 했습니다.


'이왕 이렇게 된거' 오늘은 새해에 어울리는 이야기로 급변경을 해보기로 합니다. 이렇게 적고 보니 문득 '어울림'이란 단어가 마음의 문을 '톡톡'하고 두드립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울림'에 대한 글을 짧게 써 볼까 합니다. 주제를 정하고 보니 무한경쟁과 개인 이기주의에 찌들어 있는 세태에 제법 '어울리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해와도 잘 '어울리는' 메시지가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236D353754A87D5C0108FB



'어울림'은 무얼까, 하고 머리 속에 그려봅니다. 우리는 세상에 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많은 것들과 어울리며 살아가게 됩니다. '어울림'이란 단어는 웬지 모르게 밝고 정겹고, 신이 나고 동적이며, 긍정적인 느낌으로 다가 옵니다. 무엇인가와 어울린다는 것은 그 대상과 나와의 거리를 좁혀가면서 결국 그 대상과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 나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다른 누군가와 어울린다는 것은 굉장히 매력적인 일입니다. '어울림'을 통해서 지금까지 내가 보아온 세상과 다른 세상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 나와 다른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나와 다른 언어을 사용하고, 다른 생활방식과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림'으로써 어쩌면 우리는 예전에 미처 몰랐던 우리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보다 이해하기 쉽게 우리가 즐겨 먹는 김치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배추, 무, 파, 갓, 부추, 마늘, 생강, 액젖, 새우젖, 소금, 설탕, 고춧가루....


김치에 들어가는 재료들이 정말 많습니다. 김치는 이렇듯 이런 저런 개성있는 것들이 한 데 모여 버무려 진 후에야 비로소 맛깔스런 빛깔과 향이 나기 시작합니다. '어울림'이 김치를 만들기 위한 기본 중의 기본인 것입니다. 그런데 맛있고 풍미있는 김치가 만들어 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 있습니다. 그것이 무엇일까요?


맛있는 김치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재료들이 반드시 서로 서로를 깊이있게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처음 배추에 소금이 녹아들었듯이 서로의 고유한 개성들과 특성들을 받아들이고 조화를 이루어야만 합니다. 여기에 시간이라는 숙성의 과정이 곁들여지면 김치는 비로소 깊이있는 맛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명품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23103B4154A87E370378F4



김치를 예로 들었지만 사람사는 세상도 그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이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곳이 바로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서로를 인정해 주고 배려해 주며, 세워줄 때에야 사람의 내면에 자리잡고 있는 가치들이 빛을 내기 시작합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결코 빛을 낼 수가 없습니다. 함께 서로 어울릴 때 빛이 나고, 이를 통해 세상도 빛날 수 있습니다.


을미년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올 한해는 무엇보다 여러분과 저의 곁에 함께 더불어 어울리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누군가 나에게 다가오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내가 먼저 다른 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함께 가자고, 함께 어울리지고, 함께 나누자고, 그래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자고 서로 격려하고 보듬으며, 서로를 돌보는 모습들이 넘쳐나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마치 김치의 재료들이 서로를 받아들임으로써 점점 더 숙성되어 가는 것처럼 우리도 서로를 배려하고 어울림으로써 점점 더 성숙되어 가기를 진심으로 바래 봅니다.             

                                               < 아골- 바람부는 언덕님 글 >

  • ?
    아기자기 2015.01.03 20:02
    현실에서는 미생이 미생인 것은 완생을 못해서가 아니라 공생(어울림)을 못해서이기 때문일 겁니다.
    완생이 아니라 공생을 위한 삶이 미생이 맞갈나는 김치로서 완생하는 방법이겠습니다!
  • ?
    배달원 2015.01.03 22:47
    그렇습니다.
    공생에서 오는 행복을 실천한 사람만이
    알수 있을것 이지요
    일반적으로 사람에 욕심은 끝이 없어
    부단히 만족하려고 노력을 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커질수 밖에 없지요.
    욕심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보다 어려운 이웃을 위해 베푸는 것에서
    배울수 있을것 입니다.
    이런 사람은
    항상 풍족하며 행복할수 있을것 입니다.
    욕심을 채워
    결코 행복할 수는 없게
    만드신것 같습니다.
  • ?
    아침이슬 2015.01.03 23:06
    Thank you for sharing your thoughts
    this morning, it is my conviction as well.
    You have blessed me immensely with a loving
    heart for the needy. Praise God!
  • ?
    fallbaram 2015.01.04 00:49
    김치 한포기 담아보려고 나는 그리도 기침이 날 두드릴때마다 일어나 민초에 들러서
    양념 (댓글)도 뿌리고 이웃집 아저씨 이름도 불러보고 그랬던 모양이다.
    오늘은 제대로 김치 담는법 배웠으니 앞으론 더 많은이들이 좋아하는 김치를 담울 수 있겠지?

    고추가루 뿌리는것은 알겠는데
    가장 잘 어울리는 소금이 무슨 소금인가요?
    어울림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99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99
10695 [월드화제] 유럽 교회의 몰락..옷가게·체육관·술집으로 탈바꿈 씁쓸(펌) 4 유럽발 2015.01.04 928
10694 우리를 버리시나이까? 3 file 건너마을정진이 2015.01.04 786
10693 너의 목소리가 들려 2 김균 2015.01.03 902
10692 응답하라 유재춘 7 김균 2015.01.03 970
10691 Hayley Westenra - Pie Jesu (live) pie 2015.01.03 713
10690 "예수가 미쳤나 보다, 지 자식도 못 알아보고" 인디 2015.01.03 729
10689 김운혁님, 측은지심님의 충고를 받아들이시기 바랍니다. 김원일 2015.01.03 900
» 어울림 4 배달원 2015.01.03 689
10687 <늦은비 성령>은 이것이 이루어져야 내립니다 예언 2015.01.03 850
10686 서민 대통령 노무현 - 그 미완의 도전 9 새마음 2015.01.03 796
10685 노무현 명연설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1 새마음 2015.01.03 879
10684 핍박의 정신이 불타오르게 되면 가족간에 핍박할것임 22 김운혁 2015.01.03 793
10683 버지니아 교회에서 쫓겨나다 14 김운혁 2015.01.03 1106
10682 이 말에 얼마만큼 동의하십니까? 5 김원일 2015.01.03 894
10681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5년 1월 3일 토요일> 3 세돌이 2015.01.03 704
10680 생일 축하 한다! 5 아침이슬 2015.01.02 907
10679 요즘 왜 김균님과 김운혁님이 안 보이시나요? 예언 2015.01.02 718
10678 너무도 중대한 마지막 기별 예언 2015.01.02 713
10677 라이파이를 아시나요 5 fallbaram. 2015.01.02 821
10676 美, 정찰총국 등 北 기관 3곳·개인 10명에 추가 제재 부과…소니 해킹 관련 첫 공식대응 공식 2015.01.02 768
10675 한국에서는 꿈도 못 꿀일 1. 1 새해 2015.01.02 829
10674 창조주 하나님이 계시는 곳! (하늘, 하늘 저편에 ~ ~ ~ 영상을 통해서 본다) 4 하늘23 2015.01.02 858
10673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5년 1월 2일 금요일> 1 세돌이 2015.01.01 797
10672 인사 8 바다 2015.01.01 844
10671 벌레먹은 성경 하주민 2015.01.01 648
10670 신 없이 산 1년의 결론 8 모순 2015.01.01 958
10669 창조의 원리 4 southern cross 2015.01.01 857
10668 님아! 이강을 꼭 건너야 하오-잔인하고 잔혹했던 결별 (제 5집) 5 fallbaram. 2015.01.01 895
10667 거꾸로 불구자 3 아기자기 2015.01.01 597
10666 2014년 이 누리의 인물 4 김원일 2015.01.01 1012
10665 민철이 행님 재츄이 행님 그리고 잠수목사 8 fallbaram. 2015.01.01 952
10664 일년전에 올린기도 다시 올리며 2 fallbaram. 2014.12.31 815
10663 [2015년 1월 3일(토)] 제1부 38평화 (제8회) (3:30-3:55): 굴곡진 역사에 대한 인식과 우리가 할 일 · 최창규 // 제2부 평화의 연찬 (제147회) (4:00-6:00): 1904년의 역사적 의미 · 김홍주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4.12.31 918
10662 다시 쓰는 새해를 맞는 기도 7 아기자기 2014.12.31 874
1066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먼동 2014.12.31 739
10660 건너면 완생 건너지 못하면 미생-세번의 임무교대 (제 4집) 7 fallbaram. 2014.12.31 780
10659 이익보다 사람이 먼저다. 몬드라곤 (펌글) 해람 2014.12.31 2097
10658 몬드라곤에서 배우자...(펌글) 1 해람 2014.12.31 560
10657 I only have one life to live… 9 아침이슬 2014.12.31 802
10656 비뇨기과에서 내 존슨을 잃었다 1 file ㅇㅇ 2014.12.31 837
10655 웃어요, 웃어봐요 -haaha 20 fmla 2014.12.31 949
10654 인사! 4 fallbaram. 2014.12.31 696
10653 [관리자에게 드리고 싶은 몇가지 제안] . . . 새해 2015년 부터는 . . . (수정 87 에서) 2 lake 2014.12.31 699
10652 왜 해킹만 터졌다하면 북한의 소행인가 1 동북 2014.12.31 593
10651 많은 사람들이 침실에서... 예언 2014.12.31 677
10650 美 보안업체 "소니 해킹은 前 직원 6명 소행" FBI에 보고서 전달 / 조선일보 한국 2014.12.30 510
10649 암닭과 마마보이 10 돌베개 2014.12.30 694
10648 탕녀 아제리나의 글을 읽고-흑장미 한송이 3 fallbaram. 2014.12.30 626
10647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4년 12월 31일 수요일> 2 세돌이 2014.12.30 557
10646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4년 12월 30일 화요일> 세돌이 2014.12.30 721
10645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4년 12월 29일 월요일> 세돌이 2014.12.30 658
10644 Welcoming the weary travelers of journey!!! May He watch over you And keep you safe from harm. 6 Windwalker 2014.12.30 580
10643 원수?를 사랑한 재림 청년 병사 1 임용 2014.12.30 512
10642 진리가 다가와 문을 두드릴때....(펌글) 1 해람 2014.12.30 439
10641 오준대사의 명연설 전문 4 오준짱 2014.12.30 904
10640 님아! 이 강을 꼭 건너야 하오-제 3집 5 fallbaram. 2014.12.30 671
10639 재림교회 교우 " 미국 대통령 (?) " 이 보인다. 3 만일 2014.12.30 636
10638 닭 공장 주변의 닭들... 14 돌베개 2014.12.30 764
10637 조JK님의 댓글(2014.12.02) - 신은미 작가 특별 강연)에 '아니면' - "아니다" 라는 답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 신앙 2014.12.30 547
10636 "오준" 그는 세계의 양심을 울렸다! 7 일휴당 2014.12.30 577
10635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4년 12월 27일 토요일> 세돌이 2014.12.30 570
10634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4년 12월 26일 금요일> 세돌이 2014.12.30 595
10633 님아 이강을 꼭 건너야 하오-제 2집 fallbaram. 2014.12.29 513
10632 신 없이 산 일년 모순 2014.12.29 571
10631 유혹이 강하게 밀려올 때, 죄를 짓지 않는 방법 예언 2014.12.29 557
10630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임용 2014.12.29 477
10629 제 17회 미주 재림 연수회 안내 file 새벽별 2014.12.29 594
10628 연말특집-님아! 이강을 꼭 건너야 하오 (제 1부) fallbaram. 2014.12.29 614
10627 거품 가득한 새해가 되소서 5 fallbaram. 2014.12.29 634
10626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2014년 12월 25일 목요일> 1 세돌이 2014.12.28 572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