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98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프란치스코 교황의 1년, 걸어온 길


257DC83A53218C460ADCEC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해 9월 18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의 설교를 듣기 위해 모인 신도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가난한 자를 위한 가난한 교회”를 외치며 빈곤과 불평등 문제에 적극 맞설 것을 주문한 교황 프란치스코가 13일로 선출 1년을 맞는다. 프란치스코는 역대 교황 중 처음으로 ‘빈자들의 성인’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즉위명으로 택하며 가난과 차별, 불평등의 문제를 교회의 중심으로 끌어왔다.

교황은 “가난은 우리를 우상에서 멀어지게 하고 신으로 향하는 문을 연다.”면서 가난의 복음적 가치를 강조하며 부의 불평등을 비판했다. 그는 지난해 7월 이탈리아의 람페두사 섬의 난민수용소를 찾아 “불평등에 무감각한 채로 남아 있는 것은 빈부 격차를 키울 뿐”이라며 억압받는 자 스스로 현실에 맞서 싸울 것을 강조했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권고문 ‘복음의 기쁨’에서는 “안온한 성전 안에만 머물며 고립된 교회가 아니라 거리로 뛰쳐나가 멍들고 상처받고 더러워진 교회를 원한다.”면서 교회가 적극적으로 세상과 대화하고 만날 것을 주문했다.

‘낮은 곳으로’ 파격 행보… “가난한 교회” 외치며 현실 참여 촉구

교황이 가난과 불평등을 비판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유럽에 마르크스주의가 확산되던 1891년 당시 교황 레오 13세는 “대다수 노동계급은 너무나 불공평하게 곤궁함과 비참함을 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임 교황 베네딕토 16세도 지난해 신년 미사에서 “날로 커져 가는 부자와 빈자 사이의 불평등이 긴장과 분쟁을 낳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황 프란치스코는 가난과 불평등을 말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특권을 내려놓는 데는 인색했던 이전 교황들과 달랐다. 그는 교황궁 대신 다른 성직자들과 함께 지내는 바티칸의 산타 마르타 게스트하우스를 숙소로 정했다. 고립 대신 ‘만남’을 중시하는 그의 기질 때문이기도 하지만 검소함을 실천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지난 3월 9일 로마 교외로 피정을 떠날 때도 다른 교황청 직원들과 함께 버스로 이동했다. 지난달에는 모국인 아르헨티나 여권을 갱신해 교황청 국가원수라는 의전 특권을 거부했다.

자본주의를 새로운 형태의 독재로, 세계화의 중심에 인간이 아닌 돈이 있다고 비판한 교황을 보수 교계는 마르크스주의자라고 공격했다. 교황은 이를 부정하면서도 “내 인생에서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을 만나 왔다. 그들은 좋은 사람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마르크스주의자라 불려도) 화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개인의 부는 사회에서 빌린 것으로, 모든 경제는 빈자와 최약자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평가받는다는 교회의 가르침에 부합한다는 반론도 했다.

24174A3453218C692C01F1

구호시설 아기에게 입을 맞추고 있는 교황(왼쪽 사진). 요르단 국왕 부인에게 허리 숙여 인사하는 교황(오른쪽 사진).

가난과 함께 사랑은 교황의 주요 주제였다. 그는 “하느님이 보실 때 나는 죄인”이라며 교회의 가르침을 자비롭게 적용할 것을 강조했다. “무신론자는 양심에 따라 살면 된다.”거나 “동성애자가 선한 의지로 신을 찾는다면 심판할 수 없다.”는 발언에서 이런 교황의 관용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는 교회는 “야전병원”이라면서 “피 흘리며 쓰러져 있는 사람에게 콜레스테롤 수치 따위를 묻는 게 무슨 소용이냐.”며 원칙보다 상황을 먼저 고려할 것을 강조했다.

검소하고 낮은 행보,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 소수자에 대한 관용적 태도로 교황 프란치스코는 교회를 넘어 전 세계인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야기한 주제가 ‘교황 프란치스코’였을 정도로 그는 “지구상에서 가장 매력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클라우디오 셀리 교황청 사회홍보평의회 대주교는 지난 3일 바티칸 라디오에서 교황에 대해 “똑같은 예수의 복음을 전하면서도 마음을 두드리는 선율을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과제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은 교회 내부의 개혁 열망을 반영한 결과였다. 프란시스 조지 미국 시카고 대주교는 “그의 뒤에 놓인 ‘쓰레기’로부터 주관적으로 그리고 객관적으로 자유로운 사람이어야 한다는 ‘자유’의 원칙이 콘클라베(교황 선출 비밀회의)에 있었다.”며 “논의가 계속되면서 베르골리오 추기경이 이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세속에선 무명이었지만 교황은 2005년 베네딕토 16세를 선출한 콘클라베 1차 투표에서도 40표를 획득해 72표를 얻은 당시 라칭거 추기경에 이어 2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황청 부패 해결을 위해 관료조직의 입김에서 자유로운 사람을 선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전부터 높았다는 뜻이다. 교황청 개혁을 위해 8명의 추기경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꾸리고, 금융감독기구인 경제사무국을 창설한 데는 이런 밑바탕의 지지가 있었다.

교황청 개혁은 첫발을 내디뎠지만 사제들의 아동 성학대 문제에는 미온적 대처로 반발을 샀다. 교황은 지난 5일 “교회는 이 문제에 투명성과 책임감을 갖고 대응해 온 아마도 유일한 공적 기관”이며 “아동에 대한 성폭력은 거의 대부분이 가정이나 그 주변에서 일어난다.”는 책임 회피성 발언을 해 비판을 받았다.

교황 취임 후 세계 각지에서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수가 늘 정도로 교황 개인은 높은 지지를 받고 있지만 가톨릭 교리와 일반 신자들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가 날로 커지는 점은 고민거리다. 지난 2월 스페인어 방송국인 유니비전의 여론조사 결과 ‘낙태를 전부 혹은 일정 상황에서 허용할 수 있다.’는 의견은 전체의 66%나 됐다. 고해성사에 참여하는 신자는 거의 사라져 사제의 면죄권이 개인의 양심의 자유에 자리를 내주고 있다. 교황은 교리와 인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가톨릭 가치를 고수하면서도 상황을 고려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황은 지난해 8월 성 이그나티우스를 인용해 “위대한 원칙은 반드시 장소와 시간, 사람이라는 상황 안에서 구현돼야 한다.”며 “기독교인이 복고주의자, 법률주의자이거나 모든 것이 분명하고 안전하길 원한다면, 아무것도 찾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리와 현실 간의 불일치를 좁히기 위한 또 하나의 시도로 교황은 오는 10월 추기경 회의(시노드)를 소집해 ‘가족’에 관한 문제를 논의한다. 지난해 11월에는 전 세계 신자들을 상대로 성과 가족의 문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작했다. 교황이 이전 교황들이 피해 왔던 가족과 성이라는 주제를 전면에 내건 이유는 실상 그보다 더 중요한 과제인 ‘사회적 죄’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교황은 지난해 9월 “(동성애와 미혼모, 낙태 등) 성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 죄로 관심을 돌리는 데 방해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장기적 관심이 차별과 불평등 해소에 있다는 뜻이다. [경향신문 주명재 기자 ㅣ 2014.03.12]

 

교황 방한, 한반도 화해 분위기 높일 것

김근수 | 평신도 신학자. <행동하는 예수> 저자

프란치스코 교황은 참 평범한 보통사람이었다. 소년 시절에는 신체가 마비된 어머니를 대신해 요리를 하고 공장에서 청소를 했다. 추기경이 되어서도 혼자 시장에 가서 물건을 사고 요리를 해서 먹었다. 주말 저녁마다 버스를 타고 혼자서 빈민가를 방문했다. 조그만 집무실에 스파게티 봉지를 쌓아 두고 방문객에게 손수 스파게티를 요리해 대접했다. 11살 연하의 66살 누이동생이 오빠의 교황 취임식에 오려고 했다. 신임 교황은 전화를 걸어 로마에 오지 못하게 설득했다. 그 여행 경비를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라는 뜻이었다.

그가 교황이 됐다는 사실이 우리 시대 가난한 사람들에게 준 가장 큰 기쁨일 것이다. 그 교황이 한국에 온다. 교황 방한은 이 땅에 무엇을 가져올까. 교황은 천주교 신자들을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우선 가난한 사람들에게 온다. 교황은 가난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한민족의 운명을 우선적으로 생각할 것이다.

나는 교황 방한을 환영하지만 방한 일정에는 약간의 불만이 있다. 작년 브라질 성체대회에서 교황은 브라질의 빈민가를 흔쾌히 찾았다. 그러나 이번 방한 때 교황이 가난한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는 것 같다. 꽃동네를 찾는다지만 한때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곳이다. 꽃동네보다는 한국 사회의 고통이 생생한 제주 강정마을 등 갈등 현장을 찾아가면 좋겠다. 그곳에서 교황의 ‘진정한’ 사제들인 정의구현사제단과 함께 길거리 미사를 올렸으면 한다. 북한을 위한 미사를 명동성당보다는 판문점 근처에서 하면 더 뜻깊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교황이 북한까지 방문하려는 노력을 보였으면 참 좋겠다. 아직 시간이 있으니 일부 일정에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

교황 방한은 우선 한반도의 화해 분위기를 높일 것이다. 시복식은 신앙을 위해 목숨을 버린 선조들을 복권시키는 계기이다. 그분들은 대부분 제사를 지내는 문제와 관련돼 희생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제사 문제에 대해 일관된 의견을 유지하지 못한 당시 교황청의 실수를 언급했으면 좋겠다. 일제 식민지 시대에 신사참배를 격려하고, 해방 정국에서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거를 지지한 한국 천주교의 잘못에 대해서도 한 말씀이 있으면 한다.

교황 방한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높아질 절호의 기회다. 가난한 사람들을 존중하는 행동은 그리스도교의 임무 중 하나다. 가난의 원인에 대한 교황의 비판이 중요하게 들린다. 가난의 원인에 대한 저항과 투쟁이 그리스도교 신앙에 아주 중요하다. 규제받지 않는 자본권력을 새로운 독재로 규정한 교황의 가르침이 주목된다.

가난한 교회를 바라는 교황 방문을 계기로 한국천주교도 변화의 바람을 맞이할 것이다. 오늘의 한국천주교가 가난한 사람들을 편들거나 가난하게 살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한국의 추기경, 주교, 사제들도 교황처럼 가난하게 살고 가난한 사람들의 손을 잡는 모습을 배우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교황 방한은 한국의 종교들에 희망의 근원이 되기를 재촉할 것이다. 희망이라는 단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이 종교이지만, 한국의 종교처럼 희망이 없는 곳도 별로 없다. 교황 방한은 불교, 개신교 등 이웃 종교뿐 아니라 언론, 법조계 등 각 분야에 반성을 촉구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아르헨티나를 방문하여 독재자 비델라를 대통령궁에서 만났다. 1976~83년 군사정권 시절 집권자였던 비델라는 지금 77살 나이에 50년 징역형을 살고 있다.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전두환 대통령을 청와대에서 만났다. 박근혜 대통령은 교황 방한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면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말한다. “십자가를 지고 가지 않는다면, 세속적으로 우리는 주교요, 사제요, 추기경이요, 교황일 수 있지만, 주님의 진정한 제자는 될 수 없습니다. 진정한 권위는 봉사라는 사실을 결코 잊지 맙시다. 아주 가난하고, 약하고,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사람들을 끌어안아야 합니다.” 그 말씀은 사제들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새길 말이다.

교황 방한은 한국인에게 큰 기쁨이다. 부자나 권력자와 근본적으로 다르게 사는 교황을 가까이에서 지켜보는 기쁨은 크다. 프란치스코 교황처럼 가난한 사람들을 편드는 지도자가 지금 세상 어디에 있는가.

프란치스코 교황이 훌륭한 분이지만, 우선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깨어 있어야 한다. 가난한 사람들이 깨어 있어야 한다. 우리 모두가 진정으로 깨어 있어서 그분을 맞이하고 보내 드려야 한다. 우리 민족의 운명을 결정하는 사람은 결국 우리 자신이다. 위대한 메시아를 기다리기보다 우리 모두 메시아가 되어야 한다.

뛰어난 교황 한 사람으로는 세상도 교회도 바뀌지 않는다. 우리 각자가 교황보다 더 뛰어난 또 다른 예수가 되어야 한다. 그러한 깨달음이 아마도 교황 방한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긍정적 효과일 것이다.

  • ?
    배운대로 2015.01.05 05:03
    짐승, 666 맞을까요? 그렇게 배워서....
  • ?
    Windwalker 2015.01.05 20:20
    이제는 그런 우매한 가르침에서 깨어날 때가 되지 않았습니까?
    동냥은 주지 못할 망정 쪽박은 깨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0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10
10765 잠수목사의 맛있는 요리를 부러워 합니다 김기대 2015.01.11 575
10764 엄마 나이 7 아침이슬 2015.01.11 545
10763 예수님의 humanity ( 6 ) - 그대가 사람이라면, 그 개를 개 xx 라고 욕하지 말라. 그리움을 잊어버리고 목석처럼 사느니 차라리 개처럼 사는 게 낫지. 잠 수 2015.01.11 623
10762 천사들에게 감시 당하는 민초. 7 세르반테스 2015.01.11 562
10761 여하한 시기를 정하는 일도 조심하라/ 주어진 기회들을 이용하라 1 파수꾼과 평신도 2015.01.11 479
10760 The Messiah Will Come Again 한국인 2015.01.11 448
10759 강원도 고성 겨울바다 춥다 춤춘다 파도가 내게 묻는다 1 동해루 2015.01.11 591
10758 오! 노 file 뉴욕 2015.01.11 494
10757 ‘내일을 위한 시간’은 존재하는가? 김원일 2015.01.10 540
10756 교회의 징계 문제로 삼아야 할 교인 예언 2015.01.10 511
10755 김운혁님께 질문입니다. 14 나그네 2015.01.10 584
10754 하면 된다 아침이슬 2015.01.10 439
10753 이게 말이됩니까 ? 예의도 상식도 없는 이 태도 20 오만과 편견 2015.01.10 709
10752 예수님의 humanity ( 5 ) -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잠 수 2015.01.10 627
10751 목사는 얼굴에 철판을 깔고 비판받을 각오를 해야 합니다 1 예언 2015.01.10 498
10750 "마음까지 강제출국 시킬순 없어" 3 종북몰이 2015.01.10 483
10749 [224회] 김창옥의 포프리쇼 - 삶의 생수를 마셔야 한다 serendipity 2015.01.09 654
10748 돈키혁태 13 돈키호테 2015.01.09 647
10747 돌출 행동 김영한, 검사 시절 맥주병으로 기자 폭행 유비 2015.01.09 543
10746 조국 "정윤회 실세 의혹, 특검으로 가야" 유비 2015.01.09 431
10745 빌어 먹을 상 그리고 벌어 먹을 상 5 fallbaram 2015.01.09 589
10744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사실들 <2015년 1월 6일(화)> 세돌이 2015.01.09 465
10743 신문을 통해 알게된 사실들 <2015년 1월 5일(월)> 세돌이 2015.01.09 540
10742 천연계의 폭력, 인간의 죄, 하나님 16 file 김주영 2015.01.09 757
10741 안식일 교인들이 꼭 읽어야 할 기사 좋은 기사 2015.01.09 564
10740 [2015년 1월 10일(토)] 평화의 연찬 (제149회) 제1부 “침몰하는 것들” / 제2부  “참 평화와 거짓 평화”   1 최창규 2015.01.08 432
10739 새로운 빛...새로운 계시 2 예언 2015.01.08 430
10738 전두엽과 짐승의 표 하주민 2015.01.08 588
10737 다음은 어디? 다음 2015.01.08 487
10736 [★포토] 김부선, 노란리본 목에 걸고 대~한민국 2015.01.08 623
10735 세월호 유가족 “MBC 너희들은 어디까지 갈 것이냐” 야만 2015.01.07 471
10734 종말론의 종말 14 종말론종말 2015.01.07 705
10733 피흘리고, 눈을 빼고 손을 잘라야 합니다 예언 2015.01.07 505
10732 교회 살리는 길. 다섯 "살리는 회의 죽이는 회의" 3 임용 2015.01.07 565
10731 예수님의 humanity ( 4 ) - 재빠른 발걸음도 빈틈없는 리듬도 반 박자만 낮추고 이제는 더러더러 흘리고 살자 잠 수 2015.01.07 658
10730 재림날짜보다 더한 실망감 7 김균 2015.01.07 767
10729 이재명 성남시장 '세월호 실소유주는 국정원'..SNS 논쟁 가열 / 연제욱 전 사령관, 댓글 오탈자까지 '깨알 지시' 적그리스도 2015.01.07 552
10728 잡생각 하나더 4 fallbaram 2015.01.07 603
10727 [단독] “박원순 빨갱이인 줄 모르고…” “좌빨 대통령 안돼” 1 Dung 2015.01.06 673
10726 영문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5 Windwalker 2015.01.06 596
10725 유시민이 말하는 박근혜 민수 2015.01.06 595
10724 많은 교인들이 <저열한 정욕>에 빠져 있습니다 예언 2015.01.06 549
10723 예수님의 humanity ( 3 ) - 나의 참된 친구 되신 구주 예수 잠 수 2015.01.06 726
10722 윌리엄 밀러와 김운혁님의 공통점과 차이점 22 모순 2015.01.06 902
10721 '무신론 실험' 美 안식일 교단 목회자, 결국 "하나님 없다" 선언 (한글판 퍼온 기사) 6 돌베개 2015.01.06 920
10720 20년 안식일교단 목사의 하나님과 결별. (펀글) 돌베개 2015.01.06 1454
10719 for hyuk 2 forhyuk 2015.01.06 775
10718 한국에 성령의 불길이 타오르고 있습니다 예언 2015.01.05 922
10717 <일요일휴업령>때, 이마에 <하나님의 인>을 못받는 재림교인 예언 2015.01.05 910
10716 준엄한 자기 비판 임용 2015.01.05 726
10715 건방 떨다 호되게 한방 먹었다. 1 임용 2015.01.05 870
10714 순전히 잡생각 하나? (Invitation of angels) 11 fallbaram 2015.01.05 964
10713 김용옥 논술세대를 위한 철학교실 48 이념의 종언 박정희 수로왕 2015.01.05 822
10712 에스겔 1:1과 서기 30년 4월 5일 십자가 사건 김운혁 2015.01.05 767
10711 “인간에 대한 예의가 실종된 사회” - 세월호 참사를 보며, 흔들리는 세상에서 흔들리는 걸음으로 이양 2015.01.05 671
10710 '당신이 대통령이어선 안 되는 이유’ 박군 2015.01.05 586
10709 에스겔의 행위 예언과 계시록의 1260일간의 두 증인 2 김운혁 2015.01.05 754
» 프란치스코 교황의 1년, 걸어온 길 2 랄랄라 2015.01.05 798
10707 가장 견디기 어려운 처지 예언 2015.01.04 697
10706 예수님의 humanity ( 2 ) - 전라도 길 소록도로 가는 길 잠 수 2015.01.04 729
10705 교회 그림 새로 그리기 7 file 김주영 2015.01.04 972
10704 기가 막히는 어린이의 피아노 연주 1 왈수 2015.01.04 916
10703 피 먹은 나는 예수를 잉태한 성모 마리아/ 나비 6 김균 2015.01.04 832
10702 고요함은 더 무섭다 6 김균 2015.01.04 866
10701 오늘은 기쁜 날 3 fallbaram 2015.01.04 747
10700 김운혁님께 조심스럽게 한 말씀드립니다 3 임용 2015.01.04 810
10699 예수님의 humanity ( 1 ) - 미아리 눈물 고개 님이 떠난 이별 고개 잠 수 2015.01.04 696
10698 빈대로부터 교훈을 얻은 고 정주영 회장 2 임용 2015.01.04 938
10697 노무현과 박정희. 2 역사의 奸智 2015.01.04 723
10696 남은 3년. 남탓 2015.01.04 711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