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52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난해 12월 17일 개봉해 지난 13일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국제시장>. 황정민의 연기로도 유명하지만, 이념 논란이 끊이지 않는 영화로 더 유명하다. 허지웅씨를 비롯한 일부 진보 진영은 '혹평'을, <TV조선>을 비롯한 보수 진영들은 '찬사'를 보냈다. 게다가 박근혜 대통령이 <국제시장>에 대해 "부부싸움 하다가도 애국가가 들리니까 국기 배례를 하더라", "우리가 그렇게 해야 나라라는 소중한 우리의 공동체가 건전하게 발전한다"고 언급했다는 기사도 이슈로 떠올랐다.

도대체 어떤 영화길래 이렇게까지 논란이 된 걸까? 어떤 영화길래 대통령까지 언급하는 걸까? 도대체 무슨 내용일까 궁금했다. 그래서 <국제시장>을 못 본 친구와 후배들을 데리고 영화관을 찾았다.

국제시장 관람 후 국제시장 통닭집에서 <부마항쟁>을 토론하다

기사 관련 사진
▲  영화 <국제시장> 포스터.
ⓒ 영화 <국제시장>

관련사진보기


영화를 예매하려고 <국제시장>을 검색했는데, 국제시장이 부산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나는 고향은 울산이지만, 학교가 부산인 대학생이라 부산에 살고 있다. 그래서 이왕 보기로 한 거, 국제시장 근처에서 영화를 보는 게 더 의미있을 것 같아 부산 남포동 대영시네마에서 영화를 보기로 결정했다. 

영화는 생각보다 평범한 내용이었다. 쉽게 말해 한 가정의 장남 '덕수'의 희생을 통해 보는 우리나라의 옛날 이야기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세대가 불편하게 느낄 만한 장면도 있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주인공 중심의 드라마틱한 영화임에는 틀림없었다. 

같이 본 친구와 후배들은 어떻게 느꼈을까. 나와 생각이 비슷할까. 다른 점을 느끼진 않았을까. 이야기해 보고 싶었다. 오후 9시. 근처 맛있는 닭집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해 그 집으로 망설임 없이 향했다.

"영화 어땠어?"
"생각보다 무난했어요. (영화에) 정치색이 있다고 하도 그래서 신경 쓰면서 봤는데도, 딱히 정치색이 드러나는 부분은 못 봤어요."

그 후배는 말을 더 이어갔다.

"근데 아무리 짧아도 한 시대를 다루는 내용인데, 너무 고생하는 주인공 위주로 가다 보니 역사적 사건들을 제대로 다루지 않았어요. 특히 (영화의 배경이) 부산이면, 부마 항쟁도 엄청 큰 사건인데... 이야기 흐름 상 빠지긴 했겠지만 좀 그랬어요. 이래서 편향적이니, 아니니 그런 얘기가 나오는 거 같아요."

이어 역사 동아리를 한다는 후배답게 '부마항쟁'을 이야기하며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줬다.

"부마항쟁(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과 마산에서 벌어진 민주화 항쟁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독재 체제에 대한 민중의 불만이 폭발한 사건)이 국제시장에서 벌어진 거 아세요? 시작은 부산대 학생들이 했는데, 국제시장 상인들이 대학생들을 되게 많이 도와줬대요. 

박정희 대통령 때 석유 파동이 있어서 경제적으로 엄청 힘들었는데, 그 와중에 '부가가치세' 제도가 도입됐거든요. (그 제도로) 특히 상인들이 직접 타격을 입으니까 더 못 살겠다고 불만이 장난 아니었는데, 때마침 대학생들이 유신 철폐하겠다고 나서니 지지를 많이 했대요."

기사 관련 사진
▲  국제시장의 거리
ⓒ 김지희

관련사진보기


난생 처음 듣는 이야기였다. 부가가치세가 박정희 때 생긴 것도 몰랐고, 국제시장에 있는 상인들이 부마항쟁을 도와줬다는 사실도 생경했다. 사실 이 당시에는 반공 교육도 심각하고, 집회의 자유도 제대로 보장되지 않아 집회에 가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선택이었을 텐데... 당시 상인들의 삶이 상당히 힘든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었을 거라 짐작해본다.

"물론 부가가치세뿐만 아니라 재벌 위주의 정책, 끔찍한 노동 환경과 쥐꼬리만한 월급 등 노동자의 희생으로 성공한 수출 주도 경제 성장, 미친 듯한 물가 상승 등... 박정희 대통령이 했다는 그 경제 성장이 다 이런 데서 비롯됐죠. 결국 서민들은 엄청 힘들게 살았구요. 근데 박정희 대통령 덕분에 다 경제 성장한 것처럼 말하죠."

후배의 말에 고개를 끄덕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잘했다고 말하는 것은 전부 다 경제 성장과 관련한 이야기지만, 실제로 이것은 당시 수많은 노동자들의 희생 덕분에 이룬 것이었다. 질문 하나를 더 던졌다.

"근데 부마항쟁은 YH 사건이 일어나고, 김영삼이 제명당해 생긴 거 아냐?"
"그게 결정적이긴 했지만, 부마항쟁이 딱 잘라서 YH사건, 김영삼 제명 때문이다 이렇게 말할 수는 없죠. 계속해서 박정희 독재 정권에 대한 불만이 쌓여 있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그 당시 사람들이 대부분 거리로 나온 항쟁이 됐고... 그 중 국제시장 상인들도 그만큼 살기 힘든 상황에 처해 있었으니 많이 도와준 거구요."

항상 역사를 배울 때는 특정 시기, 단편적인 사건들을 위주로 다룬다. 하지만 실제 역사는 그렇지 않다. 지금 뉴스에 나오는 몇 가지 사건만으로는 이 전체 역사를 알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아버지와 딸의 시대, 별 다를 바 없다

기사 관련 사진
▲  국제시장의 한산한 거리
ⓒ 김지희

관련사진보기


"결국 지금이랑 별 다를 바가 없는 것 같아요. 담뱃값도 올리고, 유류세도 절대 못 내린다고 하고... 세금으로 서민들을 힘들게 하는 건 아버지와 딸이 비슷하네요."

듣고 있던 또 다른 후배가 말했다. 

"부마항쟁 때야 부가가치세는 상인에게 직접 타격이 가니까 특히 상인들이 (항쟁에) 많이 도와줬는데... 지금은 담배 피는 모든 사람들, 기름 쓰는 사람들... 사실상 모든 사람이 힘들게 살잖아요."

맞는 말이다. 그 당시와 지금, 경제 정책이 특별히 다르지는 않은 것 같다. 재벌만 챙기는 경제 정책, 노동 환경과 월급을 보장해주지 않는 정책들은 지금 이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국민을 힘들게 하고 있다. 옆에 있던 친구가 한 마디 보탠다. 

"마치 평행이론 같다. 아버지가 대통령 할 때나, 딸이 대통령 할 때나 차이가 없네."
"그렇네~ 생각해보니까 YH 사건 때문에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가 제명된 것도 약간 (이번에) 진보당 해산된 거랑 좀 비슷한 맥락인 것 같은데?"

친구는 지금과 옛날이 비슷한 걸 알고 신기해했다. 국민의 목소리를 담아서 움직여야 하는 게 정부고, 국가인데. 이건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

대통령님, 부마항쟁을 아시나요?

어쩌다 보니 <국제시장> 이야기하다가 부마항쟁에 대해 쭉 얘기를 하게 됐다. 시간은 어느덧 오후 10시를 지나고 있었다. 

대화를 나누다가 문득 드는 생각이 있었다. 내가 알기로는 부마항쟁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결국 정권을 내려놓는 도화선이었다. 그렇다면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 대통령이, 부마항쟁의 항쟁지였던 '국제시장'이 배경인 영화를 보고 애국심을 배웠다는 건 참 아이러니한 일이 아닌가.

"박근혜 대통령이 부마항쟁을 알까? 알았으면 저렇게 영화를 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단지 태극기 보고 경례하는 것만 가지고? 나라면 못했을 거 같다. 듣고 보니 소름이 끼치네."

뜬금없이 자신의 생각을 밝힌 친구는 나와 같은 생각을 했나 보다. 

"솔직히 국가의 대표가 대통령인데. 우리나라의 역사를 잘 모르는 건 진짜 심각한 거잖아? 역사를 알아야 미래를 알지..."

부마항쟁 때와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는 요즘. 그렇다면 지금 이 시기 박근혜 대통령 입장에선 긴장해야 될 시기이지 않을까? 실제로 정권을 잡은 부녀 모두 서민보다 재벌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고(아버지는 펼쳤고), 그 분노를 표출한 부마항쟁을 계기로 박정희 대통령은 권좌에서 내려와야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역사 공부를 좀 열심히 하셔서 부디 똑같은 노선을 밟지 않길 바란다.

거꾸로 우리는 부마항쟁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들을 제대로 배워서, 단지 <국제시장>이 유명한 영화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제시장에서 있었던 부마항쟁의 역사를 잊지 않아야 할 것이다. 현재 역사를 쓰고 있는 우리에게 더 막중한 임무가 있음을 느끼며 술잔을 기울였다.


  • ?
    釜,馬 2015.01.19 10:09

    부마 민주 또는 민중항쟁(釜馬民主, 民衆抗爭)의 배경:

    1978년 12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는 불법적인 금권, 관권선거에 영향이 크게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에 패배했다. 그 후 민주화 시위가 활발해지면서 당시 민주 인사들에 대한 연행과 투옥 등 탄압 강도가 강화됐다.[1] 같은 해 8월에 YH무역주식회사 여성 노동자들의 신민당사 점거 농성으로 집권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의 김영삼 총재를 국회에서 제명했다. 이는 곧 야당 국회의원 전원 의원직 사퇴로 이어졌다. 같은 해 9월 전국에서 대학생들의 민주화 요구 시위가 확대됐다. 한편 김영삼의 발언을 문제삼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처분을 하고 감금한 것에 대한 반발이 부마민주항쟁을 작용케 했다는 견해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1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2
10905 연애편지 3 야생화 2015.01.23 608
10904 fallbaram 님께 선물 1 모순 2015.01.23 402
10903 지혜, 거리에서 우리를 다그치는 여자 - 교과 공부하다가 3 wisdom 2015.01.23 415
10902 교회를 향한 호소 파수꾼과 평신도 2015.01.23 366
10901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13 아기자기 2015.01.23 679
10900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롬1:17) 하주민 2015.01.23 348
10899 2015년 1월 24일(토) 평화의 연찬이 150회를 맞았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와 성원하시고 함께해주신 모든 분들의 소중한 뜻에 감사드립니다. file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1.23 395
10898 장경동 목사의 비행기 41강 - 요한계시록 1 체험 2015.01.23 581
10897 셋째천사 기별과 안식일 회복 운동 4 김운혁 2015.01.23 444
10896 이런 교인은 재림교회를 떠나는 것이 더 좋습니다 12 예언 2015.01.23 509
10895 이러한 신앙은 가짜이므로, 빨리 버리면 버릴수록 좋습니다 3 예언 2015.01.22 384
10894 모세에게 속은자들 그리고 다시 예수에게 속은자들 fallbaram 2015.01.22 353
10893 예수님의 humanity ( 9 ) - 아닙니다. 예수님은 제게 손님이 아닙니다. 그분은 항상 저와 함께 저희 집에서 살고 계시는 분입니다. 잠 수 2015.01.22 411
10892 개 싸움이 사람 싸움으로 4 진도 견 2015.01.22 504
10891 제1부 38평화 (제11회) (3:00-3:55): "삼육교육의 역사와 철학 VI - 현 삼육교육 논의에 있어서 우리 시대의 시대정신(zeitgeist)은 무엇인가?” 명지원 교수 / 제2부 평화의 연찬 (제150회) (4:00-6:00): "조선족의 역사 - 1” 김홍주 역사학자 1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1.22 350
10890 사도행전 2장의 놀라운 경험을 하다 1 임용 2015.01.22 351
10889 민초를 떠나면서 7 민초민초 2015.01.22 613
10888 진리를 위하여 담대하고 확고 부동하게 서기를 기도드립니다! 2 조영호 2015.01.22 400
10887 나에겐 이런 갈등이 8 fallbaram 2015.01.22 656
10886 루터님께 5 모에드 2015.01.22 348
10885 '세월호 영웅' 최혜정·박지영씨 미국서 추모메달받는다 시사 2015.01.22 430
10884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2015년 1월 22일 목요일) 세돌이 2015.01.22 371
10883 2014년에 있었던 교황 활동 어메이징 팩트 1 밝은가르침 2015.01.21 382
10882 요것도 목사 맞는지요 이런 인간도 목사라니... 8 ... 2015.01.21 571
10881 감동에 빠졌습니다 4 빠순이 2015.01.21 415
10880 [이석기 내란선동사건] 지하혁명조직 RO는 '가상의 조직'으로 결론 - 대법 "의심 들지만 회합 참석자 RO 조직원이란 증거 부족" 5 거미 2015.01.21 401
10879 갈등에 빠졌습니다 15 우리들 2015.01.21 557
10878 서울대 교수들이... 1 서울대 2015.01.21 395
10877 교회에서 이것에 관한 말을 하십시요 예언 2015.01.21 331
10876 제 17회 미주 재림 연수회 file 새벽별 2015.01.21 337
10875 늦은비는 어느교회에 내릴까?-기성 SDA교회아님 7 file 루터 2015.01.21 485
10874 망치부인[국정원 간첩증거 조작/여자 컬링팀/오대위/기초선거 패배면 김한길 안철수 책임물어 퇴출!!]2014.03.28방송 상록수 2015.01.21 414
10873 예수님 수요일 십자가 일요일 부활(말씀 보존학회) 1 말씀보존학회 2015.01.21 421
10872 야생 백조 6 아침이슬 2015.01.21 449
10871 사학비리 드디어 그 실체를 드러내다. ! 1 이동근 2015.01.21 561
10870 마지막 경고의 기별을 깨닫기 위해 자문해 봐야 할 질문들 2 김운혁 2015.01.21 363
10869 교황의 중국방문을 위한 준비를 하나씩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언 2015.01.20 294
10868 선악과, 하느님의 갑질? - 곽건용의 짭쪼름한 구약 이야기(3) 2 아기자기 2015.01.20 416
10867 <지구종말과 환난>이 가까우니, <결혼>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16 예언 2015.01.20 568
10866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5년 1월 21일 수요일> 세돌이 2015.01.20 382
10865 국제시장 후편 10 fallbaram 2015.01.20 713
10864 '한 방의 추억'. '가랑비의 일상화' 가슴 2015.01.19 351
10863 진짜 신은미 6 걱정원 2015.01.19 510
10862 고문하는 대한민국 3 걱정원 2015.01.19 459
10861 <결혼 약속>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 예언 2015.01.19 485
10860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5년 1월 20일 화요일> 세돌이 2015.01.19 819
10859 지난 번 혼 난 이후로 1 김균 2015.01.19 618
10858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2015년 1월 19일 월요일> 세돌이 2015.01.19 505
10857 우리가 해야 할 일 파수꾼과 평신도 2015.01.19 452
10856 End of My Journey 1 한국인 2015.01.19 688
10855 딱 두시간에 쏟아낸 육십오년의 기억들-덕수의 마지막 한마디. 11 fallbaram 2015.01.19 814
10854 캐도릭과 WCC의 변질사 (變質史) file 임용 2015.01.18 525
10853 한국 재림교회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2015년...연합회장 김대성. 3 권두언 2015.01.18 619
10852 세금 증가율. 세금 2015.01.18 340
10851 어린아이 하나님이 사시는 곳과 이스라엘의 갑질 (Exodus 스포일러 포함) 2 아기자기 2015.01.18 429
10850 예수님의 humanity ( 8 ) - 마음을 자극하는 유일한 사랑의 영약은 진심에서 오는 배려다. 잠 수 2015.01.18 593
10849 20150119 바르셀로나vs데포르티보 메시 해트트릭!! 골장면 일상 2015.01.18 434
10848 우리는 이런 교인을 향하여 울어야 합니다 1 예언 2015.01.18 354
» 이 사건 알면, <국제시장> 달리 보입니다 1 부마 2015.01.18 525
10846 [단독] 사기당한 ‘MB 자원 외교’…“석유보다 물 더 퍼내” 1 空허 2015.01.18 369
10845 피해를 주는 믿음 ( 마지막 ) 돌베개 2015.01.18 391
10844 피해를 주는 믿음 (속) 돌베개 2015.01.18 406
10843 황창연 신부의 아침마당 목요특강 - 사람을 살리는 말씨 인생 2015.01.18 618
10842 피해를 주는 믿음 돌베개 2015.01.18 414
10841 우라이야 스미스씨의 실수에 대해 4 김운혁 2015.01.18 881
10840 잠언가지고 정치하네 - 어제 교과 공부 후 뿔난 마음으로. 2 wisdom 2015.01.17 506
10839 늬들이 구약을 알어? - 곽건용의 짭쪼름한 구약 이야기(2) 3 아기자기 2015.01.17 494
10838 [트위터뷰] 김문수_춘향 이야기 맹꽁이 2015.01.17 382
10837 김문수 지사의 춘향전 해석 1 맹꽁이 2015.01.17 463
10836 서강대생, 응답하라 김문수~ 2 맹꽁이 2015.01.17 407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