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0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과 북의 징검다리 「하나원」

수 많은 북한이탈 주민들이 대한민국 입국 후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 전까지 생활하는 곳,
하루도 조용한 날 없는 이곳 ‘하나원’은 나의 고향이자 삶의 터전이다.
 
하나원에는 이곳 직원들과 전국 각지에서 초빙된 강사와 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하나원은 같은 민족이라는 단 하나의 이유만으로 위로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며
이탈주민들을 위해 헌신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다.
 
이곳은 체제와 문화가 상이한 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에게
우리는 한민족이자 함께 나가야 할 동포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나의 일터 「하나원」

이 소중한 집에서 생활지도사로 일을 시작한지도 어느덧 4년째 접어든다.
보람 있는 일을 한다는 자부심에 앞만 보고 뛰었지만 간간이 지난날을 돌아보면 그다지 순탄한 시간만은 아니었다.

비록 능력은 미천하지만 같은 동포라는 생각에 밤낮으로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
우리 북한이탈 주민들을 이 사회의 천덕꾸러기가 아닌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으로 거듭 태어나
사랑 받을 수 있는 이웃으로 이끌고자 하는 욕심에 한시도 마음 편히 지낸 날이 없었다.

사실 난 꿈에도 내가 이렇게까지 중요한 일을 하리라고는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무엇 하나 제대로 내세울 것 없는 나를 인정해 준 대한민국 정부의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 사명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였다.

하지만 무엇보다 험난한 입국과정에서 생긴 거칠어진 성품과 말못할 상처들만 안고 온 동료들에게
먼저 입국한 선배로서 후배들을 보듬어 주며 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과
이탈주민의 상처를 체험해 보지 못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이탈주민을 이해시키는 남과 북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것이 상당히 부담스러웠다.

경험이 축적되면서 노하우가 쌓이고 그 과정에 나의 인생관도 차츰 변화하였다.
후배들에 대한 실망만큼이나 사랑도 커져갔고 나 자신도 많이 성장한 듯 하다.
생활 지도 과정에 잊을 수 없었던 일들을 비롯한 지난 이야기 몇 가지 나누어 볼까한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

처음 나는 월 90만원의 월급을 받기로 하고 서울시내 한 모텔에서 첫 직장을 구하였다.
막연하게나마 청소만 하겠지 생각했지만 생각과는 달리 다양한 일을 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하루에도 수 십 번씩 침대 시트를 갈아야하는 일은 나에게 생소했다.

침대 시트를 서툴게 갈고 있는 내 모습을 본 사장님은
 
 “아니 그 나이에 시트도 제대로 못 갈아요.
이름 석자나 제대로 쓸 줄은 아세요”
 
라며 비꼬는 듯한 말투로 나에게 면박을 주더니만 몇 초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날랜 손동작으로 침대시트를 반듯하게 갈아 끼우는 것이 아닌가.

무능한 탈북자라 깔보는 듯한 모멸감에 자존심이 상했지만 꾹 참고 마음을 다 잡으며
 
 “사장님, 저는 남한에 온지 얼마 안되어 부족하고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차근차근 가르쳐 주세요. 열심히 배우고 노력하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시간만 있으면 짬짬이 시트 가는 연습을 했다.
삼일만에 침대 시트를 갈아 끼우는데 성공했더니 사장님께서는 너무나 만족스러운 듯
 
 “남한 사람보다 훨씬 낫네요.
눈썰미도 있고 성실히 일해주니 너무 고마워요.
북한 여자들 다 아줌마처럼 성실해요?
다음달부터 월급을 더 드릴 테니 열심히 일해주세요”
 
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한 모습을 보는 순간 ‘내가 인내심을 갖고 참고 잘 견디었구나’라고 생각하였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고 했던가. 나의 열매는 인내심만큼이나 달콤했다.

일당 4만 5천원을 위하여

한번은 나는 일당 4만 5천원을 받기로 계약하고 70대 중반의 괴팍한 성품을 지닌 치매 노인을 간병하였다.
우선 할머니의 대소변을 받아내는 일이 가장 큰 일이었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이라 자주 씻겨주고 옷도 깨끗하게 갈아 입혀야 했다.
그런데 워낙 괴팍한 할머니라 정성을 다해 간병을 해도
 
 “이 가시나야 좀 살살 못 할꼬 등신 같은 가시나야”
 
하며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야단법석을 떠는 것이 아닌가.
오죽하면 주위 사람들마저
 
 “저 할머니 비위 맞출 사람 세상에 어데 있담.
 아줌마 그 성격을 어떻게 견디겠다고 할 일 없어 그 일을 하세요?
벌써 아줌마가 다섯 사람 째구먼.
다른 간병인들도 이틀을 못 넘기고 나갔어요”
 
라며 나를 안쓰러운 표정으로 바라보았다.
나는 주위 사람들의 말을 듣는 순간 이 괴팍한 할머니를 어떻게 간병해야 하나 막막했다.
하지만 옆에서 누가 뭐라 말해도 나는 꾹 참고 이겨내리라는 신념이 있었기에
할머니의 온갖 투정과 불평불만을 참아내며 정성을 다해 간병했다.

그렇게 괴팍하던 할머니도 퇴원하는 날
 
“북한 아줌마 그동안 수고 많았다.  니 내 딸 보다 낫다.
북한 여자들은 다 너같이 성실하고 이뻐?  정말 수고했다”
 
라며 두손을 꼭 잡아 주었다.
할머니는 두툼한 돈 봉투를 내 손에 쥐어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순간 나도 모르게 목이 메어 눈물이 앞을 가렸다.
무엇보다
 
“북한 여자들은 다 너같이 성실하고 이뻐?”
라는 말 한마디가 왜 그리도 마음을 설레게 하였던지…
나는 지금도 후배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싶어 당당하게 이 이야기를 교육생들에게 들려주곤 한다.

야, 네가 뭐야? 너도 같은 탈북잔데

2003년 겨울, 점호하던 중 김미영 교육생의 방순서가 되어 총무와 함께 방으로 들어갔다.
그녀는 만취가 되어 머리를 푹 숙이며
 
“선생님 안녕하심까? 저 한잔 했슴다”
라고 말하며 금방이라도 넘어질 듯한 모습을 보였다.
순간 나는 너무 어이가 없어
 
“김미영씨 하나원에서 술을 마시면 안된다는 사실 아시죠. 지금 무슨 행동이에요”
라고 말하는 순간 그녀는 네게
 
 “야, 네가 뭐야? 너도 나와 같은 처지의 탈북자인데 탈북자 심정도 몰라 줘”
 
라며 소리를 질렀다.
순간 너무나 당황한 나머지 그녀에게 할 말을 잃었다.
이미 만취가 된 상태라 같은 방의 동료들에게
 
“김미영씨가 많이 취했으니 우선 자리에 눕혀주세요”
 
라고 말하고는 방을 나왔다. 점호를 마친 후 방으로 돌아와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김미영씨는 대인관계도 좋고 지금까지 성실하게 생활한 사람이었는데 왜 그랬을까’
하는 마음과 함께 그래도 여자가 저러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찌되었건 간에 오늘 있었던 일은 다음 날 그녀를 만나 따끔한 충고와 함께 다독여야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며칠이 채 지나지도 않아 또다시 술을 마신 그녀를 엄하게 나무란 탓인지
그녀는 말 한마디도 없이 하나원을 떠났다.
 
나의 마음을 몰라주는 교육생들에 대한 원망과 함께 실망감은 커져만 갔다.
인사 한마디도 없이 떠나버린 후 마음의 상처를 달래며 기억을 잊으려는 순간 그녀에게서 편지가 한 통 왔다.

“선생님, 저에게 실망 많으셨죠. 저도 제 자신이 실망스럽습니다.
짧은 하나원 생활도 제대로 못해 술을 마시며 추태까지 보였으니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사회에 나오면 자유롭고 주머니에 돈도 있으니 마냥 행복할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생각과 전혀 달랐습니다.
 하나원에 있을 때 저에게 하신 말씀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선생님께 감사합니다”라고 쓴 편지를 읽는 순간 가슴이 뭉클해졌다.

아니꼬운 선생님

선생님은 항상 우리들에게 남녀간의 도리를 지켜가며 성실하게 살아가라고 말씀하실 때면
일부 교육생들은 뒤에서
 
“흥, 자유 세상에 와서 누가 힘들게 일하겠냐.
돈 많은 사람 만나서 살면 인생이 활짝 펼 텐데…”
 
라는 핀잔을 듣기도 하셨죠. 저 또한 하나원 시절 비록 입 밖으로 내뱉지는 못하였지만
속으로는 너무 사사건건 통제한다며 선생님을 아니꼽게 생각했어요.

선생님 저의 짧은 생각을 용서해 주세요.
하나원 생활동안 선생님과의 만남은 적었지만 하나원을 떠나고 보니
선생님의 위치, 그 자리가 저에게는 너무 소중한 자리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여러분 사회에 나가면 그 누구보다 열심히 생활하여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이웃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라고 교육생들에게 말씀하셨죠.
무엇보다도 일부 이탈주민들의 불성실로 인하여
우리가 아직까지 이방인으로 맴돌고 있다는 느낌에 마음이 아픕니다.

선생님, 무식한 저들과 우리가 같습니까

“우리는 평양에서 내노라 하며 살다 왔는데
정말 무식한 저들과 함께 하나원에 있다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제가 보기에는 백씨가 저들보다도 더 무식해 보입니다
 나보다 배운것 없고, 평양에서 좋은 신분으로 살다 왔다고 해서
서민으로 살다온 동료들을 업신여기는 백씨가 더 가련하고 무식해 보이니
 앞으로 그런 말 꼭 삼가 해 주세요”라고 말하면서 다시금 생각합니다.

“선생님 분해 죽겠슴다. 저따위들이 여기까지 와서 행세를 합니까?
글쎄 저보고 꽃제비로 살다온 거지같은 것들이라고 합니다.
이럴 때 가만있어야 합니까? 분해 죽겠슴다”
 
라며 한 교육생이 찾아와 분을 못 참아 씩씩대며 울분을 토해낸다.

“박씨 그런 말 듣고도 상대와 싸우지 않고 참고 저한데 찾아 온 것이 참 잘하셨어요.
박씨는 그 사람보다 훨씬 현명한 사람입니다.
제가 그런 말을 하지 않도록 꼭 잘 타이를게요”

“그럼 어쩌겄슴까. 싸움하면 벌점 받고 정착금도 삭감되는데
그것보다도 탈북자들의 이미지가 나빠진다고 선생님께서 말하지 않았슴까?
저 정말 겨우 참았씀다”

이렇게 신분의 차이로 교육생 사이에 갈등이 자주 일어난다.
계급과 신분, 이성, 입국비용, 부부간의 갈등 등 수시로 일어나는 크고 작은 갈등을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밤낮없이 뛰어다닌다.

지난날 상처도 많이 받았지만 그것을 감수하며 가치 있고 보람있는 열매도 많이 수확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무능한 내가 이 사회와 우리 이탈주민들을 위해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하는 그날까지 끝없이 정진할 것이다.

2005년 8월 김미애 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135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52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3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290
1245 새겨볼 글과 그림같은 마을 2 잠 수 2011.03.09 2102
1244 잠 못드는 새벽에 듣기 좋은 팝노래모음 잠 수 2011.03.09 4180
1243 한국 시 모음 ( 무지무지 많습니다) ------------------와 ---------------------------------------------------우---------------------- 3 잠 수 2011.03.09 13591
1242 김명호 목사님 사모 김임순 사모님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admin 2011.03.09 2832
1241 이런 마음으로 살고 싶다 잠 수 2011.03.09 2074
1240 삶이 힘드십니까 ? 여기를 클릭하세요 3 잠 수 2011.03.08 2363
1239 박칼린 음악감독이 직접 선곡한 감동의 음악들… 잠 수 2011.03.08 3411
1238 마누라를 사랑한다면 변강쇠가 되자 4 지경야인 2011.03.08 3663
1237 조회시간 바다 2011.03.08 1895
1236 세상이 이런 일이 --------------------------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고 -------------------- 1 잠 수 2011.03.08 2368
1235 심오한 유머 4 잠 수 2011.03.08 2166
1234 배꼽이 빠집니다. ----------------------와 ----------------------------------------------------------우 ------------------------------- 1 잠 수 2011.03.08 2559
1233 바이블.. 김 성 진 2011.03.07 2359
1232 스트레스가 쌓였습니까 ? 이곳을 클릭하십시오 잠 수 2011.03.07 1862
1231 앙코르와트 5 잠 수 2011.03.07 2616
1230 신비한 동굴 잠 수 2011.03.07 2236
1229 우리가 아는 것의 대부분이 사실이 아닙니다. 박종철 군 고문사 사건도 그렇습니다. 역사를 왜곡하는 자들이 누구입니까? 진실 2011.03.07 2604
1228 유식한 할아버지 - 多不有時 1 잠 수 2011.03.07 1889
1227 봄 꽃 피던 날 잠 수 2011.03.07 1994
» 탈북자수기 ( 아픔 속에 맺힌 사랑의 열매들 ) 페론 2011.03.07 2075
1225 멸망의 가증한 것에 대하여 4 로산 2011.03.05 2382
1224 진보가 뭔줄 아니? 1 justbecause 2011.03.05 1828
1223 미가엘이 왜 예수님인가? 로산 2011.03.05 2125
1222 창세기 창조에대한 오해 8 바이블 2011.03.05 2010
1221 잠수님 1 바이블 2011.03.05 1961
1220 이쁜 노래 모음 잠 수 2011.03.05 2235
1219 감동의 드라마 모음집 1 잠 수 2011.03.05 1940
1218 이 세상에 내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잠 수 2011.03.05 1679
1217 교양 있는 속물들 2 김원일 2011.03.05 2156
1216 히브리9장의 성소가 하늘성소라고 하시던 분들 왜들 그냥 계십니까? 4 로산 2011.03.05 2551
1215 종교중독 어처구니 2011.03.04 1510
1214 유명 정치인 홈페이지에 갔다가 기절하는 줄 알았습니다. 삼육대학교가 나와서요. 5 기절 2011.03.03 2458
1213 남편을 기절시킨 아내의 말 한 마디 4 잠 수 2011.03.03 1951
1212 “어머니, 그 날 얼마나 추우셨어요.!” 2 잠 수 2011.03.03 1971
1211 牛乳 한 잔의 치료비 3 잠 수 2011.03.03 1778
1210 중동 혁명의 본질 김원일 2011.03.03 1692
1209 미가엘 문제에서 스스로 모순됨을 들어내시는 로산님 ( 증언 의지하며 증언 부인?) 10 페론 2011.03.03 2205
1208 어처구니 없는 창조과학 12 어처구니 2011.03.03 8663
1207 무릎 꿇은 대통령 ‘국민 통합’ 기도. - 도대체 이 사람의 이중성은 어디가 끝인가? 무릎 2011.03.02 15995
1206 이명박을 보면 금란교회 김홍도 목사가 생각나는 이유는? 지킬박사와하이드 2011.03.02 1992
1205 천사장 헷갈리죠? 나는 이렇게 이해 합니다 1 민아 2011.03.02 1730
1204 이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로산 2011.03.02 1644
1203 평신도 목사제도를 시행하자 로산 2011.03.02 1745
1202 금욕의 끝은 어디인가? 1 빠다가이 2011.03.02 2485
1201 God will take care of you 5 1.5세 2011.03.02 1968
1200 김균님의 답글에 다시 답변( 수정 ) 3 페론 2011.03.02 2186
1199 오늘 만난 사람들 4 로산 2011.03.01 2268
1198 꽃 피는 봄이 오면 - 이채 2 file 1.5세 2011.03.01 1831
1197 행복이라는... file 1.5세 2011.03.01 1528
1196 3. 1 절에 - 일본 항복조인식 잠 수 2011.03.01 1871
1195 노약자나 임산부는 클릭하시면 안됩니다. 1 잠 수 2011.03.01 1811
1194 중국 서커스 공연 잠 수 2011.03.01 1795
1193 사정상 급매합니다. 2 익명 2011.03.01 1964
1192 로산님, 천사장, 군장, 미가엘의 원어만 봐도 우리 기본 교리를 털끝만큼도 부인 못하겠습니다 2 페론 2011.03.01 2207
1191 ATM 기 앞에서 드리는 기도 2 QT 2011.02.28 1777
1190 문제의 답변을 한 번 더 요구해도 될까요? 로산 2011.02.28 1729
1189 천당에 간 판검사 있을까? 유머 2011.02.28 2125
1188 내가 해봐서 아는데 로산 2011.02.28 1500
1187 여러 가지 작은 뿔 로산 2011.02.27 1882
1186 이런 사람 하나 만나고 싶다 4 잠 수 2011.02.27 1809
1185 3 월에 꿈꾸는 사랑 - 이 채 잠 수 2011.02.27 1498
1184 아버지의 짝째기 손 (수정) 이 그림을 찿아서 책에 쓴 분의 글을 첨부합니다. 7 justbecause 2011.02.27 3168
1183 우리의 사소한 해석이 잘못하면 삼위일체까지 건드린다. 8 로산 2011.02.27 1901
1182 가짜 계란에 놀랐는데 가짜 국수까지??? 가짜천국 2011.02.26 2312
1181 아름다운 사랑 노래 모음 잠 수 2011.02.26 2425
1180 설경 구경 오세요----------------------------------- 잠 수 2011.02.26 1544
1179 톰슨가젤 7 file 바다 2011.02.26 3715
1178 법궤 위 시은좌는 여호와의 거하시는 곳인가? 로산 2011.02.25 2511
1177 일요일 교회 어느목사의 2300주야 참고 바이블 2011.02.25 1749
1176 읽어보시고 댓글 좀 다세요잉 3 로산 2011.02.24 1961
Board Pagination Prev 1 ...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