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의 ‘한문소설’ 한글 번역본 출간
「천군기(天君紀)」·「사대기(四代紀)」·「옥황기(玉皇紀)」·「천군기(天君紀)」Ⅰ·「천군기(天君紀)」Ⅱ·「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 6편 번역...원문(原文) 함께 실어
역자(譯者), ‘황중윤 작품들은 역사에 대한 관심을 허구적 서사의 여러 가능성과 결합시킨 결정체로, 정사(正史)나 야사(野史)와 구별되는 가상의 역사 서술 보여 주는 점에서 주목’ 평가 기사입력 : 2015-03-05 11:00:40     작성자 : 이명동 기자 / uljinnews@empas.com
   
울진 지역 출신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대문장가로 한문소설 『천군기(天君紀)』등을 저술한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의 한문 소설을 번역한 『황중윤 한문 소설-일사(逸史)·삼황연의(三皇演義)』가 출간됐다.
  
펴낸 곳 ‘새문사’, 신국판(신A5, 225×152) 663p 분량, 정가 33,000원.
  
김인경(金仁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 졸업·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박사 학위 논문 준비 중)씨와 조지형(趙志衡.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박사 학위, 태동고전연구소 수학, 경희대·인하대·인천가톨릭대 강의)씨가 번역했다.
  
이 책은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의 <삼황연의(三皇演義)>, <일사(逸史)>, <동명선생문집(東溟先生文集)>에 실려 있는 한문 소설 6편 『천군기(天君紀)』, 『사대기(四代紀)』, 『옥황기(玉皇紀)』,『천군기(天君紀)』Ⅰ, 『천군기(天君紀)』Ⅱ,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을 번역하여 싣고, 뒤쪽에 한문 원문 전체를 실었다.


기성면 삼산리 일명 승지봉산(承旨峰山)에 위치한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의 묘지
  
황중윤의 한문 소설은 그동안 고전 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정작 울진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특히 한문 소설이어서 일반인들은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번역본 발간에 따라 한국학 연구자와 고전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황중윤의 작품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그 가치 또한 재조명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천군기(天君紀)』는 16세기 무렵부터 심화되고 있던 조선 성리학의 심성론(心性論) 탐구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마음(心)의 수양 문제를 마음을 의인화한 천군(天君)이 통치하는 국가의 위기와 회복해가는 과정에 빗대어서 표현하고 있다.
  
연의소설(演義小說,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서 허구적인 내용을 덧붙여서 흥미롭게 쓴 중국의 통속 소설)의 형식과 표현 기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이 작품은 마음을 의인화한 작품으로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 1540∼1603)의『천군전(天君傳)』이나 백호(白湖) 임제(林悌, 1549∼1587)의『수성지(愁城誌)』와 맥락을 같이 하지만, 또 다른 차원의 소설로 평가받는다.
  
특히 이제까지 조선 후기에 정태제(鄭泰齊, 1612∼?)가 지은 창작물로 알려져 온『천군연의(天君衍義)』는 실상 황중윤의『천군기(天君紀)』를 다르게 바꾸어 새롭게 고친 변개(變改) 작품으로 추정되었다.
  
이 책의 역자(譯者)들은 황중윤의 문집에 남아 있는 서문 등에서『천군기(天君紀)』가 1633년(인조 11년)에 지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며, 이때는 황중윤의 나이 57세로 10여 년간의 유배 생활에서 벗어난 해인만큼, 천군기는 황중윤의 유배 기간인 1623년에서 1633년 사이에 창작됐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했다.
『사대기(四代紀)』는 동양의 전통적인 순환론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하는 작품으로, 사계절의 변화를 왕조(王朝)의 흥망성쇠(興亡盛衰)에 빗대어서 가상의 역사서로 꾸미고 있다.
  
소설은 봄의 온화함, 여름의 맹렬함, 가을의 풍성함과 쓸쓸함, 겨울의 혹독함 등 사계절의 특성에 맞추어 제왕의 성품과 통치 방식을 연계시키고 있다. 
  
역자들은 “소설이 가지는 내용의 구성 방식과 체재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작품으로 알려지는 『화사(花史)』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면서, “『화사(花史)』가 화초(花草)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사대기(四代紀)』는 소설 소재의 범위를 사계절로 확장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 역자들은 『사대기(四代紀)』와 같은 소재를 다루고 있는 작품은 동소(桐巢) 남하정(南夏正, 1678~1751)의 『사대춘추(四代春秋)』가 있는데, 국명(國名)과 제왕(帝王)의 시호(諡號), 성품과 통치 방식 등에서 유사한 설정이 상당수 발견되고 있다고 밝혔다.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묘지의 문인석(文人石)(좌),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묘지의 비석(碑石)(우)
『옥황기(玉皇紀)』는 중국의 왕조 교체 또는 역사상의 중요한 사건들은 모두 다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에서 하느님을 일컫는 말)의 뜻과 의지에 따라 일어난 것이고, 역대의 성군(聖君)과 성현(聖賢), 위인(偉人)들은 옥황상제의 명령을 수행하여 선관이 되었다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은 『천군기(天君紀)』와 『사대기(四代紀)』 등 황중윤의 다른 소설과는 달리 도가적(道家的)인 색채가 강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옥황기(玉皇紀)』는 혼돈씨(混沌氏)의 아들인 옥황상제가 즉위하여 관직을 설치하고 직분을 나눈 후에 인간 세상을 주관할 관리들을 내려 보낸다는 내용으로 소설을 시작해서, 지금까지 벌어진 천조(天曹)와 진인(眞人)들의 비밀스러운 사적(史蹟)을 모두 알고 있는 소설의 저자(著者) 자신인 동명(東溟)이 진관에게 글을 올리면서 끝을 맺는다. 
  
이 소설에서 황중윤은 가장 중요한 것은 신선술(神仙術)을 수련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본성을 기르고 보존하는 것이라는 기조를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 
  
결국 이 작품 속에서의 옥황상제는 역사의 이면에서 작용하는, 역사를 움직이는 일관된 힘이나 법칙을 상징하는 존재라고 역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특이하게『옥황기(玉皇紀)』는 공간 구성면에서 옥황상제가 직접 다스리는 천상계(天上界), 인간들이 살아가는 지상계(地上界), 천상계와 지상계 사이에 있는 제선국(梯仙國), 생전에 죄를 지은 이에게 벌을 내리는 지부(地府) 등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 황중윤은 특히 이 소설에서 옥황상제가 지상계의 인간들을 천상계로 바로 올려 보낼 것인지, 제선국에 둘 것인지, 지부에 맡길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역자들은 이에 대해 해당 인물에 대한 저자 황중윤의 포폄(褒貶)의식(옳고 그름과 선악을 판단하여 결정하는 견해)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은 임진왜란 당시에 신립(申砬, 1546~1592) 장군의 탄금대(彈琴臺) 전투의 패배를 재조명한 몽유록(夢遊錄,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용으로 하는 문학 작품) 작품이다. 
  
역자들은 황중윤의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윤계선(尹繼善, 1577~1604)의 달천몽유록(達川夢遊錄)과 함께 자주 거론되는데, 동일한 소재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황중윤의 한문 소설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진 것도 이 소설 『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으로 알려진다.
  
황중윤은 이 소설에서 유생(儒生)의 수궁(水宮) 연회(宴會) 참석이라는 모티프를 기반으로 하여 전투에서 패배한 후 강물에 투신한 신립을 몽유자(夢遊者)가 만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꿈속에서 과연 전투 패배의 책임이 신립 개인에게만 있는 것인지를 따져보는 기회로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
  
꿈속에서의 대화를 통해 황중윤은 임진왜란의 책임을 한 개인에게만 전가하는 사이에 정작 짚고 넘어갔어야 할 사회적 모순, 제도적 모순과 병폐를 너무도 쉽게 간과하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결국 신립의 패배만 기억 속에 남은 채 그러한 패배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문제들을 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황중윤은 소설을 통해 지적하면서, 전란을 야기한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 
  
한편, 역자들은『달천몽유록(㺚川夢遊錄)』은 발견될 당시부터 소설을 시작하는 부분이 빠져서 떨어져 나가고 없어 주인공이 꿈속에 들어가는 과정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황중윤의 한문 소설에 대해 역자들은 “황중윤의 작품들은 역사에 대한 관심을 허구적 서사의 여러 가능성과 결합시킨 결정체”라며, “정사(正史)나 야사(野史)와 구별되는 가상의 역사 서술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한다.
  
그리고 “작품 속에 나타나는 허구는 사대부 문인들의 지적 수준과 교양, 문예 취향에 기반을 둔 수많은 전고((典故,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와 문학적인 관습들로 쌓아올린 세계라는 점에서 소설속의 허구와 차이가 난다”면서, “이로 인해 문재(文才)를 과시하는 희필(戱筆, 장난삼아 지은 시문이나 서화)이라는 평가가 뒤따르기도 하지만, 허구 축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이런 특이성이야말로 더욱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고 평하고 있다.

동명(東溟) 황중윤(黃中允)

황중윤은 1577년(선조 10년)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과 어머니 의성(義城)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이 평해(平海), 자(字)는 도광(道光), 호(號)는 동명(東溟)이다. 
  
20세에 대암(大庵) 박성(朴惺, 1549~1606)의 차녀와 혼인하면서 장인인 박성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24세에는 부친 황여일의 명으로 한강(寒岡) 정구(鄭逑,1540~1620)를 찾아가서 몇 달 동안 머무르면서 학문을 배웠다.
  
황중윤이 지은 「천군기서(天君紀敍)」에 특별하게 언급되는 스승들이 바로 대암 박성과 한강 정구 두 사람이다.
  
황중윤은 생원으로 1612년(광해군 4년) 36세의 나이로 증광시(增廣試) 문과에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39세 때 춘추관(春秋館) 편수관(編修官)에 임명되어「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정언·헌납·낭청·사서 등의 관직을 지냈다. 특히 40세 때에는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에 제수됐으나 인목대비에게 효를 다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광해군의 분노를 사서 벼슬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1616년 신경희(申景禧, 1561~1615)의 옥사에 연루가 되어 추고를 당했고, 1618년 다시 사서에 기용됐다. 이 해에 명나라에서 요동 순마를 위해 병마 7천을 요청해왔고, 조정에서 징병에 관한 논의가 있을 때 징병에 반대하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어서 병조좌랑에 올랐으나 입직하다가 교대를 기다리지 않고 나간 것이 문제가 되어 체직(遞職, 벼슬을 갈아냄)됐고, 다음해에 사헌부 지평(持平)에 임명되어 무과시험시에 관원들이 뇌물을 받은 것을 고발했다. 
  
1620년 44세 때에 주문사(奏聞使, 중국에 주청할 일이 있을 때 보내던 사절)로 임명되어 표문(表文, 예전 외교 문서의 한 종류)을 가지고 연경(燕京)에 다녀온 뒤 동부승지(同副承旨)와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냈다. 
  
1623년(인조 1년)에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정권이 교체되자 이이첨(李爾瞻)의 복심이 되어 광해군의 뜻에 영합했고, 중국과의 외교를 단절하고 오랑캐와의 통호를 주장하였다는 주화론자(主和論者)로 몰리면서 양사의 탄핵을 받아 전라도 해남(海南)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됐다. 
  
해남에서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1587~1671)와 교유했고, 윤선도의 사촌 동생들인 윤선진(尹善進)과 윤선일(尹善一)에게 글을 가르쳤다. 
  
이어 이듬해 내지로 양이(量移, 멀리 유배된 사람의 죄를 감등하여 가까운 곳으로 옮기던 일)되었고, 1633년 57세에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 울진으로 돌아왔다.
  
황중윤은 울진에 돌아온 후 다시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고, 월야동(月夜洞)에 수월당(水月堂)을 짓고 도를 즐기며 유유자적(悠悠自適)하다가 1648년에 향년 7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황중윤의 묘소는 기성면(箕城面) 삼산리(三山里) 일명 승지봉산(承旨峰山)에 자리하고 있다.  <저작권자(c)울진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00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81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52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61
14265 이 여자 어때요? 여성 2016.02.29 187
14264 여진구 "세월호 희생자 나와 동갑..잊지 않겠다" 친구 2016.02.29 180
14263 “朴 재정적자 167조, 무너지는 경제 보도안하는 것이 국가비상사태” 1 최악 2016.02.29 112
14262 주인 몰래 ‘통신 자료’ 들여다 보는 국정원 음녀 2016.02.29 82
14261 “유엔 대북제재 허점투성이” 미국 언론들도 실효성 의문 민중 2016.02.28 83
14260 32세에 죽은 <변덕스럽고, 화를 잘 내고, 음탕한> 인간 예언 2016.02.28 156
14259 유시민 박근혜 메르스 예언 100% 적중 박정희 2016.02.28 154
14258 유시민 전 장관의 박근혜 정부 예언 박정희 2016.02.28 137
14257 유시민이 말하는 박근혜 박정희 2016.02.28 135
14256 통일사랑방 Hillary Clinton 3 하현기 2016.02.28 156
14255 한 밤의 불청객 바다 2016.02.28 141
14254 <재림신문 889호> 세상의 정치행태, 교회에선 뿌리 뽑자 (2015년 12월 28일) 진리 2016.02.28 119
14253 지금이 국가 飛上사태냐 아님 국가 非常사태냐? 1 김균 2016.02.28 133
14252 밝혀야 할 국정원의 과거 - [테러방지법] 관련 친일청산 2016.02.28 85
14251 <식욕,성욕,감정>을 <이성,양심>의 지배 아래 4 예언 2016.02.27 151
14250 가족사망때도 <애도예배>가 아닌 <감사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예언 2016.02.27 91
14249 북한 붕괴론은 환상 1 창조국방 2016.02.27 84
14248 러셀은 평화의 제비인가, 전쟁의 척후병인가? 1 평화 2016.02.27 111
14247 모래성 평화 2016.02.27 73
14246 노무현·김대중 왜곡한 KBS·TV조선의 거짓말 내뉴스 2016.02.27 81
14245 [JTBC 뉴스룸] 2016 한국사회를 말하다 - 유시민 발언 모음 (2016.1.4.) 말씀 2016.02.27 70
14244 마리화나 1 김균 2016.02.27 293
14243 우리의 상식 밖의 새로운 시도-대마초 1 김균 2016.02.27 160
14242 희망을 가져 봅니다 3 희망 2016.02.27 113
14241 옥수수죽 3 바다 2016.02.26 162
14240 모방 신학, 그것 똑바로 하자 1 박성술 2016.02.26 153
14239 국회방송이 시청율1위 할줄이야.. 2 청중 2016.02.26 124
14238 북한은 중국 원망 말고 반성해야. 2 유엔 2016.02.26 101
14237 [2016년 2월 27일(토)] ▲제1부 빅데이터로 보는 이번 주의 남북평화소식[북한 알아가기] (제37회) (3:00-3:30) 언론, 출판, 인터넷의 Gatekeeping 행위를 통한 Agenda Setting의 법칙 - 현 남북관계 관련 보도에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명지원 / ●[대토론] 제3부 평화의 연찬 (제207) (4:30-6:00) 개성공단 폐쇄와 위기의 남북관계: 전망과 대응. 기조 발제: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6.02.26 74
14236 '북한에 대한 경고장'..미국, 오늘 또 ICBM 시험발사 2 뉴즈 2016.02.26 120
14235 <약물 복용>을 <영구히 포기>해야 하는 이유 1 예언 2016.02.25 126
14234 성경을 공부하다 보니 2 아기자기 2016.02.25 412
14233 이해인 - 말을 위한 기도 2 수녀 2016.02.25 141
14232 [백년전쟁 스페셜 에디션] 프레이저 보고서 1부 - 풀버젼 Full version Minjok Movie 실체 2016.02.25 99
14231 왕이 "中국익 위협 사드 반대..평화협정 없이 비핵화 달성못해"(종합) 1 왕서방 2016.02.25 81
14230 [만화] 테러방지법 막아야 하는 5가지 이유 형제 2016.02.25 123
14229 이 방송을 들으면 20분 안에 잠들게 된다. 그래서... 6 file 최종오 2016.02.25 345
14228 자본주의 하현기 2016.02.25 132
14227 집권당의 의식수준. 2 수준 2016.02.25 108
14226 박근혜 비판 기사 썼던 더네이션 기자 "테러방지법은 가혹한 악법" 2 악법 2016.02.25 116
14225 중국도 동참 한다네요 5 유엔 안보리 2016.02.25 144
14224 46전 박정희의 국가비상사태 선포와 박근혜의 테러방지법 도입. 1 비상사태? 2016.02.25 81
14223 새누리당의 약속...필리버스터 도입. 약속 2016.02.25 70
14222 ...이미 웃음거리입니다..ㅋㅋㅋ 걱정 2016.02.24 131
14221 美中 대북제재 결의안 합의- 누가 이기사 분석좀 해주세요 5 맹구 2016.02.24 108
14220 필리버스터- 국민들 정치의식에 큰변화 맹구 2016.02.24 71
» 황중윤(黃中允)의 ‘한문소설’ 한글 번역본 출간....해월유록(海月遺錄) 새문사 2016.02.24 108
14218 떡줄사람은 딴생각 하는데 4 맹구 2016.02.24 126
14217 초라한 성적표. 3 성적표 2016.02.24 132
14216 가슴 저리는 대사..(내가 바로 그 미친년이다)....영화 "귀향" 중에서... 귀향 2016.02.24 154
14215 우물안 개구리. 3 개구리 2016.02.24 140
14214 통일사랑방 읽을 거리 하현기 2016.02.24 75
14213 초등학생 교과서에서 ‘성노예’ ‘위안부’ 등 완전 삭제 3 뉴즈 2016.02.24 83
14212 “테러방지법 통과되면 정권교체는 없다” 이재화 변호사 ‘일침’ 화제 뉴즈 2016.02.24 108
14211 원심력과 구심력, 그리고 통일 2 납득이 2016.02.24 203
14210 통일이 보인다 17 하현기 2016.02.24 160
14209 2016년 3.1절 97주년, 광복절 71주년...처단되지 않은 친일파 친일청산 2016.02.23 226
14208 너무 아름답지 않나요?" 1 filibuster 2016.02.23 126
14207 자서전 쓰는 법 4 바다 2016.02.23 217
14206 7시간째 필리버스터 은수미 의원, 고문 후유증 시달려..폐렴에 장 절제 수술까지 2 희생자 2016.02.23 214
14205 박근혜가 초래한 '4차 조선전쟁' 위기 1 뉴즈 2016.02.23 113
14204 "사드, 한반도서 3차 세계대전 일어날 수도" 3 뉴즈 2016.02.23 119
14203 필리버스터- 국회연설 생중계 1 팩트TV 2016.02.23 138
14202 국회의장 " 테러방지법 직권상정 임박 " 7 기본권 2016.02.22 148
14201 j9f3f6c6 님 2 김원일 2016.02.22 195
14200 북, “남 유엔자격 발언에 '식민지 주제에' ” 역공 7 유엔공개회의 2016.02.22 139
14199 프란치스코 교황 "물신숭배는 '악마의 배설물' " 종북좌파 2016.02.22 64
14198 한국의 사드 배치, 아베 신조가 웃는다 3 file 친일치적 2016.02.22 117
14197 와 대박 ... 1 이런 사람 2016.02.22 204
14196 동주 5 바다 2016.02.21 229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