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13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밑에 이야기하다가 퀘이커리즘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그 창시자 조지 폭스에 관한 글을 올립니다.  종교의 표층과 심층의 차이가

극렬하게 들어나는 종교지도자에 속한다 할 수 있겠지요.

(긴 글 어떤 분들에게는 성가시고, 어떤 분들에게는 숙제 같이 느껴지실지 모르겠습니다.

읽고 싶으신 분들만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26. 조지 폭스George Fox(1624~1691년)

-내 속에 있는 신을 깨달으라고 가르친 퀘이커교 창시자

 

서양 종교 중에서 선불교 전통에 가장 가까운 종교를 하나 꼽는다면 많은 사람이 주저하지 않고 퀘이커교Quakers를 지목할 것이다. 속칭 퀘이커교는 본래 ‘The Religious Society of Friends’로서 한국에서는 ‘종교친우회’, 혹은 ‘친우회’라 한다. 퀘이커(친우회)에서는 내 속에 ‘하느님의 일부’가 내재해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누구나 내 속에 있는 하느님을 직접 체험적으로 깨달아 알 수 있다고 믿고 이런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힘쓴다. 퀘이커 내에도 일반 교회와 비슷한 예배 형식으로 예배하는 ‘프로그램으로 하는 예배programmed worship’가 있기는 하지만 퀘이커 예배의 주종을 이루는 ‘프로그램 없는 예배unprogrammed worship’는 기본적으로 침묵 예배로서 ‘친우들Friends’이 한 자리에 모여 한 시간 동안 조용히 앉아 내 속에 빛으로 계신 하느님의 움직임을 기다리는 시간으로 보낸다. 그러다가 누구든지 내면의 빛이 비쳤다고 여겨지는 사람은 그 빛을 다른 이들과 나누기 위하여 짧게 몇 마디씩 간증을 한다.

 

그러기에 이들에게는 직업적인 목사minister가 없고 모두가 모두에게 ‘봉사’하는 ‘봉사자들ministers’만 있을 뿐이다. 십일조 등 전통적인 예배 의식을 배격하고 특정한 교리에 구애됨이 없이 오로지 신의 직접적인 체험을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

 

퀘이커 교도들의 깊은 영성과 이런 영성을 통한 열성적인 사회봉사는 널리 알려져 있다. 종교학의 대가 루돌프 오토는 그의 유명한 책 『성스러움의 의미』에서 개신교에서도 퀘이커교에서 실행하는 이런 침묵의 예배가 널리 채택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또 1, 2차 세계대전으로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위한 봉사 활동으로 미국 퀘이커 봉사위원회와 영국 퀘이커 봉사위원회는 194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내가 만일 유대인이 아니었다면 나는 퀘이커 교도가 되었을 것”이라 하였다.

 

퀘이커 운동은 미국 역사 초창기에 독립운동, 흑인 해방운동, 평화운동, 여성운동 등에도 지극히 큰 영향을 끼쳤다.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는 그 별명 ‘Quaker State’가 말하는 것처럼 퀘이커 지도자 윌리엄 펜William Penn(1644~1718년)이 1681년 영국 왕 찰스 2세로부터 얻은 땅에 평화와 관용이라는 퀘이커의 이상을 실험하기 위해 세운 주이다.

 

그 주에 있는 가장 큰 도시 필라델피아는 ‘형제 우애’라는 뜻으로, 시청 꼭대기에는 윌리엄 펜의 동상이 서 있다. 2009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35만 정도의 교인들에 불과하지만 아직도 평화운동이나 사회 개혁 운동에서의 영향력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종교 사상가 함석헌(1901~1989년) 선생님이 퀘이커 지도자로 활약하기도 했다. 필자도 1975년 이후 지금까지 부정기적이나마 캐나다 퀘이커 모임에 참석하고 그들의 활동에 이런저런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퀘이커교를 창시한 사람은 영국인 조지 폭스였다. 마침 한국친우회 홈페이지에 폭스에 관해 훌륭한 글이 올라와 있기에 이를 간추려 본다.

 

17세기 영국 사회는 그야말로 격랑의 시기였다. 왕정에서 공화정으로, 공화정에서 다시 왕정으로 뒤바뀌는 정치적 격변은 물론 지금까지 내려오던 가톨릭과 종교개혁으로 새로 등장한 개신교 간의 갈등으로 사람들은 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가톨릭이나 개신교 어느 파에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이런 사람들을 구도자Seekers라 불렀는데, 그들은 주로 하느님과의 직접적인 접촉과 새로운 계시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으려 했다. 조지 폭스도 이런 ‘구도자들’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이런 사람들 중 일부를 모아 일종의 신앙 운동을 전개하고 이것이 오늘 퀘이커라 불리는 종교의 시작이 되었다.

 

조지 폭스는 영국 중부의 레스터셔, 지금의 페니 드레이튼이라는 곳에서 마을 사람들로부터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사람이라 불리던 방직공紡織工 아버지와 다른 부인들보다 뛰어난 교양을 지닌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지 폭스의 어린 시절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공식 교육을 얼마나 받았는지조차도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는 어려서부터 나이에 비해 신앙심이 깊고, 생각하기를 좋아했으며, 침착하고 분별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또한 사려가 깊어 그가 어떤 사실에 대해 묻고 대답하는 것을 들으면 모두들 깜짝 놀랐으며, 영적인 일들에 관해서 특별히 그랬다고 한다.

 

십대 시절, 폭스는 신부가 될 것을 바라는 친척들의 희망을 뒤로한 채 어느 구두 제조업자 밑에서 일하면서 양털 장사를 한 적이 있었다. 그는 우직할 정도로 정직하고 성실했다. 물건을 속여 팔던 시대에 사람들은 그의 성실과 정직을 비웃었지만, 결국은 그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리하여 사업도 번창하게 되었다. 물론 그가 사업에서 손을 떼고 신앙 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는 가난을 면하지 못했다.

 

윌리엄 펜에 의하면, 폭스는 양치는 일을 아주 좋아해서 양치는 솜씨가 훌륭했는데, 양치는 일은 깨끗하고 고독했던 폭스의 성격과 아주 잘 맞아떨어지는 일로서, 후에 하느님의 종으로서 사역하고 봉사하는 일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1644년 20세가 되던 해에 그는 심각한 고뇌에 휩싸였다. 친척들이나 여러 목사들을 찾아다니면서 위로와 해결을 구해보았지만 모두 허사였다. 그들이 실제로 어떤 삶을 사는가, 그들의 신앙의 실상이 어떤가 하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폭스는 번민과 좌절감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그를 두고 친척들은 결혼을 시키려고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정치에 입문하라고도 했다. 그러나 영적 진리에 민감한 젊은이에게는 그러한 제안이 슬프기만 할 뿐이었다. 그는 이즈음의 심경을 자신의 일기Journal에 이렇게 기록했다.

 

<내 몸은 그야말로 슬픔과 고통과 괴로움으로 메말라 있었고, 그러한 고통들이 너무나 커서 차라리 태어나지 말거나 장님으로 태어나 사악하고 허망한 것들을 보지 않게 되거나, 벙어리로 태어나 헛되고 나쁜 말들이나 주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말들을 결코 듣지 않기를 바라는 게 나았을 것 같았다.>

 

고뇌하던 폭스는 하나 둘 깨달음을 얻어가기 시작했다. 그는 그 일이 “주께서 내 마음을 여시어opened 된 일”이라 했다. 하느님께서 그에게 열어 보이신 깨달음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개신교도이건 가톨릭교도이건 모두가 같은 그리스도인이다’,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이름뿐인 그리스도인이 아니라 하느님의 자녀로서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긴 자들이어야 한다”,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에서 공부했다고 해서 그리스도의 일꾼이 될 자격을 온전히 갖추는 것은 아니다”, “하느님은 사람의 손으로 만든 성전에 계시지 않고 사람들의 마음속에 계신다”, “여자들은 영혼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남녀는 평등하다” 등이었다.

 

 

이러한 깨달음들이 있긴 했지만 폭스의 고뇌가 다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그 자신이 ‘아브라함의 가슴속에 있었노라’고 생각할 정도로 큰 기쁨을 맛보면서도, 번민은 계속되었다. 그는 번민을 씻기 위해서 ‘열림’의 경험을 한 다른 사람들을 열심히 만났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가 도달한 결론은 자신의 처지에 대해 말해줄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었다. 실의에 빠져 있던 바로 그때, 그에게 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한 분, 한결같은 예수 그리스도가 계시니, 그분만이 네 처지를 말해줄 수 있다.>

 

폭스는 이 음성에 너무 기뻐서 펄쩍펄쩍 뛰었다. 이 음성은 영의 문제로 고민하고 진리를 고대하던 그에게 이전의 다른 어떤 깨달음보다도 더욱 크고 뚜렷한 것이었다. 폭스가 들었던 그 음성이 후에 ‘내면의 빛’이라 불리게 된 바로 그것이다. 그 빛은 또한 ‘속에 계신 그리스도’ ‘각 사람 안에 있는 하나님의 그것’ ‘하나님의 능력’ ‘하나님의 증거’ 등으로도 불리게 된다. 그 빛은 모든 사람에게 있다. 그 빛은 모든 사람을 비추는 것이다.(『요한복음』1장 9절) 이 음성은 이후 폭스 자신의 생애와 퀘이커의 역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폭스는 자신의 이런 체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왜 이 땅에는 내 처지에 관해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는가를 주님은 깨닫게 하셨으며 그 때문에 나는 주께 모든 영광을 돌릴 수 있었다. 사람들 모두가 나처럼 죄 아래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불신앙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탁월하신 분으로 우리를 깨우치시며 우리에게 은총을 베푸시며 믿음과 능력을 주시는 분이시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면 누가 우리를 가로막겠는가? 이러한 사실을 나는 경험으로 알았다.>

 

그는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과 위대함을 깨닫고 슬픔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이러한 모든 체험들을 계기로 그는 자신이 ‘마치 새로이 만들어져 바뀐 것처럼 용모와 사람이 바뀌었다’고 했다. 변화된 폭스에게 이제 세상은 온통 거두어들여야 할 하느님의 씨앗들이 널려 있는 으로 보였다. 우리는 종교의 심층에 접하므로 변화된 한 영혼이 얼마나 위대한 일을 해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조지 폭스의 경우에서 다시 확인하게 된다.

  • ?
    cogito 2011.06.28 23:26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퀘이커와 관련된 책 소개를 부탁드리려고 했습니다....조지 폭스를 소개해주신 김에 제가 참고할 만한 책 몇권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파커 J 파머의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라는 책 덕분에 퀘이커에 대한 관심이 좀 있던 차에 빈배 선생님의 언급으로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 ?
    빈배 2011.07.02 23:47

    cogito 님, 답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약간 다른 일이 있어서요.

    퀘이커와 관련된 기본 역사서는 Howard Brinton, Friends for 300 Years 가 있습니다.

    이 책은 함석헌 선생님이 번역하고 나중 누가 최근본을 보완하셨더군요.

    개인적으로 비퀘이커 교도들을 위해서는 Robert L. Smith, A Quaker Book of Wisdom: Life Lessons in Simplicity, Sevice and Common Sense 가 좋은 것

    같습니다.

    퀘이커 분이 쓴 책으로 Phillip Gulley and James Mulholland, If God is Love: Recovering Grace in an Ungracious World 와 이들이 쓴

    다른 책들이 좋더군요.  이 책은 이현주 목사님의 딸인 이슬기가 우리말로 번역했지요.

     

    놀랍게도 한국 퀘이커 모임에 갔더니 침묵 예배가 끝나고 다 같이 제가 쓴 <또 다른 예수>를 한 장씩 읽더군요.^^

    퀘이커 정신에 부합된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 ?
    김주영 2011.07.04 01:24

    감사합니다. 

    늘 많이 가르쳐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 ?
    빈배 2011.07.04 20:12

    김주영님,

    저도 김주영님이 늘 많이 가르쳐 주셔서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139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527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36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295
13985 BLUE PRINT!!! STAR WARS!!! IT WILL CHANGE YOUR LIFE!!! 정무흠 2011.06.16 7772
13984 그대 떠난 창가에서 무실 2011.06.16 1409
13983 상처받지도 주지도 마세요. 1 무실 2011.06.17 1317
13982 한심두심님, 한 가지는 맞았고 3가지는 틀린다고 아뢰는 바입니다( 건강과 예언 전도 문제) 3 KT 2011.06.17 1778
13981 Sweet Sweet Spirit 1 1.5세 2011.06.17 1610
13980 가시고기 미국 아버지 날에 즈음하여 1 김기대 2011.06.18 1549
13979 아버지의 사랑 아버지날2 1 김기대 2011.06.18 1569
13978 진도개를 아세요 5 지경야인 2011.06.18 1992
13977 지성을 넘어 8 빈배 2011.06.19 5005
13976 Happy Fathers Day? 4 fm 2011.06.19 1446
13975 조용기와 성장지상주의 13 file passer-by 2011.06.19 2554
13974 Japanese Scientists Create Meat From Poops-FoxNews.com!!! 정무흠 2011.06.19 1853
13973 오! 하나님! 네팔아기를 살려주세요 file 김영미 2011.06.20 1398
13972 힐러리 클린턴 여사에게 재림교인되라 전도한 미국 대통령 법률고문 고한실 박사!!! 19 정무흠 2011.06.20 2917
13971 How to Live Forever!!! Newsweek!!! 정무흠 2011.06.20 3020
13970 짐승의 세계에서 배운다. 높이 날기 2011.06.21 1300
13969 밤하늘의 십자가 - 십자가의 또 다른 뜻 5 빈배 2011.06.21 1770
13968 전도회의 진실과 뻥튀기 - 필립페 님께 22 김주영 2011.06.21 2471
13967 카스다선 아무 반응도 없던 글, 여긴 어떨지?( 여기도 좋아않겠지만, 그러나 틀린 말은 아니니) 4 KT 2011.06.21 1551
13966 부정신학 (Apophatic Theology) 2 무실 2011.06.21 3316
13965 은혜와 감동의 위성 세미나!!! 정무흠 2011.06.21 1162
13964 노인성 변비와 신경통!!!-송숙자 교수--from 8healthplans.com 정무흠 2011.06.22 1894
13963 혼자 엿듣기에는 아까운 따끈따끈한 이야기 8 김주영 2011.06.22 2067
13962 SDA 가정통신문 성적표 2011.06.22 1393
13961 무식한 사람의 의사 굶겨 죽이기 5 강철호 2011.06.22 1472
13960 고한실씨 이야기와 정무흠님. 5 필리페 2011.06.23 2867
13959 노무현 청와대는 이런 조롱까지 받았다[조선일보 비판을 이해못하겠다는 분들은 꼭 읽어보십시오] 2 코리안 2011.06.23 1373
13958 미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교회!!! Seventh Day Adventist Church!!! USA Today!!! 정무흠 2011.06.23 3707
13957 김대성, 당신은 종말 중독 말기 환자야 9 유재춘 2011.06.23 2047
13956 누가 무엇을 먼저 개혁해야 하는가? 1 로산 2011.06.23 1222
13955 유재춘님, 마음에 떠오르는대로 다 말하시는 것보다 걸러내시면 더 좋겠습니다( 예화 추가 ) 3 KT 2011.06.23 1595
13954 채소의 진실 2 로산 2011.06.23 1813
13953 사랑!!! 정무흠 2011.06.23 1775
13952 盧 전 대통령이 화나고 기(氣)가 찰 일들 나그네 2011.06.24 1849
13951 선전 3 빈배 2011.06.24 1683
13950 38선은 소리 없이 말 하더라 평화교류협의회 2011.06.24 1269
13949 3040 교회 1 김주영 2011.06.25 1704
13948 나는 이런 하나님이 정말 좋습니다!!! 7 고바우 2011.06.25 1474
13947 안식교 연합회장이니 찍소리 하지말라고?????????? 1 유재춘 2011.06.26 2173
13946 유제춘님이 교회 권위에 순종하면 님은 자기 부모님도 공경하고 순복함을 나타내실 것입니다 1 KT 2011.06.26 2458
13945 화잇의 글을 보며 5 청교도 2011.06.26 1830
13944 솔직하게 말해서 2 로산 2011.06.26 1337
13943 Passerby님, 성경과 증언이 사상 영감이라 함은 삼육대학의 성경과 증언 오해입니다 6 KT 2011.06.26 1561
13942 가난과 병마와 싸우는 게 자랑일까? 로산 2011.06.26 1501
13941 좀더 분명히 하고 넘어갑니다 12 빈배 2011.06.26 1821
13940 Wonderful Michigan Camp Meeting Pictures!!! 더그 베출러 목사님!!! 정무흠 2011.06.27 3241
13939 Cogito님, 기본교리 모르심을 보니, 개신교서 오셨나본데, 율법은 폐하는 법 2가지, 안 폐하는 법이 2가지 있습니다 KT 2011.06.27 3155
13938 신화 계시의 전주곡; 2 강철호 2011.06.27 1424
13937 유성기업 경영진에게 유성기업 사태에 대한 해결책을 권고하는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의 권고 1 대전유성 2011.06.27 1541
13936 절대적 구원관-11 1 로산 2011.06.27 1387
13935 7월4일 네팔에서 하나님의 선물이옵니다 file 선한사마리아 2011.06.27 1288
13934 passerby님의 증언 오해도 역시 풀어드리고자 합니다 1 KT 2011.06.27 1536
13933 KT님을 위한 고언 2 청교도 2011.06.27 1453
13932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이 정도 사실은 알아야...... 2 대전유성 2011.06.27 1354
13931 1937년, 미시건 플린트 vs 1981년, 항공관제사 파업 4 대전유성 2011.06.27 2259
13930 청교도님, 남의 글은 읽지도들 않고 이해도 못하고 답들을 하니 도무지 不通이로소이다 9 KT 2011.06.28 1638
13929 passerby님글 답, 하나님의 사자가 표절을 할 리가 있겠습니까? 1 KT 2011.06.28 4428
» 아인슈타인마저 존경했던 종교 지도자 조지 폭스 4 빈배 2011.06.28 3135
13927 계명은 사랑입니다. --- 이런 글을 올리는 제 자신이 조금 한심합니다. ^ ^ 5 고바우 2011.06.28 1591
13926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것들 나그네 2011.06.29 1804
13925 절대적 구원관-12-하나님의 계명 그리고 예수의 증거 3 로산 2011.06.29 1589
13924 종교 사기꾼 3 로산 2011.06.29 1597
13923 <써니> 이모들이 알콩달콩 커나가는 이야기 1 사마리아 2011.06.29 1572
13922 중앙아시아 인구의 8%는 징기스칸의 자식들이다 로산 2011.06.29 2342
13921 The China Study!!! Amazing Book!!! 정무흠 2011.06.30 5238
13920 자칭 사기꾼 그리고 타칭 사기꾼 8 로산 2011.06.30 1697
13919 절대적 구원관-10- 일곱인 떼실 때 일곱 나팔의 역사적 해석 변천사 로산 2011.07.01 1888
13918 이만열 교수, 한기총 해체 1인 시위 아리랑 2011.07.01 1622
13917 민초 회원들을 위한 안교교과해설-제1과 로산 2011.07.01 1365
13916 Soon and Very Soon file 1.5세 2011.07.01 1635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