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27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노자 칼럼] 파시스트 살인마가 한국을 좋아한 까닭




»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국립대 교수·한국학



2011년 7월22일 노르웨이에서 미증유의 학살을 벌여 세계를 경악하게 한 파시스트 확신범 브레이비크가 한국과 일본을 ‘모범적 국가’로 치켜세운 것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옛말로는 국위선양, 요즘 말로는 ‘글로벌 코리아’를 국내인 다수가 선호하지만, 인면수심의 살인마가 친한파로 알려진다는 것은 소름 끼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사실 놀랄 일도 별로 없다. 브레이비크뿐만 아니고 노르웨이를 포함한 유럽 등지의 극우들의 다수는 대한민국을 대단히 흠모한다. 그들이 이상으로 삼는 ‘혈통에 기반한 국가’, ‘단일 문화 국가’, ‘병영국가’, ‘경쟁력 최대화에 올인하는 국가’는 바로 대한민국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브레이비크가 구체적으로 찬양한 것은 한국의 이민 정책, 즉 피난민의 정착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타민족 구성원들의 유입을 막음으로써 사실상 ‘단일민족’의 골간을 억지로 유지시키는 정책이다. 브레이비크뿐만 아니고 수많은 유럽 극우들이 이 정책들을 열렬히 환영한다. 유럽도 한국도 마찬가지로 제3세계 출신의 저임금 노동이 만들어주는 초과이윤으로 자본 축적과 확대재생산의 과정을 촉진하고 있지만, 나름의 자유민주주의 질서가 잡힌 유럽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착취하면서도 적어도 그들에게 대부분의 경우에는 정착과 사회 편입의 기회 정도는 제공하지 않을 수 없다. 자유민주주의는 내용이 거의 없는 표피에 불과한 한국은 자국 자본이 부담해야 할 간접적 비용들을 최소화하면서 오로지 단기적으로 집중 착취만 하고 3~4년 후에 외국인 노동자들을 내보내고 만다. 사회 편입의 기회는, 한국에서 혈통주의적 규칙에 따라서 주어진다. 한국인 가정의 일부분이 된 결혼이주자들 이나 혈통적으로 ‘우리 민족’ 구성원으로 인식되는 해외 교민, 이북 출신들은 이 기회를 제한적으로나마 누릴 수 있지만, ‘우리’와 혈통 내지 가족관계가 닿지 않는 절대다수의 타자들은 ‘우리’에게 그저 영원한 타자로 남아 있을 뿐이다. 유럽 파시스트치고, 이와 같은 사회를 싫어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브레이비크는 이민자 이외에 ‘문화적 마르크스주의자’나 여성주의자들에 대한 증오심을 드러냈다. 그가 이상으로 삼는 사회는 단일적인 보수적 가치들을 완벽하게 공유하며 문화·이념적 ‘이탈’을 잘 방지하는 사회다. 역시 이 부분에서도 대한민국이야말로 그의 선호도 1위 국가가 될 수밖에 없다. ‘자본주의연구회’와 같은 최근 공안 사건에서 보이듯이, 유럽 파시스트들의 '모범국가'인 대한민국에서는 마르크스주의를 탐구했다가 바로 영어의 몸이 되는 게 아직도 현실적으로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선남선녀들은 마르크스주의든 수능·취직과 무관한 그 어떤 다른 앎의 영역이든, 두려워서라기보다는 그저 3~4살부터 살인적인 학습노동에 시달려서 탐구할 만한 여력이 없는 것이다. 더군다나 남성들의 경우에는, 유럽인들이 가장 흔히 마르크스주의 등 ‘이단 사상’에 빠지는 청춘의 나이에 2년 동안이나 ‘불온서적’을 읽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군대에 갔다 와야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시민권을 누릴 수 있다. 여성들 같은 경우에는, 아무리 이론적으로 여성주의에 동감해도 외모와 상냥한 ‘여성다운’ 태도가 취업과 출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는 결국 대개는 가부장적 사회의 규율에 복종하지 않을 수 없다. ‘위험한 사상’에 대해 생각해볼 여유도 없이 남자도 여자도 각자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자신의 신체와 마음을 단련시키고 자기 개인의 경쟁력과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 데에 올인하는 사회 - 이것이 파시스트의 꿈이 아니면 과연 무엇인가?


우리는 이미 지금 현재에 유럽 파시스트들의 미래 유토피아 사회에서 살고 있다. 우리가 차별과 착취, 병영사회의 규율과 가부장적 질서에 바탕을 둔 사회에 만족할 것인지, 아니면 투쟁과 변혁의 길을 택할지는 결국 우리가 결정해야 할 일이다.


노르웨이 오슬로국립대 교수·한국학

  • ?
    바람 2011.08.15 21:03

    한국의 문제점을 늘 예리하게 파고드는 노자 아저씨

    밉다고 해얄까 이뿌다고 해얄까  그런 이 노자氏가 나도  맘에 들때도 안 들때도 있다

    빌어먹고 말아먹어도 우리 대한민국은 영원할것   언제까지나 ,,,

  • ?
    빈배 2011.08.16 03:48

    김원일 교수도 잘 아는 미국 조지 메이슨 대학 노영찬 교수의 관련된 글이 있어서 퍼옵니다.

    노영찬 교수는 저와 오래동안 미국종교학회 한국분과 일을 같이 맡아서 일한 분으로

    많은 점에서 저와 의견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여기 누리꾼이 일독을 하면 좋을 것 같아

    방금 전화로 허락을 받고 퍼올립니다.

    ---------

     

    비교종교학 권위자 노영찬 美조지메이슨대 종교학과장
    • 평화의 땅 노르웨이에서 발생한 ‘기독교 근본주의자’의 학살극이 전 세계적으로 다문화·다종교 사회의 미래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반이민 정서 확산으로 다문화 정책이 실패로 끝났다는 성급한 결론마저 나오고 있다.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는 한국에도 이번 건이 던진 파장은 작지 않다. 미국에서 비교종교학 분야의 권위자로 꼽히는 한국계 노영찬 조지메이슨대 종교학 교수 겸 종교학과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과 유럽, 미국의 다문화·다종교 사회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을 짚어봤다. 노 교수는 일부 극단주의자의 행동으로 세계적 흐름인 다문화·다종교·다원 사회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 교수는 26일(현지시간)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이 되려면 단일 민족을 내세울 게 아니라 다문화·다원주의로 세계를 선도할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르웨이 테러범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와 같은 백인 극단주의자가 생겨나는 배경은.

      “20세기 후반부터 특정 민족이나 종교, 국가가 지배하던 시대가 끝나가고 있다. 이제 다양한 종교, 문화, 언어 등이 공존하는 다원화 사회가 열리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에 기득권을 누렸던 일부 백인이 기독교와 서구 문명이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 백인이 지배권을 잃어가고 있다는 불안감이 사회심리학적인 요소로 작용해 브레이비크 같은 극단적인 인물이 나오고 있다.”

      ―종교적으로 보면 근본주의 신앙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인가.

      “종교적으로 우파 보수주의자가 기득권 상실에 따른 불안감을 타 종교에 대한 증오의 형태로 표출하고 있다. 보수주의가 극단적으로 치달으면 근본주의가 된다. 자신의 종교에 대한 절대성에 빠져 타 종교를 배격하면서 배타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근본을 지키기 위해 양자택일을 서슴지 않으며, 이것이 절대성을 지키는 길이라고 믿고 있다. 한국 등 어느 나라에서도 이 같은 극단적인 근본주의자가 사회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유럽에서 무슬림 이민자를 대거 받아들인 다문화주의가 결국 실패한 것으로 봐야 하나.

      “절대 그렇지 않다. 우선 미국과 유럽의 상황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미국은 이민자가 세운 나라다. 미국에 백인 우월주의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이민자 출신이기 때문에 누구도 기득권을 주장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유럽에서는 최근 무슬림을 받아들이면서 이민 사회가 만들어졌다. 유럽의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여러 나라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미국과 달리 여전히 백인, 앵글로색슨 민족 중심의 사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민 역사가 짧은 유럽 국가들은 중동과 아프리카의 무슬림 이민자가 들어오면서 충격을 받고 있다. 그렇다고 유럽의 다문화주의가 실패했다고 성급하게 결론을 낼 수는 없다. 국가의 경계를 넘어 민족과 민족이 혼합되는 과정은 글로벌 시대의 피할 수 없는 추세다. 노르웨이에서 일어난 비극을 겪으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기독교와 이슬람은 왜 충돌하는가.

      “유럽에 이슬람이 아니라 불교가 들어갔다면 현재와 같은 충돌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문제는 서구에 이슬람이 폭력성을 띤 과격한 테러리즘 이미지를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슬람 전체가 그런 것이 아님에도 9·11테러 사건 이후에 이슬람이 기독교와 서구 문명을 파괴하려 든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이슬람은 12, 13세기까지만 해도 과학·철학 등의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했다. 그러나 기독교 문화권이 세계를 지배하면서 이슬람 내부에서 증오감을 키운 세력이 등장했다. 탈레반이나 알카에다가 그 대표적인 집단이다. 기독교의 일부 근본주의자 세력은 이 같은 이슬람의 공격으로부터 기독교와 서구 문화권을 지켜야 한다고 믿기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문명의 충돌은 필연인가.

      “그렇지 않다. 나는 낙관적으로 본다. 세계가 복합·다원화되는 과정에서 현재 과도기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와 같은 갈등이 불거진다고 해서 문화다원주의가 한순간에 무너지는 게 결코 아니다. 글로벌 시대에는 경제적, 상업적으로 서로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더 이상 한 개의 국가 단위로 존재하기 어려운 시대가 왔다. 자국 영토 내에서 자급자족하면서 자국 국민끼리만 살 수가 없는 경제적인 필연성으로 인해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화와 종교 교류에 따른 위협을 느낄 수가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 접함으로써 자기 고유의 문화와 종교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갈 수 있다. 단일 국가, 국수주의, 배타주의를 벗어나 다문화주의, 다원주의, 복합주의를 수용해야 바람직한 인류 문화 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 지금 세계는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

      ―브레이비크가 (성명에서) 한국과 일본의 유교주의 전통을 동경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고 했는데.

      “그가 유교와 이명박 대통령을 잘 알고 한 얘기 같지는 않다. 그는 유교가 동양의 보수주의적인 이념으로 남성 중심의 지배권을 옹호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이 때문에 유교 시스템이 유럽에 도입하면 종교와 문화의 침범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처럼 보인다. 그는 기독교 중심의 보수적인 시스템을 지키는 과정에서 유교의 바람직하지 않는 면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그가 유교의 근본적인 사상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다종교 국가의 모델인가.

      “외국인들이 한국과 같은 현대적인 국가가 샤머니즘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신기하게 생각하고 있다. 불교와 유교도 한국 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유교적인 가치관이 그대로 살아남아 있다. 그런 속에서 기독교, 불교 등이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의 주요 종교 간에 깊은 대화가 이뤄지고 있지 않는 게 현실이다. 한국이 다종교 모델 국가가 되려면 주요 종교 간 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독교와 불교, 전통 종교 간 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갈등을 잉태할 위험성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한국도 외국인 유입과 국제결혼 등으로 다문화 사회가 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노르웨이 학살과 유사한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한국 국민 중에 한 사람이라도 브레이비크와 같은 생각을 하면 그런 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 극단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은 자기 환상 속에 빠져 스스로 자신의 신념을 믿게 된다. 이것이 종교 및 신앙과 연계되면 종교적으로 소명의식을 갖게 돼 위험한 일을 자행하게 된다. 한국에서 그런 정신이상자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지 않은가.”

      ―한국이 성숙한 다문화 국가로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한국은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의 순수성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다른 민족과 종교, 언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다문화주의 교육을 할 때가 왔다고 본다. 인간의 의식구조 형성에 교육, 언론, 종교가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이 단일 민족만 강조하다 보면 언젠가 노르웨이에서와 같은 사건이 터질 수 있다는 인식을 토대로 교육기관, 언론사, 종교단체가 한국인을 교육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

      ―한국 사회의 바람직한 모델은.

      “한국인끼리도 ‘출신’ 등을 따져 무시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런 사고방식이 다른 나라 사람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베트남, 필리핀, 태국 등 동남아에서 온 사람을 도와주면 우리 것을 잃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을 더 많이 얻는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한국이 단군 조선의 후예로서 한 핏줄을 유지하지 않으면서 다종족 국가로 변하고, 다원주의 문화를 형성해가야 세계를 이끌어 갈 진정한 선진국이 될 수 있다. 한국인이 현재의 의식구조를 바꿀 수 있어야 노르웨이에서와 같은 비극을 예방할 수 있다.”

      대담 = 워싱턴 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노영찬 박사 약력

      ▲연세대 졸업 ▲미국 유니언신학대학 석사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 주립대 박사 ▲조지메이슨대 종교학 교수 겸 종교학과장 ▲조지메이슨대 한국연구소장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 공동회장 ▲북미한인기독자협회 회장 ▲율곡대상 수상 ▲‘이율곡의 한국 신유교사상’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 발표

     

  • ?
    허허 2011.08.16 06:17

    '빌어먹고 말아먹을 대한민국'

     

    김교수의 망발(亡言)에  기가 찰 노릇이다..

  • ?
    passer-by 2011.08.16 22:43

    망발은 亡言이 아니고 妄發아닌가여?  妄言도 아니고 亡言이란 글자는 첨 봅니다. 제가 한자를 모르는 건지 쩝....

  • ?
    허허 2011.08.17 02:38

    나그네님,

    문자 그대로  그 뜻입니다

     

    한비자의 글에

     

    "花枝春滿 亡言而寒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137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526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366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293
13775 일요일 휴업령이 믿기지 않습니다. 3 로산 2011.07.27 3346
13774 글 2000번을 접하며 3 1.5세 2011.07.27 1258
13773 일찍이 공산당의 정체를 파악하고 대결을 선언하여 승리한 건국 대통령 KT 2011.07.27 1272
13772 오강남(빈배) 교수님과 함께 4 1.5세 2011.07.27 2090
13771 남자는 모르는(?)이야기 10 바다 2011.07.27 1632
13770 위대한 선지자를 기롱하는 "악하고 음란한 세대" 2 돌베개 2011.07.27 2101
13769 성아야, 내 니 기들어올 줄 알았다카이.^^ 1 김원일 2011.07.28 1615
13768 내가 카스다를 떠난 이유, 다시 한 번--고수 님께 2 김원일 2011.07.28 1603
13767 "목사답지 않은 목사" - 김원일은 목사인가? 6 빈배 2011.07.28 3202
13766 이것에 대해 누가 책임을 져야하지요? 죄값은? sustainable 2011.07.28 1207
13765 "개신교, 많은 것을 잃어봐야 순수함 되찾을 것" ( 퍼 온글) 돌베개 2011.07.29 1575
13764 감사와 함께 질문을 ^^ 3 바다 2011.07.29 1589
13763 하나님 오늘 안식일에 또 일하고 왔습니다 14 QT 2011.07.30 2044
13762 한글 맞춤법 일람 1 참고 2011.07.31 2030
13761 유명 정치인이 되려면 우스운 소리 잘 하는 머리도 있어야 하는가 보다 KT 2011.08.01 2592
13760 색소폰연주 Pierce 2011.08.01 2202
13759 "정리해고는 목숨줄 끊는 것"...... 명진스님, "힘든 사람에게 손 내미는 것이 거룩" 사마리아 2011.08.02 1439
13758 젠장, 나는 정말이지 안식교 스님이 이런 말 한 번 하는 것 좀 들어보는 게 소원이다. 2 김원일 2011.08.02 1397
13757 의인은 사자같이 담대하니라 심리학 2011.08.03 1643
13756 성경적인 시대를 향하여 1 로산 2011.08.03 1193
13755 하용조 목사 장례예배 울음속에서 폭소(퍼옴) 김기대 2011.08.04 2044
13754 <2011 따뜻한 한반도 포럼> 현 단계 대북 인도 지원의 실천적 접근을 위한 모색 명지원 2011.08.04 1330
13753 "MB정권은 잡범들 수용소" 1 로산 2011.08.04 1369
13752 너무 심한 존댓말, ~ 님의 과용 2 바보 2011.08.04 1948
13751 이제보니 너희들은 매를 좀 맞아야겠구나! 7 file passer-by 2011.08.05 2100
13750 소말리아에 대한 하나님의 뜻은 무엇일까요? 1 ... 2011.08.05 1735
13749 조용기와 슐러의 몰락을 묵상하라 2 빈배 2011.08.06 1612
13748 현 대한민국 정치 상황과 사회 상황에 대한 동영상 대담 칼 바르트 2011.08.06 1222
13747 하느님께 따질 것이 아니라 김원일 님에게 따지기 13 빈배 2011.08.06 3087
13746 낯선 세계에 낯선 자(흙으로님에게) 2 제자 2011.08.06 1085
13745 어제 내가 어떤 설교를 맺으면서 썼던 마지막 문구 (네, 따지십시오, 빈배님.^^) 2 김원일 2011.08.07 1502
13744 너희는 모르나 우리는 아노라 1 제자 2011.08.07 1443
13743 구더기가 뭘 따진다고? 5 나그네 2011.08.07 1517
13742 아궁이에서 만난 하나님 (최 형복 목사님 아드님 이야기) QT 2011.08.07 2049
13741 道可道非常道 40 김종식 2011.08.08 2251
13740 나그네님의 글을 읽고 1 제자 2011.08.08 1094
13739 그냥 부럽다 1 빠다가이 2011.08.08 1227
13738 빈배님도 보시고 너도나도 보자. 바이블 2011.08.08 1481
13737 섬마을 소년님 글과 구도의 길님 글 삭제 이유 김원일 2011.08.08 1273
13736 구약의 하나님을 도매금으로 물 먹이기^^ -- cogito 님께 (수정) 4 김원일 2011.08.08 1438
13735 cogito 님..."심층 철학"이 확실하게 짚고 넘어 가야할 과제 8 student 2011.08.08 4141
13734 우리가 하나님을 과연 알수 있을까? 18 student 2011.08.08 2333
13733 고한실 박사님께 묻습니다. (재질의, 일부 질문 수정) 4 송허참 2011.08.09 2933
13732 우리가 새롭게 만든 신(1) 14 로산 2011.08.09 1448
13731 독불장군 - passer-by 님께 1 빈배 2011.08.10 2123
13730 난 내 친 딸과 4년째 말을 한마디도 해본 적이 없다. 31 최종오 2011.08.10 2085
13729 잠수님! 1 바이블 2011.08.10 1251
13728 충격 - 이명박의 숨겨진 아들에 대한 기사 전문 햇빛 2011.08.10 6720
13727 어찌 이런 만행이 가능한가.... 가랑비 2011.08.10 1204
13726 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 - 자가진단 한번 해보세요 2 빈배 2011.08.11 1898
13725 엉터리 목사의 헛소리 열전 22 빈배 2011.08.11 2373
13724 Shawshank Redemption 에서 본 안식일--이 장면을 울지 않고 볼 수 있는 안식교인 있으면 나와 보시라. (중요한 수정) 4 김원일 2011.08.12 3309
13723 이승만이 역적인까닭 펌 3 지경야인 2011.08.12 1271
13722 우리가 새롭게 만든 신(2) 4 로산 2011.08.12 1352
13721 기독교 어디로 가고 있나? 1 빈배 2011.08.14 1673
13720 지경야인씨께선 망령된 발언을 금하시면 님과 우리 다에게도 유익되어 감사하겠습니다 1 KT 2011.08.14 1388
13719 지자불언언자부지 [知者不言言者不知 ] | 14 바이블 2011.08.14 3194
13718 믿음의 요체 (student님의 답글에 화답) 8 제자 2011.08.15 1184
13717 구국의 밥그릇/진중권 5 로산 2011.08.15 1244
13716 TK님 답글에 답변( 이승만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을 비교도 해보십시다.) 1 KT 2011.08.15 1271
» 빌어먹고 말아먹을 대한민국 5 김원일 2011.08.15 1277
13714 金 泳三과 金 氷三 로산 2011.08.15 1898
13713 제퍼슨과 이승만 위대한 공화주의자 1 kt 2011.08.16 1632
13712 대한민국이 영원하다고 믿거나 "빌어먹고 말아먹을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에 기가 찬 분들께. 2 김원일 2011.08.16 1470
13711 근친혼 1 지경야인 2011.08.17 2280
13710 목사라는 이름이 부끄러운 목사 vs. 14 빈배 2011.08.17 1998
13709 우리는... 2 1.5세 2011.08.17 1796
13708 -예수를 밖으로 쫒아내는 한국재림교회- 6 필리페 2011.08.17 1877
13707 이런 xxx 같은 목사 15 김주영 2011.08.17 1945
13706 젠장, 우리 그냥 담배 피우고 술 마시자. 4 김원일 2011.08.18 1614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