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829 추천 수 0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잘 알려진 신학자, 제가 좋아하는 신학자 Marcus J. Borg 교수가 최근에 쓴 소설, <Putting Away Childish Things(2010)>(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를 요 며칠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자기의 신학적 입장을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의 입을 통해 부드럽게 표현하여 독자들이 스스로 현대 신학의 흐름을 체득하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Borg 교수에 대해서는 제가 쓴 <예수는 없다>에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여기 나오는 주인공 중 Erin이란 여학생이 있습니다. 이 여학생은 교내 보수주의 기독학생들의 모임인 The Way 라는 클럽 회원으로, 그 클럽의 영향을 받아 이른바 근본주의 기독교인, 속칭 꼴통 기독교인이 되었습니다. 소설에서는 이 여학생이 그 학교에서 종교학을 가르치는 Kate Riley 교수의 강의를 들으면서 그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던 이런 보수 신앙에서 점점 풀려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 결정적인 단계를 소설에서는 대략 이렇게 그리고 있습니다.

--------

Erin은 Riley 교수의 강연을 들으면서 자기가 당연하게 여기고 있던 것들이 조금씩 흔들리는 것을 느끼며 혼란해 했다. Riley 교수가 하는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지만, 보수 기독학생 클럽 The Way에서 가르치는 것을 그대로 믿을 때의 그녀가 느낄 수 있었던 확신이 그대로 좋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모든 것을 똑 부러질 정도로 분명하게 설명해주는 것, 자기가 구원 받았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 그것을 고맙게 여기며 살아갈 수 있는 것, 이런 것들이 정말로 마음 든든함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었다.  The Way에서 모든 사람을 "구원 받은 우리(us)"와 "우리 똑같이 믿지 못하는, 그래서 구원 받지 못한 그들(them)"이라는 두 범주 중 하나로 나누는 것까지도 어느 정도참을 만했다. 자기 부모와 자기 동생이 이들이 말하는 "them"에 속한다고 믿어야 하는 것이 마음에 걸리기는 했지만.

 

그러나 이렇게 사람들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누며 마치 "전쟁하는 듯한 태도(warlike mentality)"로 임하는 보수 기독학생들에 대해 Erin은 점점 질력이 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은 더 많은 학생들을 자기들 모임에 끌어올 수 있게 해 달라고만 기도할 뿐, 다른 학생들의 생각이나 의견에 전혀 귀 기울일 자세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자기들은 종교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알고 더 이상 다른 이들로부터 배울 것이 없다는 식이었다. 진리를 독점하고 있다는 독선적 태도가 역력했다.

 

Erin이 Riley 교수의 강의를 듣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그녀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감시병처럼 그녀를 감시하면서 강의의 위험성을 경고해 주었다. 그러나 Erin은 Riley 교수가 가르치는 것에서 자기가 의문시 했던 많은 것들이 해결되는 느낌이 들었다. 도저히 그 교수를 그 보수 친구들이 말하 듯 진리를 대적하는 원수로 여길 수가 없었다. 결국 그 교수가 가르치는 것처럼 기독교인되는 길도 여럿이라는 것, 성경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 세상을 우리와 그들로 양분할 필요가 없다는 것 등을 깨닫게 되었다.(110~111 쪽)

----

여기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보수 기독교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아군과 적군으로 나누어 싸우는 대결 구도로 보고 이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 그리스도인이 쟁취해야 할 승리의 삶이라 여기는 것입니다. 자연히 삶이 각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평화, 생명, 화해, 협력, 대화, 자애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지요.

 

시간이 되시면 이 책을 읽어보시기 부탁드립니다. Riley 교수의 강의실에 들어가 있는 기분이 들 것입니다. 저는 많은 경우 제 경험을 이야기하는 듯하여 아주 재미있게 읽었지요. 물론 Riley 교수의 강의를 통해 기독교의 더 깊은 뜻을 알게 되실 것입니다.

 

제가 리자이나 대학교에서 가르칠 때 제가 가르치던 과목들은 거의 다 들었던 Erin이라는 여학생이 있었는데, 이 소설을 읽으면서 계속 그녀의 얼굴이 떠올랐습니다. 지금도 facebook 으로 소식을 전해옵니다.

  • ?
    passer-by 2011.08.30 01:52

    마커스 보그의 신간 재미있겠네요.

    책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빈배 2011.08.30 20:44

    네, 그의 생각이 거의 다 녹아들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전에 제가 어디에 소개한 faith 의 네 가지 형태,

     assensus, fidelitas, fiducia, visio 도 잠깐 언급되고요.

    댓글 고맙습니다.

  • ?
    lburtra 2011.08.30 07:02

    The novel is more than realistic.

  • ?
    빈배 2011.08.30 20:37

    I believe you will find it really interesting.

    Yes, it is more thank realistic, and relevant to all of us as well.

  • ?
    산골 2011.08.30 13:54

     

    전천년설-그리스도의 재림 이전에 선악을 분별하는 일이 있다. ----------(윌리엄 밀러이후...)조사심판을 현대진리의 핵심 내용으로 하는 재림교회의 주장

     

    후천년설-그리스도의 재림 이전에 (선악의 분별을 무의미하게 보는...) 이 세상에서 의와 평화의 복천년이 있다.------카톨릭등 종교연합 운동 세력들의 주장

     

    ==============

    글쓴이에 의하면

    전천년설주의자들은 꼴통

    후천년설주의자들은 안꼴통

     

    나는 전천년설자이므로 꼴통 ^^

  • ?
    ??? 2011.08.30 20:35

    산골님, 무슨 이바구를 하시는지.

    왜 여기에 전천년 후천년이 끼어드는지... 참말로.

  • ?
    빈배 2011.08.30 21:25

    제가 위에 쓴 글을 보고 어느 여자 분이 다음과 같은 글을 주었습니다.

    민초스다 분들과 나누기 위해 여기 옮깁니다.

    ---------

     

    에린(Erin)같은 보수적 기독교인들의 생각은

    우선은 사복음서가 그리는 예수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고 봅니다.

    마가는 예수의 이야기를  성령과 사탄의 갈등으로 전하고,

    예수가 악한 영들과 악한 사람들의 증오의 대상이 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복음서들의 이런 시각은  본질적으로 마니교의 이원론에 근거하여 있습니다,

     그러나  선과 악이 동동한 힘을 가지고 대결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기독교 전통 속의 신자들은 비록 악의 세력에 포위된 같이 느낄지라도

    이미 그리스도가 승리를 거두었으므로 그들도 승리할 거라는 확신에서 힘을 얻었습니다.

     

    그리스도가 사탄을 정복했다는 믿음은 그들의 승리가 이미 확정되어 있다는 믿음

    . 우주적 투쟁의 드라마에 참가하는 사람은 패배할 없으며,

    순교하는 사람들은 한층 영광스런 승리는 얻을 것이며 , 천사와 하늘의 백성들이 다같이 축하해 거라고 확신하였습니다.

    이렇게 기독교 역사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이런 비젼을 통해 무모해 보이는 행동이더라도 역경에 맞써서 싸웠습니다.

     

    그러나, 기독교도들은 또한 사탄 마귀라는 극한적 용어를 써가며, 다양한 적들을 공격하였습니다.

    이사탄의 무리 중엔, 점차 늘어가는 기독교인들과 충돌하는 이교도들, 이교도의 집정관들,

    그러나 무엇보다,  유대인들이 있었고  후에. 첨예화 되는 기독교 내부의 갈등 속에서

    사도 바울은 불만세력을 사탄의 일꾼이라 부르며, 이단으로 규정하였습니다,.

     

    일세기의 갈등에서 고안된 적을사탄이라 규정짓는 무기는 초대 교부들을 거치며,

    이후에 출현하는 다양한 적들에게 사용되었습니다. 

    복음서 저자들의 견해를 따라  유대인들에 대한 적대적 자세를  당연하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오리게네스는 마태복음의 견해를 발전시켜  유대인들이 메시아를 거부하여 심판 받은 것으로 보고,

    유스티아누스는 히브리사람들을 자신의 신앙의 선조라 칭송하면서도

    당대의 유대인들은 성경도 모르고,  하나님의 계시를 무시한다고 멸시하였습니다.

     

    16세기의 마르틴 루터는 카토릭 교인들, 예수를 메시야로 인정하지 않는 유대인들,

    농민 반란에 참여해 지주 귀족 계급에 도전한 사람들 . 루터 교가 아닌 개신교도들을

    사탄의 하수인이라고 비난하였습니다.

     

    한편 수백만 이슬람교도 또한 기독교도들과 유사한 묵시록적 비젼을 사용하여

    서로 편만 뒤바꾸어 서로에게 자신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상대는 강력한 사탄의 협력자가 됩니다.

     

    문화적 유산은  비종교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선과 악의 갈등의 측면에서 인식하곤 합니다.

     

    사복음서가 쓰여질 당시의 기독교인들은 에세네파가 그러했듯.

     그들의 적이 이미 사탄의 자식으로서 지옥에 떨어지기로 확정되었다고 믿는 믿음으로 안도감과 유대감을 느낄 있었습니다. .

     

    마태복음에서 예수의 입을 빌러 하는 말은

    그들의 적들은 이미 마귀와 사자들을 위해 준비된 영원한 불에 빠질 저주 받을 사람들 규정됩니다.

     

    하지만 1세기 기독교 문헌 중에는 아주 다른 방식으로 적을 인식하는 경향 있습니다.

     

    마태복음과  요한 복음에   나오는 예수는 바리새파를 격렬하게 공격하고

    요한 복음 저자는  바리새파들을 사탄의 자식들이라고 규정하지만,

     마태가 출처로 사용하는 Q문서는 타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매우 다른 방식으로 제시하고

    예수의 말씀을 통해 적들과 화해할 것을 촉구합니다.

     

    마태 5;23 -24  형제와 화해하고 제사하라.

    마태 5 43-44 원수를 사랑하며, 박해하는 자를 위해 기도하라.

     

    이는 적이 어떤 해를 끼쳤든지 하나님과 화해하고 자신과 화해할 있다는 믿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바울도  불만세력을  사탄의 자식이라. 규정하며

    잘못을 저지른  구성원을 사탄에게 내줄 것을 제안하는데,

    이 때 사탄은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이는 그를 지옥에 빠뜨리기 위해서가 아니고.

    그가 회개하고 달라지기를 바래서입니다.. (고전 5;5)

     

    이렇듯 1세기 일부 그리스도인, 13세기의 앗시시 프란체스코 , 20세기의 마르틴 루터 목사에 이르기까지

    하느님이 자기 편이 있음을  확신하면서도 동시에

    적을 단순히 마귀라 규정하 않은 기독교도들도 많았습니다.

     

    그들의 종교적 비전은 종종 자신의 안녕과 생명에 대한 위협을 무릅쓰면서도

    악으로 간주하는 정책과 권력자에 반대하면서도, 그들을 저주하는 대신

    그들과 화해 있기를 기도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 대다수 기독교인들은 적이 사악하며 구원받을 없는 존재하라고 

    가르치고 그를 바탕으로 행동해왔습니다.

     

    어떻습니까 ?

    불신자들인  적은 더없이 사악하며,  구제 없으며, 저주 받고 멸망 받아야 존재인가요.

    아님  그들을 이해 하며, 화해를 신성한 것으로  여긴 예수의 가르침이 맞는건가요?

     

     

    The Origin of Satan  / Elaine Pagels   결론 부분을 요약하였습니다. 

  • ?
    cogito 2011.08.31 02:41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명 문장입니다.

    좋은 글 나눠주신 선생님 고맙습니다.

  • ?
    ??? 2011.09.02 14:57

    툭하면 남을 사탄이니 마귀니 하는 것은

    마니교 관습이군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2010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8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53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63
2155 우리 모두의 고민 - 고을님에게 3 빈배 2011.09.07 1616
2154 죽고 살고가 달린 사활의 문제 14 빈배 2011.09.07 2253
2153 한국 국가경쟁력 로산 2011.09.06 1616
2152 육일박님이 정말 모르는 이야기 10 김원일 2011.09.06 1753
2151 가을엔 편지를 띄우세요! 13 fm 2011.09.06 1722
2150 재림교회의 부흥을 위한 길 2 최종오 2011.09.06 1665
2149 몸을 살랑살랑 정도도 안 흔들면서 섹스하는 장로님 5 김원일 2011.09.06 2035
2148 뜻으로 본 하나님의 인과 바벨론 민들레의 꿈 2011.09.06 1440
2147 누가 백년의 선한 이웃이었나 6 김주영 2011.09.06 1829
2146 누에 키우기 2 강철호 2011.09.06 2835
2145 좀 삐딱한 신앙고백 2 노을 2011.09.06 1519
2144 오늘 어느 만남 4 바다 2011.09.06 1563
2143 모태교인 삼육교육...참 엿같은 상황이다. 6 모태삼육 2011.09.06 2367
2142 복음은 낙엽? 씨앗? 3 흙으로 2011.09.06 1465
2141 변화? 회복?의 시작은 어디서 부터일까요? 1 흙으로 2011.09.06 1437
2140 어이구 로산님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방 빼 2011.09.06 1471
2139 어쩜 그렇게도 똑같니? 김주영 2011.09.06 1477
2138 안식일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자리 3 김주영 2011.09.06 1853
2137 종말론(2)-인간의 기다림-cogito님 2 로산 2011.09.06 1506
2136 성경해석학을 공부하자 1 로산 2011.09.06 1468
2135 가을 4 최종오 2011.09.05 1753
2134 朴氏 부인이 그립다 4 fm 2011.09.05 1721
2133 성소제도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3 김주영 2011.09.05 1911
2132 안식일교회는 무엇과 싸우는가? 3 김주영 2011.09.05 1883
2131 질문입니다^^ 12 빠다가이 2011.09.04 1459
2130 성서는 육의 축복을 말하는가? 1 재림 2011.09.04 1451
2129 십계명에 대하여--과연 절대적인가? 4 노을 2011.09.04 1437
2128 종말론(1)-하나님의 본성-cogito님 1 로산 2011.09.04 1684
2127 카톨릭 교회만이 전정한 교회....? 6 file 산골 2011.09.04 1888
2126 예수를 놓아주자 8 허주 2011.09.03 1710
2125 속지 않기 4 로산 2011.09.03 1389
2124 한국스따여, 교회문턱 더 낮추지 않으면 망한다. 탄식 2011.09.03 1485
2123 아이고 방빼님 읽어보시라요 2 로산 2011.09.03 1825
2122 대답할 수 없는 질문 6 김원일 2011.09.03 1660
2121 스다 SDA , 우리는 스따인가 스타인가--헷갈리는 시츄에이숀 김원일 2011.09.03 1738
2120 그녀와 교회에서... 재림 2011.09.03 1450
2119 나도 교단을 옮길까? 재림 2011.09.03 1444
2118 나는 재림교인이다. 재림 2011.09.03 1601
2117 로산 님! 1 방빼 2011.09.03 1297
2116 도대체 뭣들 하자는 얘기인지? 1 강철호 2011.09.02 1519
2115 안식일에 하는 섹스와 수요일에 하는 섹스 김원일 2011.09.02 1955
2114 교회는 적극적으로 정치를 해야 한다 전광훈 목사 2011.09.02 1375
2113 이게 다 예수 때문이다! 1 김원일 2011.09.02 1679
2112 안식일에 성교하는게 죄인가? 2 재림 2011.09.02 2042
2111 곽정환 목사가 고민해야 할 또 하나의 문제--우리 송창식의 노래나 한 가닥 부르자. 13 김원일 2011.09.01 3299
2110 중도라는 나태한 정권이 오늘의 사단을 냈다 조갑제 2011.09.01 1424
2109 곽목사 5 김주영 2011.09.01 1812
2108 참! 보수와 진보란? 1 산골 2011.09.01 1324
2107 ....... 2 student 2011.09.01 2096
2106 선지자는 뿌려야 한다고 하셨는데 안하겠다는 사람들은 뭔가? - 산골님께 6 김주영 2011.09.01 1444
2105 Passer -by 님 4 미련한자 2011.09.01 1311
2104 안식교여, 안식교여.. 이걸 어이할꼬.. 2 김 성 진 2011.09.01 3863
2103 문제는 1844년이야, 이 님아 - It's 1844, stupid! 7 김주영 2011.09.01 1541
2102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이단 논쟁에 대한 소고 10 재림 2011.09.01 2394
2101 우리동네 검사께서 2 로산 2011.08.31 1413
2100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4 로산 2011.08.31 1432
2099 19님과 김주영님에게, 대쟁투나 어디에도 사상영감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3 KT 2011.08.31 1673
2098 왜 각 시대의 대쟁투는 뿌려져야 하는가? 4 산골 2011.08.31 1398
2097 방빼님 4 로산 2011.08.31 1622
2096 웃어 봅시다 2 바다 2011.08.30 1510
» 꼴통의 특징 - 대결구도 (Warlike Mentality) 9 빈배 2011.08.29 1829
2094 모차르트 - 세레나데 13번 G장조 4악장 Rondo Allegro 1 1.5세 2011.08.29 2147
2093 "대쟁투" 를 가을 낙엽처럼 뿌리면 ... 쓰레기 통으로? 40 김주영 2011.08.29 2453
2092 또 다시 고개 드는 시한부종말론, 2018년 재림설 5 file 경계 2011.08.29 2173
2091 모차르트 - 세레나데 13번 G장조 3악장 Menuetto Allegretto 1.5세 2011.08.29 3528
2090 외식하는 자여! 4 빈배 2011.08.28 2143
2089 노현이도 방 빼? 5 방 빼 2011.08.28 1859
2088 무제 3 file passer-by 2011.08.28 1386
2087 모차르트 - 세레나데 13번 G장조 2악장 Romance Andante 1.5세 2011.08.28 2897
2086 목사라는 게 창피해 죽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 [주장] '기독교정당' 추진하는 대형교회 목사들, 부끄러운 줄 아시라 사마리아 2011.08.28 2776
Board Pagination Prev 1 ...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