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 ----- 하늘님
하나님 -----하 날님(한글에 하늘을 하ㄴ. (아래아) ㄹ로 표기) 나중에 그냥 하나님으로 표기 기독교에서 유일신 사상 접목 그대로 사용.
원천적으로 하나님이란 말은 하늘님이다 그러니 그말이 그말이다 바로 하늘에계신 하늘님이다
다음은 위키 백과에 나온 저의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중 대부분 개신교 신자들이 자신들의 숭배 대상인 유일신을 지칭하는 말로서 하나님은 기독교에서 영원히 사는 영생의 신으로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도 섬기는 히브리 계통의 유일신 야훼(여호와)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한국의 꾸란 해설본에서도 알라 대신 "하나님"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4] 한국 이슬람 사원에서도 '하나님'이 아닌 '알라'를 창조주의 정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한국의 일부 무슬림들은 "하나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5] 그러나 이슬람교에서는 오로지 아랍어로 쓰여진 '코란'만을 인정하므로 한국의 코란은 단지 코란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설서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쓰인 '하나님'과는 그 의미 자체가 다르다.[6] 이와 비슷한 양상으로 이집트, 레바논, 이라크, 인도네시아 등에서 쓰이는 "알라"라는 표기는 이슬람 탄생 이전부터 쓰여왔던 용어이자 기독교에서의 신을 지칭하기도 한다.[7]
[편집] 뜻
하나님이라고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로는 엘로힘(אלהים)이 있다. 이를 한자어 천주(天主)라고 번역하고, 다시 근대 한국어 “하ᄂᆞ님”으로 번역한 것이다.
이 명칭이 최초로 나온 것은 존 로스 선교사와 번역팀이 번역한 최초의 한국어 성경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이다.[8] 이 성경전서의 1883년본에는 ".....두사람이 하나님의 압페셔 올은쟈라......"라는 문구가 있다.[9]
현대 한국어에서 아래아가 제외됨으로써 “하나님”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아래아가 현대화되면서 바뀌는 모음은 'ㅡ'나 'ㅏ'뿐 아니라 'ㅓ' 등 다양하다(→아래아). 현대의 민속 종교에서도 “하나님”,“하느님”혼용으로 읽는다.[10] 기독교 계통의 종교에서는 “하나”, 곧 “유일하신 분”이라는 신앙고백적 의미까지 담아서 “하나님”을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말은 “하나”라는 숫자에 “님”을 붙인 것은 아니다.[11]
[편집] 반론
표준어로 인정하는 용어이지만 반론은 있다. 국어학개설과 국어학개설 등에 따르면 하나님은 '하ᄂᆞ님'을 잘못 읽은 것으로써 대부분 'ᆞ'의 음가를 'ㅏ'로만 알고 있으나 비어두음절일 경우는 'ㅡ'로 발음하는 것이라고 한다.[12] 그러므로 '하ᄂᆞ님'는 하느님으로 읽는 것이 맞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이는 16세기에 제1단계 소실로 'ㅡ'로 바뀐 것이며, 18세기 중엽에 와서는 'ㅡ'가 아닌 'ㅏ'로의 대치가 일어나면서 기존의 변화된 양상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으며[13][14] 이에 따라 "하나님"이라는 용어 사용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하나님이라는 용어를 도용하였다는 주장이 일자 이에 관한 특이한 재판 사건이 1992년에 있었는데, 그해 11월 11일 강원도의 정근철이 기독교측을 피고로 '하나님 이름도용에 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고소장을 제출하였다. "한민족 하나님 도용죄"이라는 죄목으로 하여금 기독교에서 허락 없이 무단으로 써왔으므로 보상금으로 1억을 내라고 재판을 신청하였다.[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