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NPR 뉴스에 나온 이야기
40 년전의 실화 베스트셀러가 거짓말이라고 하는 책이 나와서 화제가 되고 있다.
워낙 유명한 책이었던데다가
그 주인공이 안식일교인이었기에 소개한다.
------------
1973년 Sybil 이라는 제목의 책이 나와
6백만부가 넘게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다중인격장애 (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해리장애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라고도 함) 를 앓고 있는
셜리 메이슨이라는 여성을 윌버라는 정신과 여의사가 진단하고 치료한 과정의 "실화" 였다.
한 사람 속에 여러개의 다른 인격 (셜리의 경우 16 개) 이 존재하는
다분히 엽기적인 다중인격장애는
이 책으로 인해
심리학계나 정신의학계는 물론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고
샐리 필드 주연으로 Sybil 이라는 영화까지 만들어진다.
셜리는 안식일교인 가정에서 자라났다.
엄마가 정신장애를 앓고 있었고 그 엄마로부터 정신적 성적 학대를 당한다.
그 학대를 겪으면서 방어기전으로 여러 인격들을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그녀 속에는 여러 다른 사람이 살고 있다.
정신과 의사 코넬리아 윌버는
상담과 약물을 통해 그 인격들을 다 끌어내어 진단을 내리고
상담 치료를 통해
결국 그 모든 인격들이 하나로 조화를 이루어
영화에 의하면 셜리는 예술가로 행복하게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
이번 달에 나온 Sybil Exposed 라는 책에서
저자는 조사와 연구를 거쳐 그 이야기가 허구라고 주장한다.
정서적으로 불안한 셜리가 정신과 의사에게 지어낸 이야기를 했고
다중인격장애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의사는 나름대로 집요하게 파고 들었고
그러는 와중에 둘 사이에는 불건강한 의사-환자 관계가 성립되고
서로가 서로에게 거짓말을 장려하는 형국이 되어
스토리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대중에게 알려지고 각종 강연 및 책 출판까지 하게 되는등
일약 유명인사가 된 의사는
이것이 모두 사실이 아님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쩌지 못하고 계속 거짓말을 하고...
셜리는 대학 미술 강사로 조용히 잘 살고 있었는데
영화가 나오자
사람들에게 정체가 알려지면서 사회 생활을 못하게 되고
윌버 박사에게 의존하여 살다가 결국 쓸쓸히 인생을 마감하고...
그런 얘기다.
----------
책을 읽어보지 않은 상황에서
누가 얼마만큼 거짓말을 했다고 판단할 수는 없지만
이런 일반적인 결론은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모든 거짓말이 악의로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거짓말이 너무 유명하게 알려지면
그것은 그 나름대로 살아있는 유기체가 되어
계속 자라나고 성장한다.
아무도 어쩔 수 없다.
진실이 밝혀짐으로 오는 부작용과 피해에 대한 우려 때문에
거짓이 거짓임을 알고도 계속 전파하는 사람들도 생긴다.
그리고
정신 건강은 매우 중요하다.
건전한 정신에 건전한 신앙도 깃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