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2.10.28 15:03

'출구'에 대하여

조회 수 1066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잔나비님의 '출구'라는 표현은 매우 파격적이었다.

기존의 질서에 일종의 대안을 기대한 분들에게는 매우 환영할만한 표현이었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에게는 좀 꺼려지는 표현이었다고 생각된다.

일단 그는 '출구'의 필요성을 적절히 피력했지만, 구체적이지는 않았다.

안타깝게도 그는 꾸준한 요구에 대답을 주진 못했다. 그래서 그를 대신하여 '출구'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이 없을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다.

 

먼저, 잔나비님의 의도는 이러했다.

현재는 위기이며, 위기 상황은 기존의 체제 아래에서는 답이 없어 보인다. 그러므로 출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좋은 지적이다. 이스라엘의 종교 상황과 우리의 상황이 너무도 비슷하 나머지 나도 그의 의견에 동의한다.

그렇다면, 이스라엘이 처한 가장 큰 위기 상황은 바벨론 유수일것이다 (W. Brueggemann ). 이 때 그들이 해결한 방법은  토라 (Torah)에 선지서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즉, 선지서가 이들에게는 출구였던 것이다. 정경이 추가된 것이다.

 

종교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경이 등장한 것은 단 한번 뿐이 아니었다.

초기 기독교의 탄생에 있어서도 그러했다. 바울과 예수의 제자들은 이 부분에 있어서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리하여, 27권이 더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후, 종교 암흑기간을 지나 루터가 개혁을 필요로 했을 당시,  성경 해석의 자율성을 내세워 성서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었다.

잘 알다시피 19세기 재림교회는 엘렌 화잇의 글들을 제 2의 정경처럼 받아 들여 위기 상황을 극복했다.

결국, 매 위기 상황에서 출구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오늘날의 기독교가 발전해 온 것이라고 봐도 과언은 아니라는 것이다.

 

'출구'에 대하여 구체적인 대답이 없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출구'는 그 자제로 매우 스케일이 큰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아마도 점진적으로 신학을 발전시켜나가면서 해결해야 할 것이기에 조급해 할 필요가 없다.

 

사실, '출구'는 이전 것을 모두 버리자는 뜻은 아니었을 것이다.

토라와 선지서들, 그리고 신약 성경이 모두 우리에게 귀한 자산 아닌가? 신약이 등장했다고, 구약을 버릴 일이 아니었듯, 지금까지 재림교회 선구자들이 이룩한 일을 당장 버리자고 말하지는 않았다.  나는 새로운 '출구' 전략을 선교학, 전도법적 차원에서 Biblical Theology 차원의 문제로 봤으면 한다. 2300주야, 1844, 예언 등 예민한 토픽들이 결코 성서 즉 Text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에 접근하고자 하는 방법론은 획일적이지도 않다. 교조주의적 혹은 교회신학적 해석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해석을 위해 어떤 헤게모니에도 의존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것이 교단이나 교회이든, 세계적인 신학자이든 상관없다. 다양하게 접근하고 고민하면서 어떤 '출구'가 기다리고 있는지 기도하며 명상하며, 연구하며 진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 ?
    박진하 2012.10.28 15:28

    윗글 쓰신 님

    아래 주장들이 정말 '이전 것을 모두 버리자는 뜻이 아니었을 것' 맞습니까?

    정말 이 정도의 주장들도 "선교학, 전도법적 차원에서

    Biblical Theology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는지요?

    정말 그런 정도의 수준만 된다해도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주장들이 정말 '새로운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들이라면

    안식교 이단 킬러들인 훼케마, 탁명환, 박영관, 진용식, 최삼경, 등은 아주 선구자들이죠.....

    이에 맞서 '어둠이 빛을 이기지 못하리라'라는 책을 쓰신

    고 신계훈 목사님은 그 새로운 출구를 틀어 막는 역할을 하신 셈이군요 ...

     

    님이 지적한 역사적으로 등장한 새로운 출구들은

    한결같이 이전 것을 무너 뜨리거나 부정하면서 세워진 것이 아니라

    이전 것들을 더욱 공고히하고 견고히 했다는 사실을 유념한다면

    아래의 주장들은 결코 설자리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한 면에서 아래의 주장들,

    이전 재림교회의 근본 마져 부정하고 아니라고 하는

    이러한 주장들을 성경과 기독교 역사속에 하나님의 뜻을 따라 등장한

    새로운 출구 역할과 함께 나란히 언급하는 것은 자가당착이 아닐 수 없습니다.

     

    [ 10년 넘게 카스다 등에서 꾸준히 제기된 주장들]

     

    1. 1844년의 대실망은 성경에 예언된 말씀의 성취가 아닌 인간의 대실수일 뿐이다.

    재림교회의 2300주야의 기산점 계산은 틀렸다.

    고로 1844년은 대실망이 아니라 윌리암 밀러같은 시기파들이

    시기를 정해 놓고 안 맞으니 대체로 합리화시킨 대실수다.

    또한 2300주야는 재림교회가 해석하는 것처럼 2300년이  아니라 2300일이다.

    아울러 재림교회가 해석하는 것처럼 다니엘서 8장과 9장은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예언이다.

     

    2. 엘렌 지 화잇은 예언의 신 대부분을 다른 사람의 것을 베꼈고

    표절했으며 그 내용 중 잘 못이 있어 "입장곤란하면 비서가 잘못적었다"고 했고

    후에 화잇 재단은 그런 부분은 몰래 삭제한 것이 예언의 신이란 것이다.

    한마디로 남의 글이 화잇이 표절만 하면 예언의 신으로 둔갑을 한다"

     

    예언이란 것은 바로 우리 선구자인 우라이야 스미스가 한 겁니다

    그걸 대쟁투에 넣었습니다 서로가 합의하에 넣은 걸 겁니다

    그러는 바람에 계13장 해석이 엘렌 화잇의 것이 되었습니다

    하늘에서 온 기별로 둔갑했습니다.

    그가 쓴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어쨋던 간에 그분 책에 있으니 예언의 신입니다

    칼빈이 쓴 것도 말틴 루터가 쓴 글도

    그분 책에만 들어가면 예언의 신이 되고 해석이 된 겁니다"

     

    "우리의 선구자 중 하나인 윌리암 밀러의 해석이 나는 틀렸다고 봅니다

    그리고 우라이야 스미스의 해석도 나는 틀렸다고 봅니다

    엘렌 화잇여사는 그 시대적 대세에 밀려 갔다고 봅니다

    오늘 우리들도 그 대세에 밀려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절대로 수정할 수 없는 것이라 우깁니다 우리 좀 솔직해 집시다" 

     

    3.예언의 신은 1800년대 시대적 산물이며

    오늘날에는 별 의미가 없는 종교 서적에 지나지 않는다

     

    4.2300주야나 1260일의 재림교회의 해석은 많은 역사적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새로운 시대에 맞는 재해석이 필요한 예언들이다.

     

    5.안식일은 하나님의 인이 아니다.

    고로 짐승의 표, 하나님의 인을 대 쟁투의 최후 계쟁점으로 삼는 것은 잘못이다.

     

    6.일요일 휴업령은 절대 내리지 않는다.

    그것은 이미 토요 휴무제로 대체되었다.

    그런 기별을 전하여 백성들을 겁주고

    자신들은 호의호식하는 위선적인 목사들이 많다.

    내 생전에 일요일 휴업령 내리는가 봐라. 장담한다.

    그것은 1800년대 미국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서 화잇이 언급한 것일 뿐이다.

     

    7.레위기 11장은 폐지되었으며 에덴으로의 회복 등의 음식물 문제는 비성서적이다

    아무 것이나 먹고 마셔도 구원과는 아무런 문제도 없으며

    육식 대신의 채식 권장은 문제가 많다.

     

    8.고리타분한 재림교회의 교리 해석이나 예언 해석은 시대에 맞게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9.만인과 만생은 모두 결국은 구원 받는다.

    만인 구원론이 성경에 없는 것이라 해도 만인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생각을

    우리가 좀 더 넓게 성경을 떠나 그려 보는 것이 무슨 문제인가?

    성경을 떠나서도 얼마든지 우리는 하나님에 대해 생각할 수 있고

    하나님에 대한 다른 초상을 그려 볼 수 있다.

     

    10.어쩔 수 없는 자리에서는 1년에 한 두 차례 술을 먹는다. 그게 무슨 문제인가?

    "알콜요? 마찬가집니다. 하지만 가끔씩 마셔야할 상황이라면

    분위기를 위해서라도 주저 없이 한 두 모금 합니다.

    일 년에 1 번? 2 번? 그렇다고 중독이 될 염려는 전혀 없다고 봅니다"

     

    11.그 어떤 소설이나 영화 같은 것(심지어 애로 영화까지도) 마음대로 봐도

    우리의 영적 삶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으며

    유행가를 부르며 노래방 등에 가는 것이 무엇이 문제인가?

     

    12.재림교회가 가르치고 예언의 신에 수없이 기록된 늦은 비 성령은 없다.

    성령은 이른비와 늦은 비로 구분되지 않는다.

     

    13.재림교회 28개조 교리 중 [종말론] 중 24개 조항에 명백히 명시된

    조사심판은 없다.

     

    14. 하늘에는 '죄의 책'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들을 적거나 그런 것을 결코 하지 않으신다

     

    15. 재림? 내  생전에도 당신 생전에 절대 없다. 내기하자!

    ============================================

     

     

  • ?
    김 성 진 2012.10.28 15:44
    뉘신지 모르겠지만 저절로 "아멘!!" 이 나오는 글을 쓰셨습니다..
    아멘!!!!
  • ?
    로산 2012.10.28 15:53

    사실, '출구'는 이전 것을 모두 버리자는 뜻은 아니었을 것이다.

    ===============================

    남십자성님

    그 이름 보니 어머니 얼굴이 떠오릅니다

    물론 유행자 한 자락이죠


    출구전략은 위험할 때 

    그리고 그만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겁니다


    좀 바꾸어 보자는 것은 옛것을 모두 버리자는 의도 아닙니다

    몸에 맞지 않은 옷을 걸아입자는 말입니다

    그게 뭔지는 정확히 모릅니다


    1844년인지 2300주야인지 레우기 11장인지 지성소문제인지

    아니면 일욜 휴업령 하나님의 게명과 예수의 증거인지

    그저 그런 것들 생각나는네로 나열하는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것에 있는 게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이 그런 것에 너무 매이면

    근본인 그리스도 없는 교회가 된다는 겁니다

    지금이 그런 시대 아닌가요?

    죽어라하고 그것 지키자는 무리와 

    아니여 그런 것하고 바꿀 수 없는 신앙의 근본이 따로 있어 하는 무리가 상충하는 겁니다

  • ?
    잔나비 2012.10.28 15:55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뉘신지 모르겠지만, (상관없구나..ㅎ) 환영해 마지않습니다.^^

  • ?
    케로로맨 2012.10.28 16:25

     꼭 특정 교리나 가르침을 반대하고 안 믿는다 하여서 대안을 제시하여야 하는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저의 경우 성경의 형성사, 성경 사본의 조악성, 본문 비평학 등을 공부 하면서 텍스트 자체에 대한 회의를 가지게 된 입장에서

     

     텍스트 안에서 또 다른 대안을 제시 하라는건 애시당초 불가능한 이야기거든요.

     

     

  • ?
    southern cross 2012.10.28 16:50

    모든 댓글 감사합니다.

    제가 일일이 답을 해드릴 수 없는 점 양해바랍니다.

    일단, 다양한 목소리들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로산님의 말씀대로 상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구요.

    이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배척과 배격이 아니라, 이해일 것입니다.  다원하게 바라보고 해석을 시도하면서 발전하는 것이겠지요.

     

    박진하님께 제가 드릴 수 있는 대답이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이해해 주십시오.

     

    위에 제가 쓴 글을 좀 보태자면....

    유태인들의 성경 해석에는 유일한 한 가지 답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제자들이나 바리세인들에게 "어떻게 보느냐?"라고 물을셨습니다.

    해석들이 어떻게 보면 상대적이거나 주관적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잡힌 물고기가 153마리라 하면, 155마리면 어떻고, 160마리면 어떻겠습니까?

     

    주어진 텍스트 내에서 문자적 해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  그 사이에서 정도의 차이는 분명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해석 상의 의미의 레벨을 두고 유대인 랍비들은 다음과 같이 나누었습니다: plain (peshat), allusive (remez), deep (derash), and secret (sod).

    위의  히브리어 첫 음가들을 조합하면, prds 즉, 파라다이스라고도 합니다.

    다시 말하면, 주석행위 자체가 이미 천국의 기쁨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런 시도는 같은 텍스트 내에서 멀티플한 의미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되었겠구요.

  • ?
    잔나비 2012.10.28 17:03

    이거, 상당한 고수가 나타나셨네요...^^ 

    캐로로맨 님과 뭔가 쟁점이 붙을 수도 있을 것 같구요.

    여튼, 기대가 됩니다.ㅎㅎ 

    건필하시길.

  • ?
    southern cross 2012.10.28 17:28

    저도 본문비평을 접하면서 처음 들었던 생각은 "조심스럽고 두렵다" 였습니다.

    간단한 예로 어떤 사본에는 엘리야가 바알의 선지자들을 "다"  죽였다고 했는데, 어떤 사본에는 "다"가 빠져있는 텍스트의 불완전함을 보면서...

    하나님의 말씀은 무오한데, 텍스트가 불완전 하다니!

    이것이 현실입니다. 우리 종교의 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와 다른 사람의 해석에 귀 기울여야 하겠지요. 

     

    결국 독자가  최대한 객관적인 자세로 접근한다고 해도 결과는 주관적 해석이 될 수 밖에 없다는 말이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6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28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1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5
4255 안식일을 부적 삼아 미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려는 무당들에게 (수정 2) 13 김원일 2012.10.28 1084
4254 케로로맨, 잔나비, southern cross 님들, 제발... 7 김원일 2012.10.28 1368
4253 거 참 생각할수록 고약한 표현 - "민스다 ㄴㅁ들" 8 김주영 2012.10.28 1756
4252 난 된장국의 거의 먹지 않는다 4 로산 2012.10.28 1195
4251 인간은 변한다고? 나를 그리고 우리를 봐라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1- 5 로산 2012.10.28 1186
4250 레위기서의 속죄예식과 돼지고기의 부정성-김금복님 2 로산 2012.10.28 1878
» '출구'에 대하여 8 southern cross 2012.10.28 1066
4248 그런 논리 때문에 박태선, 문선명, 박명호, 정명석, 안상홍 등이 예수가 될 수 있었다! 28 file 박진하 2012.10.28 1801
4247 진중권 vs 누리꾼 ‘맞짱토론’ 싱겁고도 훈훈한 결말 1 NLL 디벼주기 2012.10.28 1136
4246 민스다는 환풍구요 칼라사진이다. 감동이다.^^ 7 김민철 2012.10.28 1109
4245 박할매, 박할배 ! 문제는 된장국이 아니여 ! 7 김주영 2012.10.28 1407
4244 진중권(진보논객)vs 간결(보수논객-일간베스트 저장소 활동) 무게 2012.10.28 1613
4243 돼지고기-2 20 김금복 2012.10.27 1201
4242 한국 교회의 고질병 글쎄 2012.10.27 1216
4241 독도는 우리 땅, 된장도 우리 것. 3 독도어부 2012.10.27 1413
4240 위기는 계기다…언폴딩 님께 드리는 글.. 마지막회 10 student 2012.10.27 1237
4239 할매여, 나는 그대의 된장찌개보다 예수의 소주 한 잔이 그립다. 9 김원일 2012.10.27 1631
4238 노을님. 로산님. 김금복 2012.10.27 914
4237 할매 니 머라카노. 니 노망 묵었나. 똥인지 된장인지도 모르는 이 할망구야. 9 김원일 2012.10.27 1800
4236 예정 바이블 2012.10.26 1015
4235 내가 살아왔던 1991년도의 작은 일들 7 로산 2012.10.26 1106
4234 아이고, 이 민스다 ㄴㅁ들아! 21 할매 2012.10.26 1771
4233 [평화의 연찬(제34회, 2012년 11월 3일(토)] 카인의 후예, 인간의 땅 : 인간의 조건 | 도현석(삼육대학교 신학과 교수)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2012.10.26 1841
4232 우리가 만든 대통령 로산 2012.10.26 1386
4231 하나님의 예지와 예정 3 질문1 2012.10.26 1524
4230 예수 오지 않은 오늘 --그는 왜 오늘도 오지 않았는가 김원일 2012.10.26 1032
4229 이 안식일에 생각해 볼만한 글 로산 2012.10.26 845
4228 엽기적 야훼 하나님, 쪽나지 않으려고 수갑 차시다: 어떤 엽기적 설교 (조회수 3 후 사진 첨부) 김원일 2012.10.26 1358
4227 어라, 근데 저건 또 뭐냐? 손뼉 치네? 2 김원일 2012.10.26 1008
4226 백씨 할머니의 증손자는 이렇게 말했다. (수정) 1 김원일 2012.10.26 1440
4225 도대체 마태복음 24장 중 어느 구절이 ‘일요일 휴업령’에 대한 예언이란 말인가? 6 손님오셨다 2012.10.26 1228
4224 로산님, 절기 질문입니다. 3 김금복 2012.10.25 969
4223 백선엽 논란 확산…'전쟁영웅'vs'친일반역자' 1 친일vs영웅 2012.10.25 1277
4222 이게 말이 되는 말이냐 이거다.. !!! 13 김 성 진 2012.10.25 1294
4221 김균 장로님의 내 개인 신상에 대한 글에 대한 진실규명! 3 박진하 2012.10.25 1351
4220 쓰레기 종말론의 경험 1 로산 2012.10.25 921
4219 옮김글 박희관 2012.10.25 836
4218 비가든 구름 찾기-계속되는 이야기 2 로산 2012.10.25 1194
4217 잔나비님 민초스다 글 좀.... 12 박진하 2012.10.25 1362
4216 필리페님 소환글 2 허주 2012.10.25 1302
4215 [평화의 연찬(제33회, 2012년 10월 27일(토)] 직장문화와 직장인 매너 - 남북통일을 위한 과정의 모든 것은 개인적 차원과 민족의 염원을 넘어 세계사적 차원에서 연계되어 있다.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10.25 3210
4214 왜 이렇게 심각해요.. 배꼽 잡으시고 한번 웃자고요 ㅎㅎㅎㅎ 2 박희관 2012.10.25 1853
4213 박근혜 "역사를 잊는 사람이 역사의 보복 받는다" 2 알약 2012.10.25 1337
4212 박진하님 카스다 글 좀.... 6 잔나비 2012.10.25 1876
4211 강간의 임신도 신의 뜻 로산 2012.10.25 1684
4210 참으로 가소롭다 로산 2012.10.24 1143
4209 박진하 신드롬에 부쳐 한 마디: 그에게 여길 떠나라는 말 하기 없기 3 김원일 2012.10.24 1393
4208 따져보고 또 따져보고 다시 한번 따져보자.. 11 김 성 진 2012.10.24 1382
4207 성질 급한 넘이 우물 판다고=박진하 목사님께 내가 답글 적습니다 4 로산 2012.10.24 1297
4206 우리는 무엇(누구)을 믿는가? choshinja 2012.10.24 1071
4205 딱 김성진씨만 보세요,,,, ㅋ 4 천국있다 2012.10.24 1246
4204 박진하 목사님께 몇 가지 27 로산 2012.10.24 1563
4203 정체성에 대한 "천국있다"님의 댓글에 대한 답변 3 노을 2012.10.24 1053
4202 내가 만약 초교파교회 목사라면.. 7 김 성 진 2012.10.24 1820
4201 열린 교회와 그 적들 2 캣우먼 2012.10.24 1033
4200 할례, 금기 음식, 안식일 3 해람 2012.10.24 1662
4199 가슴 아픈 이야기 ..... 10 박진하 2012.10.24 1551
4198 Passer-by님, 로산님, 일요일 휴업령이 없다고 믿으시는 민초님들께 다시 한 번.. 5 불암산 2012.10.24 1921
4197 돼지고기. 17 김금복 2012.10.23 1770
4196 박진하님.. 도대체 왜 이러는걸까요.. 불편한 진실.. 그것이 알고싶다.. 8 김 성 진 2012.10.23 1581
4195 우리 인정할건 인정하자.. 암만 토론해봤자, 박진하님과 그의 세력들에게 우리 또 졌다.. (2) 1 김 성 진 2012.10.23 1406
4194 꼬질러 바치기 2 로산 2012.10.23 1091
4193 우리 인정할건 인정하자.. 암만 토론해봤자, 박진하님과 그의 세력들에게 우리 또 졌다.. (1) 3 김 성 진 2012.10.23 1301
4192 이젠 뭘 물고 늘어지지? 1 로산 2012.10.23 1171
4191 안식교 할 일은 이것! 오두막 2012.10.23 1044
4190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5 근거!! 2012.10.23 825
4189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4 1 근거!! 2012.10.23 1202
4188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 3 근거!! 2012.10.23 896
4187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 2 근거!! 2012.10.23 840
4186 비성경적인 국내 주요교파의 목사제도 1 근거!! 2012.10.23 898
Board Pagination Prev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