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가 바뀌고 다시 봄이 왔지만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은 여전히 거리를 헤매고 있습니다. 그리고 삭발을 했습니다. 과연 우리는 1년 전의 약속을 지키고 있을까요? <오마이뉴스>는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잊지 않겠다는 약속, 기억하겠다는 다짐을 실천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싣습니다. [편집자말]
기사 관련 사진
▲  세월호 생존·희생학생 여동생 멘토 심수진(왼쪽)씨, 한소연씨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지난 2월 대학교를 졸업하고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한소연(24)씨는 서울 노량진 고시원에서 지낸다. 이곳에서 공부에 매진하고 있는 소연씨는 일주일에 세 번 안산으로 향한다. 1년 전 세월호 침몰 사고로 목숨을 잃은 단원고 학생의 여동생 한지연(가명)양을 만나기 위해서다. 지난해 7월부터 공부를 가르치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어른에게 적대적이었던 지연양은 어느새 밝은 성격으로 돌아왔고, 올해 학교 생활도 잘하고 있다. 소연씨는 "하늘나라로 간 언니에 대해 얘기할 정도로 가까워졌고, 이제는 제 동생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심수진(28)씨도 일주일에 두 차례 안산을 찾는다. 수진씨는 세월호 사고 생존학생 3명의 멘토다. 지난해 10월부터 이 학생들의 공부를 돕고 있다. 수진씨는 "학생들이 지난해 큰 일을 겪고 공부를 많이 하지 못했지만 이제 공부나 자신의 꿈에 대해 의욕을 보이고 있다"면서 "다행스러운 일이고, 참 뿌듯하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세월호 사고 유가족을 비판하는 사회 일각의 목소리에 "여전히 세월호 사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 '이제 그만하라'는 말은 자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 이후 상처 입은 학생들의 멘토가 된 소연씨와 수진씨는 "앞으로도 계속 돕고 싶다"고 했다. 9일 오전 정부합동분향소 인근 안산글로벌다문화센터에서 두 사람을 만났다. 

"내가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걱정... 하지만 학생들은 밝았다"

기사 관련 사진
▲  세월호 생존학생들의 멘토 심수진씨.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 수진씨는 어떻게 해서 안산에 오게 됐나.
심수진(아래 수진) : "2011년부터 교육봉사단체 '아름다운 배움'을 통해 학생들에게 꿈을 찾아주거나 자존감 증진을 도와주는 멘토링 활동을 해왔다. 2014년부터 본격적인 취업준비에 나섰는데, 그때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다. '아름다운 배움'으로부터 그해 5월 연휴 4일 동안 세월호 사고 생존학생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해 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 제안을 받고 어떤 생각이 들었나. 
수진 : "'내가 큰 아픔을 겪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거창한 멘토링이 아니라 학생들과 만나는 일이라고 해서 응했다. 당시 생존학생들은 중소기업연수원에서 지내고 있었다. 멘토들은 바리스타·요리·음악·클레이(찰흙놀이)반 등을 운영했고, 학생들이 원하는 반에 찾아왔다. 학생들은 생각보다 밝았고, 우린 금방 친해졌다. 이 프로그램이 7월까지 이어지면서 많은 시간을 함께했다." 

- 소연씨 얘기도 해 달라.
한소연(아래 소연) : 지난 2월 대학교를 졸업하고 임용고사에 '올인'하기로 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를 보면서 충격을 받았다. 희생된 선생님 중 가장 어린 분의 나이가 저와 같았다. '내가 만약 세월호 사고 현장에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죄책감을 느꼈다. 당시 경기도교육청에서 단원고 3학년 학생들에 대한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해서, 지원했다. 조금이라도 죄책감을 덜 수 있겠다 싶었다. 6월부터 시작했는데, 일주일에 네 차례씩 갔다."

- 당시 학생들은 어떤 모습이었나.  
소연 : "학교에 가보니 대체로 분위기가 밝았다. 3학년 학생들은 유가족들이 집회를 하거나 행진을 하는 날에는 '공부가 안 된다'고 했다. 그때 많이 '다운'됐다. 대학 수시 원서를 넣을 때도 힘들어했다. 학생들은 단원고 학생임을 밝히고 싶어 하지 않았다. 어떤 학생은 (대학) 면접에서 관련된 질문을 받고 울기도 했다."

수진 : "진도 앞바다에서 실종 학생들이 계속 발견됐다. 2학년 생존 학생들은 이러한 소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몇몇 학생들은 많이 힘들어했다. 다행히 그때 말고는 학생들은 밝은 모습을 보여줬다. 여러 차례 1박 2일 캠프를 열어 함께했다. 지난 8월에는 동해안에서 캠프가 열렸다. 바다 옆에서 레일 바이크를 타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걱정했지만, 학생들은 재밌게 시간을 보냈다."

"공부나 꿈에 의욕을 보이는 학생들... 뿌듯하다"

기사 관련 사진
▲  세월호 희생학생 여동생 멘토 한소연씨.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 수진씨는 지난해 5~7월에 이어 10월부터 생존학생에 대한 학습 멘토링에 참여하고 있다. 학생들은 어떻게 변했나.
수진 : "생존학생 일대일 학습 멘토링은 10월부터 1월까지 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신청해서 2월에 다시 시작했다. 학생들은 지난해 공부를 많이 못해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제는 공부나 자신의 꿈에 대해 의욕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큰 일을 겪어 혹시 좌절하거나 방황할까봐 걱정했는데, 의욕을 보여 참 다행이다. 뿌듯함을 느낀다. 앞으로도 계속 만나 도와주고 싶다." 

소연 : "지난해 고3 학생들은 단원고 학생임을 숨기려고 했고, 대학생이 된 지금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오히려 단원고 출신인 것을 드러내놓고 주변 사람들에게 세월호 사고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한다."

- 소연씨는 희생 학생의 여동생을 돕고 있다.
소연 : "지난해 7월 아름다운 배움에서 희생학생의 형제자매를 돕는다고 해서 지원했고, 한지연(가명)양의 멘토가 됐다. 처음엔 제게 너무 적대적이었다. 질문을 해도 대답을 안 하거나 단답형으로 답했다. 일주일에 두 차례 3~4시간씩 만났다. 공부도 하고 다양한 얘기를 나누기도 했다. 서울에 놀러가기도 했다. 이젠 낯선 사람을 적대적으로 대하는 태도가 바뀌었고, 학교 생활도 잘하고 있다. 하늘나라로 간 언니에 대해 얘기할 정도로 가까워졌고, 이제는 제 동생처럼 느껴진다."

-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둔 지금, 진상규명 등을 요구하는 세월호 사고 유가족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수진 : "씁쓸하다. 제3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월호 사고를 잊는 건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세월호 유가족들을 비난하는 걸 이해할 수 없다. 참 안타깝다. 또한 인양 문제를 비롯해서 세월호 사고를 너무 치우친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꼭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다."

소연 :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만하라', '언제까지 그렇게 할 거냐'고 얘기하는 걸 자제했으면 좋겠다. 힘겹게 버티고 있고 태연한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려는 학생들에게 상처가 될 말은 안 했으면 좋겠다." 

"할 만큼 하지 않았느냐고? 하고 싶어서 한다"

- 취업준비생으로서 1년 넘게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게 쉽지 않을 것 같다.
수진 : "하루 종일 취업 준비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공부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한다고 해서 시간을 많이 뺏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 입장에서 보면 제 나이나 상황을 두고 '너 그럴 때가 아니다'라고 할지도 모른다. 그런 시선에 신경을 썼다면, 지금 이런 활동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소연 : "작년에는 '대견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그런데 올해 반응이 달라졌다. 몇몇 친구들은 '네 할 일이 우선 아니냐', '그 정도면 할 만큼 하지 않았느냐', '다들 제 자리로 돌아가지 않았느냐'고 한다. 그런 얘기를 들으면 '하고 싶어서 한다'고 넘긴다." 

-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있나.
소연 : "힘들다는 것을 표현하지 않는 학생들을 보면, 그 마음 씀씀이가 고맙다. 표현해주는 학생들의 경우, 그만큼 저를 믿어주는 것 같아서 고맙다."

수진 : "'네가 뭘 하든 항상 너의 꿈을 응원할게'라는 말을 꼭 하고 싶다."

○ 편집|최은경 기자

00158613.jpg

오마이뉴스 사회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2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2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4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1
15665 "김정은 참수 작전? 손 안 대고 코 풀겠단 뜻!" 정세톡 2016.02.14 82
15664 "김형태 성추행 보도 은폐, KBS 대신 사과합니다" 국민의방송 2012.04.24 7584
15663 "꽃다운 나이에.. " 세월호 판결문 낭독 판사 울컥, 울음바다된 재판정 1 2015.04.27 336
15662 "나 같은 기독교인도 있다는 걸 보여 주고 싶어요" [인터뷰] 다섯 아이 엄마 오지숙 씨, 1인 시위로 '리멤버0416' 만들다 엄마 2014.11.07 637
15661 "나 기잔데, 소주 2/3병 밖에"…정성근, 음주운전 논란 기가막혀 2014.06.15 1424
15660 "나 이 나라 떠날래" 어머니들의 절규!!... 배달원 2014.10.30 635
15659 "나는 5.18 진압군이었습니다" & 통일연구원 허문영 박사 (CBS 크리스천NOW 28회) 5.18 광주 2014.10.19 726
15658 "나는 왜 이석기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나" 모퉁이 돌 2013.09.08 2115
15657 "나를 잊지 마세요" 삼성과 싸우는 사람들 ( 타치와 요이치로(立岩陽一郎 )NHK 기자 ) 2 배달원 2014.10.24 948
15656 "나치 선전같은 방송 놔두는게 징계감" '정직4개월' KBS 김용진 기자 "가소롭다" 강력 비판 1 프리즘 2010.12.25 3470
15655 "남양공업, '전라도 출신 채용불가' 실수?" ...... 어떻게 이런 '실수'(?)가 가능할까. 무엇이 이들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3 겸제 2014.12.08 825
15654 "남한에 북한 땅굴이 200개? 들어보면 재밌다" 김균 2013.05.05 2671
15653 "낮잠 왜 안 자" 두 살배기 패대기친 보육교사 2 이해 2014.12.19 542
15652 "내 돈이 왜 난민에게" 난민 2015.09.04 262
15651 "내 딸 좀 꺼내 주세요"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 오열 세월 2015.02.15 331
15650 "내 종교만 옳다고 하는 것은 우상숭배"...........이 기사가 혹 불편하지 않으십니까 1 시나브로 2011.06.11 2423
15649 "내가 율법을 폐하러 왔느뇨?" (퍼 온글) 돌베개 2011.09.14 2245
15648 "너 쟤 똘마니/패거리지?"와 "너 저 다른 필명 쓴 nom, 그 nom이지?"의 차이 3 김원일 2012.11.03 2226
15647 "너무 늦게 왔습니다" 무두질 2015.09.05 239
15646 "너의 죄를 사하노라." 맘 대로 2015.08.09 187
15645 "너희가 나를 사랑하면 나의 계명을 지키리라." 3 계명을 2014.09.11 824
15644 "노 대통령이 세상을 놓은 심정과 내 심정 똑같다" - [양정철의 특별한 만남②] 20일 재판 앞둔 한명숙 전 국무총리 6 주권재민 2010.12.19 3151
15643 "노건호 추도식 발언 공감... 참모로서 부끄러웠다" 참모 2015.06.11 264
15642 "노무현 거액 차명계좌" …조현오 발언은 허위. 검찰, 차명계좌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무엇이진실? 2012.05.10 4637
15641 "노예는 반드시 구원 받아야 한다?" (대 수정) - 김균님, 가을바람님 께도 2 계명을 2014.09.19 742
15640 "농협해킹 北소행은 천안함 같은 날조극"(종합) 지옥 2011.05.10 2351
15639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2 2014.12.27 725
15638 "다 이루었다" 의 의미에 대해 10 김운혁 2014.06.02 1080
15637 "다음카카오 '감청영장 불응 보복 수사' 아니냐" 얘기도 카톡 2014.12.09 628
15636 "단8장의 작은 뿔을 누구라고 생각하세요?" 로산 2011.02.22 1996
» "단원고생, 대학면접 때 세월호 질문받고 울기도" 진도 2015.04.14 244
15634 "당신 인생 파멸시키겠어" 朴 당선인 "전문성 중요…낙하산 인사는 잘못" 10 영구들의 행진 2012.12.24 1873
15633 "당신은 가짜 목사"라고 외치는 교인을 보고 싶다 재민 2014.08.25 631
15632 "대쟁투" 를 가을 낙엽처럼 뿌리면 ... 쓰레기 통으로? 40 김주영 2011.08.29 2418
15631 "대통령 되면 내가 이거 다 할 겁니다." "공약은 반드시 이행하겠습니다." "나의 장점은 신뢰입니다." "지킬 수 있는 것만 공약으로 내놨습니다" 5 file 신뢰 2015.02.03 339
15630 "대통령 자리 위태로운 줄 알아야 국민과 생명이 소중한 줄 알겠죠" ... [인터뷰] 청와대 게시판 '박근혜 대통령 비판 글' 원작자 박성미씨 comeandSee 2014.04.28 844
15629 "대통령의 건강 상태를 공개하다니... 사과하면 아픈 것도 다 나을 것" 근혜야, 세월호를 순리대로 풀어라. 고집부리지 말고 2 코리안 2015.04.27 194
15628 "따뜻한 글: 안아주세요"를 올리셨던 누리꾼님, 다시 올려주세요. 죄송합니다. 2 김원일 2014.11.10 501
15627 "라도 빨갱이," 이런 필명 쓰는 개 같은 인간 앞으로 아이피 차단한다. 7 김원일 2014.10.04 578
15626 "라도 빨갱이," 이런 필명 쓰는 개 같은 인간 앞으로 아이피 차단한다. 빛의자녀들 2014.10.06 1162
15625 "라면교"를 알아보자. 3 西草타운 2012.06.27 2604
15624 "마음까지 강제출국 시킬순 없어" 3 종북몰이 2015.01.10 449
15623 "마지막날 사건들" 책에 언급된 다니엘 12장. file 김운혁 2014.05.13 776
15622 "메르스 초기대응 부실"…정부 상대 첫 소송 제기 2 소송 2015.06.21 185
15621 "목사가 죽어야 교회가 산다?" - 유재춘 님 vs 시촌 님 14 일휴당 2014.12.08 665
15620 "목사님, 왜들 이러세요?" -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혼돈 4 개독교 2015.08.07 258
15619 "목사답지 않은 목사" - 김원일은 목사인가? 6 빈배 2011.07.28 3169
15618 "무조건 믿으라니" 겸비 2015.07.27 157
15617 "문재인, 부산서 김무성과 맞붙었으면" 1 민의 2015.09.23 154
15616 "문재인-안철수, 누가 박근혜와 맞설 것인가" 1부 // 한반도 운명의 카운트다운 운명의한달 2012.11.22 1737
15615 "문창극 총리 강행한다면 박정희 친일문제 논할 수밖에" 친일 2014.06.15 652
15614 "뭐 어쩌라고" 3 file 귀뚜라미 2014.08.11 623
15613 "미친자", 정신병자" 수준에서 "김성진님" 을 다시 찿은 이 감동을 여러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다 !!! 5 김 성 진 2011.03.16 4472
15612 "민주당, 지금 언론 상황에선 대선도 어려워" 마음이 2012.04.12 2396
15611 "민초스다" 뭐하자는 건가? 2 민초사랑 2014.08.05 744
15610 "믿는 사람이 실존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예수의 피는 믿는 사람에게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 성경적인가? 10 계명을 2015.08.23 217
15609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도대체 말이나 되는 말인가? 3 돌베개 2011.11.16 1078
15608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와 한국판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 돌베개 2011.11.17 1704
15607 "믿음으로 서리라" 믿음 2014.10.04 591
15606 "박 대통령, '위로한다' 한 마디 해줬다면…" 인터뷰] 판교 사고 유가족 대표 한재창 씨 3 판교 2014.10.23 536
15605 "박근혜 대통령감 아니야" 4 로산 2012.12.03 1721
15604 "박근혜 뒤늦은 눈물, 연출이 심했다" [대국민담화 분석] "지방선거 전 국면 정리 의도 강해" ----- 기존 대책 망라, 실종자 수색 와중에 해경 해체? ----- "눈물, 감정의 과잉" 2 슬픔 2014.05.19 883
15603 "박근혜 새누리당, 부패와 통합했다" 2 로산 2012.12.13 1206
15602 "박근혜, 제2의 '6·29 선언' 터뜨릴 수도" 불어라~ 2012.05.07 1910
15601 "박근혜가 대통령 안 되면 동성로에서 할복하자!"는 박근혜 후보 찬조 연설 배우 강만희. "우리가 남이가!"라며 영도다리 밑에 빠져죽자는 김광일이가 생각나네 대통령선거 2012.12.15 1386
15600 "박정희, 공산당 들어가 혼자 살고 남 다 죽인 사람" file 역사 2015.11.20 110
15599 "박정희에 고통받고, 그 딸에게 죽을 위기 처했다" 2 농민 2015.11.21 138
15598 "박창진이 말 안했더라면" ... 헷갈리는 조현아 반성문 고자식 2015.02.14 407
15597 "밤에 잘 자고 싶다면, 화장실 불 끄고 양치하세요" 1 꿀잠 2015.11.01 212
15596 "배가 뒤집혔는데 왜 대통령 욕을 해도 되나?" - 어머니 말씀 5 file 김주영 2014.05.16 13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