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104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물가에서 만난 여인

요한 4:5-19

                                                                                                                                곽건용 목사


특별한 사람들이 나눈 특별한 대화

 

예수님의 일생을 갖고 만들어진 영화, 연극, 뮤지컬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제가 아는 작품도 적지 않은데 그 중에는 막달라 마리아 얘기에 관한 허구적 얘기를 집어넣은 작품들이 꽤 됩니다. 뮤지컬의 고전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도 그 중 하나이고 거기 나오는 ‘I don't know how to love him’은 막달라 마리아가 부른 유명한 노래지요. 물론 그것들은 복음서에 나와 있는 얘기만 갖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을 보태졌습니다. 이번에 설교 준비를 하느라 본문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왜 예수님 일생을 갖고 영화나 연극, 뮤지컬을 만든 사람들이 우물가 사마리아 여인 얘기는 다루지 않았을까요? 이것도 상상력만 약간 발휘하면 흥미로운 얘깃거리가 될 거 같은데......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인이 우물가에서 만난 에피소드에는 두 가지 얘기가 담겨 있습니다. 하나는 사마리아 여인 개인에 관한 얘기고 다른 하나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를 두고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에 벌어진 갈등을 소재로 해서 참된 예배가 무엇인지를 두고 예수님과 여인이 나눈 대화입니다. 두 얘기의 성격이 서로 다르지만 모두 중요하므로 저는 이 본문을 두 주일로 나눠서 설교하겠습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의 ‘수가’라는 마을에 이르렀을 때 피곤해서 어떤 우물가에 앉아 쉬고 계셨답니다. 때는 태양이 작열하는 정오쯤이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은 한낮에는 너무 더워 물을 길으러 우물에 오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물을 길으려면 선선한 아침이나 저녁에 오는 게 보통이었지요. 그런데 이 여인은 대낮에 물을 길으러 나왔다는 겁니다. 여기엔 그 어떤 사정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지 않습니까?

 

예수께서 그녀에게 물을 달라고 청하셨습니다. 마침 그때 제자들은 먹을 걸 사러 동네에 들어가고 거기 없었답니다. 여인은 예수께 “선생님은 유대 남자인데 어떻게 사마리아 여자인 나에게 물을 달라고 하십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유대인은 사마리아인과 상종하지 않는데 이게 웬일이냐는 거죠.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에는 한국의 지역차별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지역차별이 존재했는데 거기엔 역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주전 8세기 말에 북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아시리아는 그들의 저항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민정책을 썼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을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키고 그 땅에 다른 민족을 이주시켰던 것입니다. 그러니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민족과 피가 섞일 수밖에 없었지요. 하나님의 선민임을 자부했던 이들의 자존감은 이로 인해 매우 훼손됐고 유다 사람들은 이를 핑계로 북쪽 이스라엘인들을 비난했습니다. 한편 남쪽 유다는 그로부터 150년 쯤 후에 바빌론에 의해 멸망당했는데 바빌론은 이민정책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유다 사람들은 외형적으론 혈통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 시대에 유대인에 의한 사마리아인 멸시는 여기서 비롯됐습니다.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께 선생님은 유대 남자인데 어떻게 사마리아 여자인 나에게 물을 달라고 하십니까?”라고 물었던 데는 이런 배경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엉뚱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네가 하나님의 은사를 알고 또 너에게 물을 달라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았더라면 도리어 네가 그에게 청하였을 것이며 그는 너에게 생수를 주었을 것이다.” 목말라 물 한 대접 달라던 사람이 하나님의 은사는 무엇이고, 자기가 누구인 게 무슨 상관이며 생수는 또 뭐란 말입니까. 느닷없는 이 말에 여인은 당황했을 겁니다. “선생님, 선생님에게는 두레박도 없고 이 우물은 깊은데 어떻게 나에게 생수를 구해 주시겠습니까? 선생님이 우리 조상 야곱보다 더 위대한 분이라는 말입니까? 그는 우리에게 이 우물을 주었고 그와 그 자녀들과 그 가축까지 다 이 우물의 물을 마셨습니다.

 

네 남편을 데려 오라

 

여인은 두 가지를 물었습니다. 하나는, 두레박도 안 갖고 있는 사람이 어떻게 물을 길을 수 있겠냐는 질문이고 다른 하나는 당신은 누군가, 당신은 야곱보다 위대한가 하는 질문입니다. 예수께서 주시겠다는 ‘생수’가 뭔지도 몰랐고 그분이 누군지도 몰랐으니 그녀가 이렇게 묻는 것은 당연했습니다. 이에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물을 마시는 사람은 다시 목마를 것이다. 그러나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사람은 영원히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 내가 주는 물은 그 사람 속에서 영생에 이르게 하는 샘물이 될 것이다.

 

서서히 예수님은 당신 정체를 드러내십니다. 당신이 주실 생수가 어떤 것인지도 천천히 밝히십니다. 야곱이 물려준 우물의 물을 마시는 사람은 다시 목마르겠지만 당신께서 주시는 물을 마시는 사람은 영원히 목마르지 않으리란 말씀은 그 물이 보통 물이 아님을 암시하신 말씀입니다. 그 물은 마시는 사람 속에서 영생에 이르게 하는 샘물이 될 것이라 하셨습니다. 여기서 예수님이 하신 말씀은 꼼꼼히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이 주시는 물은 ‘생수’라 했고 그걸 마시게 되면 그 물은 마신 사람 ‘속에서’ 영생에 이르게 하는 ‘샘물’이 될 거라 했습니다. 예수님이 주신 생수를 마신 사람은 그 사람 ‘속에서’ 뭔가를 일으킨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야 생수가 영생에 이르는 샘물이 된다는 말입니다. 곧 생수가 영생을 주는 샘물이 되려면 그걸 마신 사람 속에서 뭔가가 일어나야 한다, 곧 그가 뭔가를 해야 한다는 뜻이 됩니다. 그 사람 ‘속에서’라는 말에는 이런 뜻이 암시되어 있습니다. 곧 생수를 주시는 예수님과 그 물을 마시는 나 사이에 모종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이 여인은 예수께 바짝 다가가 청했습니다. 귀가 솔깃해졌던 것입니다. “선생님, 그 물을 나에게 주셔서 내가 목마르지도 않고 또 물을 길으러 여기까지 나오지도 않게 해주십시오.

 

물을 긷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금은 수도꼭지만 돌리면 물이 콸콸 쏟아져 나오지만 옛날에는 마당에 있는 펌프에서 물을 길렀고 더 오래 전에는 우물에 가서 물을 길러야 했습니다. 그 옛날엔 물 긷는 일이 여인네들 가사노동에서 큰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물이 보통 무거운 물건이 아니지 않습니까. 하지만 이 여인에게 있어서 우물가에 나와 물 긷는 일이 주는 부담은 그것이 힘든 가사노동이라는 데만 있지 않습니다. 나중에 나오지만 거기에는 그녀만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아무도 물 길으러 나오지 않는 대낮에 그녀 홀로 물 길으러 나온 이유가 있었던 겁니다. 그녀는 사람들 앞에 떳떳이 나설 입장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예수께서 여인에게 “가서 네 남편을 불러 오너라.”라고 말씀했습니다. 뜬금없이 왜 남편을 불러 오라셨을까요? 그때까지 예수님과 여인이 나눈 대화에서 남편의 존재는 아무 상관도 없었습니다. “어이, 시원한 물 한 잔 갖다 줘.” “길어다 놓은 물 없어요. 이따가 해 지고 선선해지면 길어다 줄게요.” “아니, 당장 목말라 죽겠는데 해질 때까지 어떻게 기다려. 당장 가져와! 당장 가져오지 않으면 혼날 줄 알아!” 그녀와 남편 간에 이런 대화가 있었기에 그녀가 뜨거운 대낮에 물을 길으러 나왔다고 예수께서 짐작하셨을까요? 그렇진 않아 보입니다. 그녀가 대낮에 물을 길으러 나온 것이 남편 때문이긴 했지만 그건 다른 의미에서였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좀 더 읽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여인은 “나에게는 남편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당장 물 떠와!”라며 군림하는 가부장적 남편 때문은 아니랍니다. 그녀에겐 남편이 없답니다. 예수께서는 “남편이 없다고 한 말이 옳다. 너에게는 남편이 다섯이나 있었고 지금 같이 살고 있는 남자도 네 남편이 아니니 네 말이 맞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아하! 정말 남편이 없어서 없다는 게 아니라 너무 많아서 없다는 거였습니다. 이제 알겠습니다. 그러니까 이 여인은 음탕하다고 해서, 행실이 문란하다고 해서 동네사람들에게 왕따를 당했던 겁니다. 그래서 그녀는 남들이 물 길으러 나오는 시간에는 우물가에 나오지 못하고 남들이 안 나오는 대낮에 물을 길으러 나왔던 것입니다. 당시에는 남자가 여자와 공개된 장소에서 얘기를 나누는 일은 금기였습니다. 유대인 남자와 사마리아 여자가 말을 섞는 일을 더욱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이 여인이 성적으로 문란한 사마리아 여인이었다니 더 할 말이 무엇이겠습니까! 지금 수가라는 마을의 우물가에선 사람이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던 겁니다.

 

네 잘못이 아니야!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그렇게 다양하고 그들이 그렇게 다양한 삶을 살아가는 이유는 각자가 타고난 성격과 품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들이 태어나고 자란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은 65억이나 되는 모든 사람의 운명을 미리 정해놓지 않으셨습니다. 기차가 정해진 철로를 따라 가듯이 65억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미리 정해져 있는 운명을 따라 살게 되어 있지는 않다는 말씀입니다. 그건 하나님이 전능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런 쓸데없는 일을 하실 이유가 없기 때문일 겁니다.

 

예수님은 점쟁이의 능력을 갖고 계셨을까요? 그녀에게 남편이 다섯이나 있었고 지금도 어떤 남자와 살고 있지만 정작 그 사람도 그녀의 남편이 아님을 예수님은 어떻게 아셨을까요? 예수님은 초능력자였습니까? 그렇게 믿고 싶은 분은 그렇게 믿으십시오. 하지만 저는 달리 생각합니다. 저는 예수님이 그녀의 실상을 알아보신 것은 초능력 때문이 아니라 연민이 담겨 있는 따뜻한 시선 덕분이었으리라고 믿습니다. 예수님은 아마 우물가로 다가오는 그녀를 유심히 보고 계셨을 겁니다. 태양이 작열하는 대낮에 흙먼지를 일으키며 샌들을 질질 끌고 걸어오는 그녀, 빈 물동이조차 무거운 듯 질질 끌며 터벅터벅 걸어오는 그녀의 모습에서 그녀가 살아온 쓰라린 인생을 보셨을 거라고 말입니다.

 

제가 아는 한 여 목사님이 20년 전에 한국 의정부에 있는 한 상담소에서 일했습니다. 저는 그 목사님에게서 들었던 놀라운 얘기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그때 제가 그런 얘기를 듣기 전까지는 한국에 성폭력을 당하는 여자가 그렇게 많은 줄 몰랐습니다. 대개가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잘 아는 사람에게 성폭력을 당한다는 말에 저는 더욱 놀랐습니다. 그때 들은 얘기들 중에 제가 잊지 못하는 얘기 하나를 소개합니다. 한 여자가 결혼 날짜를 잡아놓고 밤중에 길을 가다가 성폭행을 당했습니다. 그녀는 어떻게 할까 고민했지만 그대로 결혼했습니다. 가족과 남편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말입니다. 그 후 이십 년 넘게 남편과 같이 살고 있지만 그녀는 결혼 후로 한 번도 남편의 얼굴을 제대로 쳐다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루도 마음 편할 날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살기를 거의 삼십 년이 지난 후 용기를 내서 상담소 문을 두드렸습니다.

 

그녀의 고통을 목사님이 치유해줬습니다. 어떻게 치유했는지 아십니까? 물론 한 번은 아니고 여러 번에 걸친 상담에서 목사님이 한 말의 요지는 이것이었습니다. “미친개에게 물렸다고 생각하세요. 그거, 자매님이 생각하는 것처럼 대단한 일 아닙니다. 그냥 흘려보내세요. 잊어버리세요. 나 말고 다른 사람에게 그 사실을 고백할 필요도 없어요. 그냥 미친개에게 물린 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니까요.

 

세상에는 성질이 못되게 타고난 사람도 있겠지요. 하지만 타고난 것 못지않게, 아니 그 이상으로 한 사람의 삶을 결정하는 것은 그가 태어나고 자라고 살아온 환경입니다. 똑같은 사람이라도 어떤 환경에서 살았는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건 그 사람 잘못이 아닙니다. 세상이 그를 그렇게 만들었으니 그건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또한 그런 사람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주는 것 역시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영화 <굿 윌 헌팅>의 주인공 맷 데이먼은 머리는 비상하게 좋은데 어렸을 때 양부모에게 당한 학대 때문에 깊은 상처를 갖고 사는 청년입니다. 그의 비상한 머리를 아까워한 MIT 수학교수가 그를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심리학을 가리키는 자기 친구 로빈 윌리엄에게 데려갑니다. 영화는 이 두 사람이 만나서 그의 상처가 어떻게 치유되는가를 보여줍니다. 제게 이 영화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은 로빈 윌리엄스가 맷 데이먼을 부둥켜안고 “네 잘못이 아니야. 네 잘못이 아니야. It's not your fault. It's not your fault.”라는 단순한 대사를 토해내는 장면이었습니다.

 

네 남편을 데려오너라! 예수님은 여인을 꾸중하거나 비난하려고 이 말씀을 하신 게 아닙니다. 이 말씀은 그녀를 치유하는 말씀이었습니다. 그건 네 잘못이 아니야! 네 잘못이 아니니까 그렇게 아파할 것 없어! 이런 뜻으로 하신 말씀이었다고 저는 읽습니다. 예수께서 부활하신 후 베드로에게 나타나셔서 세 번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고 물으신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베드로가 얼마나 난처했겠습니까. 다른 사람은 다 예수님을 버려도 자기만은 끝까지 예수님을 지키겠다고 장담했던 그가 아닙니까. 하지만 그 역시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치고 말았습니다. 이런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고 세 번 물으신 예수님의 행동은 얼핏 보면 그를 책망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그 물음으로써 그의 아픈 상처를 치유하셨던 것입니다. “그건 네 잘못이 아니야. 그러니 이제 잊어버리렴. 나도 잊었으니까.

 

도종환 시인의 시처럼 세상에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습니까.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지 않았습니까.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우지 않았습니까. 또한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세상에 어디 있겠습니까.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는가 말입니다.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 다 젖으며 피었습니다. 바람과 비에 젖으며 꽃잎 따뜻하게 피우지 않았습니까. 세상에 젖지 않고 가는 삶이 있다면 그건 사람의 삶이 아닐 겁니다.

 

무엇이 다른지를 생각해봤습니다. 왜 우리는 예수님처럼 못할까? 왜 우리는 예수님이 보셨던 걸 보지 못할까? 이 차이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의 과거를 보는 데 사로잡혀 있지만 예수님은 과거 아닌 미래를 보셨다는 차이 말입니다. 교회를 포함해서 사람들이 모인 곳에선 남에 대한 얘기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아무개는 어떻고 또 아무개는 어떻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걸 ‘뒷담화’라고 하지요. 그런데 우리가 하는 남에 대한 얘기는 대부분 그의 과거에 관한 얘기입니다. 그 사람은 옛날엔 어땠다더라, 옛날에는 엉망이었다더라 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 이제부터는 남의 과거 얘기는 더 이상 하지 맙시다. 대신 그 사람의 미래에 대한 얘기를 합시다. 그가 과거에 어떤 삶을 살았든 모른 채하고 상관하지 맙시다. 그가 미래에 어떤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해 얘기하자는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그 사람에 대해 갖고 계신 계획과 품고 계신 희망에 대해 얘기합시다. 그가 예수님 믿으며 어떤 삶을 살아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이웃에 모범이 될지만 생각합시다. 그렇게 한다면 흔들리며 살았던 과거 그의 삶에, 비바람에 젖으며 살았던 지나간 그의 인생에 한 줄기 환한 빛이 될 것이며 여러분에게도 따뜻한 햇살이 될 것입니다.

 

사족으로 한 마디만 하고 마치겠습니다. 저는 우리 교회에 뒷담화가 ‘풍성해서’ 이 얘기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오늘 요한복음 4장을 본문으로 삼은 까닭은 오늘 찬양팀에서 헌금송으로 택한 노래가 ‘우물가의 여인처럼’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설교는 다음 주일로 이어집니다.

  • ?
    김주영 2013.05.19 05:58

    아멘!

    어려서 들은 우리교회 장로님의 설교는

    "열녀 불경이부라 했는데 이 여자는 남편을 다섯이나 갈아 치웠으니 얼마나 죄인이냐?" 라고 했습니다. 

    당시에 여자게에 그런 파워라도 있었다고 생각하셨는지^^



    상담소가 아닌 그냥 메디칼 클리닉에서도

    수가의 여인 같은 사람들이 매우 많음을,

    그렇게 되는 것이 매우 특별한 죄나 운명 때문이 아님을 알게 됩니다. 


    "네 잘못이 아니야"

    교회에서 듣기 힘든 말이었습니다. 


    예수님께 아멘!!

  • ?
    김원일 2013.05.19 11:29

    다시 보니 곽건용 목사님의 설교라고 밝히는 것이 빠졌네요, 아셨겠지만.

    지금 얼른 집어넣었습니다. 도용했다고 고소당할까 봐 겁나서리. ^^
  • ?
    오월 2013.05.20 19:06

    너무 좋은 설교 옮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주분도 꼭 올려주세요.^^



    우리 목사님은  종편때문인지, 향수때문인지

    육영수, 박근혜, 탈북자.. 이런얘기로 시작 하셔서

    말씀이 귀에 들어오지 않아 슬프군요.

  • ?
    Rilke 2013.05.21 08:40

    목사님,


    엊저녁에 잠언을 읽으면서 그리고 목사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서 느낀것이 있습니다 (역시 아내도 제 의견에 동의를 했구요).


    (잠 30:18 - 20, 내가 심히 기이히 여기고도 깨닫지 못하는 것 서넛이 있나니, 곧 공중에 날아다니는 독수리의 자취와 반석 위로 기어 다니는 배의 자취와 바다로 지나다니는 배의 자취와 ----),


    저는 여기에 한가지를 더 첨가 하면, "정말 탁월한 목사님의 설교방송의 낮은 조회수입니다". 


    좋은 설교를 하고 듣는다는 것은 감사할일입니다. 가슴에 와 닿는 설교를 들었다고 사람들이 말해 주면 기분이 좋습니다.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이 땅에 떨어지지 않고 사람들 마음밭에 제대로 들어 갔구나 하면서, 하나님께 미안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저의 경우).


    그렇기 때문에 성경말씀을 바로 해석하고 적용시키는것은 성경을 읽는것 만큼, 아니 어쩌면 읽는것 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요즘은 Dale Bruner 교수의 요한복음 주석과 마태복음 주석을 읽는데, 많은 영감과 감사를 하게 됩니다. 브루너 교수 덕분에 어거스틴의 요한복음 주석도 보는데, 확실히 어거스틴은 요즘 주석서와는 너무나 판이하게, 마치 또다른 성경을 읽는것 같아서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지난주에 대학생들과 같이 요한복음에 있는 "간음하다 잡힌 여인"이야기와 브루너교수의 마태복음 2권 서문을 가지고 공부를 했는데, 학생들 눈이 그렇게 반짝이는것은 처음보았습니다. 말씀을 전하는 사람은 마치 유리와 같지 않을까 싶습니다. 프리즘같이 빛의 다양한 색깔을 보여주는것, 너무나 일상적인것도 아름답게 보여줄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성경공부를 준비하면서, 제가 생각하기에 놀라운 영감이 떠올랐었습니다. 여러 주석서를 보는데 아무도 제 생각을 말하지 않아서 흐믓했는데, 벌써 2000년전에 어거스틴이 이미 말을 했더라구요. 조금 실망하면서, 역시 해아래 새로운것이 없음을 다시 떠오르고 무지한 제 자신에게 겸손함으로 위로를 했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요한복음을 계속 하시네요. 이왕 시작했으니, "니고데모와의 대화에 나오는 거듭남에 대해서", "안식일 논쟁", "새계명", "포도나무의 비유", 그리고 "하나됨"에 대해서도 한번씩 해주시면 어떨까 싶은데요.


    이번 사마리아여인과의 대화도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받을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하나님께서 목사님을 통해서 커다란 일을 이루어 가고 있음을 알아 주시면, 위에 제가 말한 "기이하고 깨닿지 못한"에 대한 해답을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어거스틴을 통해서 느꼈던 신선함과 영감을 목사님을 통해서도 느낄수 있어서 참으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샬롬,

  • ?
    곽건용 2013.05.21 10:24

    제가 농담한다고 생각할 분도 있겠지만 가끔은 인터넷 어딘가에 떠돌아다니는 글을 읽고


    '어디서 많이 본 글인데 내 생각과 비슷하네....'라고 생각하며 저자를 보니 제 글인 적이 있습니다. ^^


    그 만큼 뭔가를 많이 끄적인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사실 설교 이외의 글은 그리 많이 쓰지 않는데 지난 20년 동안 이곳에서 설교를 해오고 있고


    10년 이상 전부터 웹에 설교를 올려놓기 때문에 인터넷에 제 글이 제법 많이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연예인은 아니지만 아주 아주 가끔은 제 이름을 구글에다 쳐보는데


    거기서 보면 제가 모르는 분들이 자기 블로그에다 제 글을 퍼다 놓은 것을 심심치 않게 봅니다.


    하긴 copy right는커녕 퍼날라 주면 그저 감----사할 뿐이지요. ㅎㅎ


    이 긴 사설은 제 이름을 갖다 붙지지 않더라도 아시는 분은 다 아실 거란 말을 하기 이해 풀어봤습니다.


    적어도 전 알았습니다. 불과 몇 주 전 것이니. 제 기억력이 그 정도는 됩니다.ㅋㅋ


    요즘은 민초에 제법 자주 오는데 오랜만에 제 설교가 올라왔네요.


    김 교수님, 무지 태만하십니다. ^^


    역시 김주영 님이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예수님은 '내 탓입니다!'하며 가슴 치는 사람들에게는 


    '네 탓이 아니다'라고 말씀해주셨고


    '저 친구 탓입니다'라며 남을 향해 손가락질한 사람이게는 


    '너도 예외가 아닐 텐데...' 하시며 혀를 차셨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뭣보다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걸


    가장 시급한 일로 여기셨기 때문이겠지요.


    예수님은 상처를 치유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쓰셨던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오월님,


    오월님 목사님께서 무슨 향수를 어떻게 갖고 계신지 모르지만 참 안타깝네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 모르지만 안식일교는 정치문제에 관심이 덜 한 걸로 알고 있었는데


    신앙의 모범이라고는 볼 수 없는 육영수, 박근혜 등등이 설교에 자주 등장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네요.


    사람들은 누구나 정치적입니다. 정치의 영향을 안 받고 살 수가 없는 상황에서 정치적이 아니라면 그게 더 이상하겠지요.


    제가 미국에 오기 전까지, 그러니까 1993년까지 한국에서는 저 같은 목사들만 '정치목사'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보수적인 신학과 정치성을 갖고 있는 목사들은 그런 말을 듣지 않았습니다.


    그 양반들은 굳이 정치 얘기를 할 필요가 없었지요.


    정치인들이 그들이 하고 싶은 말을 대신 다 해주고 정책까지 해주니 굳이 정치 얘기를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러면서 저를 포함한 진보(굳이 이런 이름을 써야 한다면)적인 목사들에게 정치목사란 딱지를 붙였습니다.


    그런데 10년 동안 과거와 비교해서 많이 민주적인 정권을 거치면서 이 양반들이 부쩍 정치적인 성향을 갖게 됐습니다. 


    그러면서도 자기들은 정치목사가 아니라지요. 자기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따름이고


    나라가 종북으로 가는 걸 하나님의 이름으로 막을 뿐이라고요.


    자기가 하면 복음이고 남이 하면 정치라는 겁니다.


    그나저나 오월님 목사님께선 그런 사람들 이름 거론하시지 말고 보수적인 기독교 복음을 제대로 전하셨으면 좋겠네요.


    전하려는 것이 진짜 예수의 복음이라면, 보수적인 목사님이 진지하고 진실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복음이라면


    거기서 성도들은 은혜를 받으리라고 저는 믿습니다.


    단 진지하고 진실해야겠지요.


    제가 주제넘게 다른 목사님 얘기를 너무 많이 했나요?


    그 다음으로 릴케님,


    흠........


    역시 릴케님의 글은.........


    우선 길조 자세해서 좋습니다. ^^


    늘 느끼는 거지만 그렇게 너무 공부 많이 하시면 제가 엄청 신경쓰입니다.


    살살 쉬엄쉬엄 하세요. ㅎㅎ


    설교방송의 낮은 조회수....


    우리 홈피에 방문하는 사람 숫자가 워낙 작아서리......


    그래서 홈피를 대대적으로 개편해서 보기에도 더 좋고 접근하기도 더 편하게 만들려 애쓰고 있습니다.


    다만 교인들이 자원봉사를 하는 까닭에 진도가 빨리 안 나가는 게 문제죠.


    아마 6-7월 내에 새로운 홈피를 선보일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되면 방문자가 늘어날까요?


    제 설교는 이미 시편으로 넘어갔습니다.


    요한복음으로 다시 돌아오려면 시간이 좀 걸리겠는데요. ㅎㅎ


    제가 명색이 구약 전공자인데 우리 교인 중 한 분이 '목사님은 구약보다는 신약 설교할 때 더 은혜를 받습니다.'라고


    자존심 확 상하는 발언을 하셔서 제가 열받아서(^^) 시편을 설교하기로 했습니다. 6월 말까지는 말입니다.


    우물가 여인 2편 이후로는 시편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에 전도사님 모신다고 했지 않습니까.


    드디어 좋은 분을 찾았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 분도 안식일교인이란 사실입니다. ^^


    향린교회가 안식일교회에 접수될지 모르겠다는 불안감에 잠을 설치고 있습니다.


    긴장 바짝 하고 두 안식일교인의 일거수일투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ㅋㅋ


    이번에 오신 전도사님, 매우 좋은 분입니다.


    이런 좋은 분을 키워주신 안식일교회에 감사드립니다.

  • ?
    김원일 2013.05.21 17:23

    "요즘은 민초에 제법 자주 오는데 오랜만에 제 설교가 올라왔네요.

    김 교수님, 무지 태만하십니다. ^^"


    요것은 또 무신 요상헌 말쌈?

    돈 안 받고 올려주는 사람한테 고맙다고는 못 할망정. ㅋㅋ

  • ?
    오월 2013.05.23 16:37

    이곳에 올려진 목사님 설교를 읽고 인터넷으로 검색을 통해

    목사님에대한 정보를 알고 멀리 있는 분이라 생각했는데 

    직접 목사님이 댓글 다시니 깜짝 놀랐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87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331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22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125
9995 朴 방미 기간동안 일부 수행원도 '진상짓'...또다른 논란 일듯 김반석 2013.05.11 2534
9994 박성술님 왜 선생님 답지않게 기자회견내용도 거짓으로 드러난 성범죄자를 숨겨주시나요? 3 박상희 2013.05.11 2308
9993 "윤창중, 靑진술서 '엉덩이 터치·본인 노팬티' 시인" 하야 2013.05.12 2065
9992 윤창중이 묻어주는 또 하나의 사건 2 아이로니 2013.05.12 2081
9991 윤창중, 미국 유명쇼 프로그램 풍자에 등장하다! 하야 2013.05.12 2294
9990 쪼금 맛만 봐요~ ~ 2 file 박희관 2013.05.12 2369
9989 대쪽 같은 윤창중을... file 도마123 2013.05.12 2510
9988 벌금 5만원쯤 나오는 경범죄에 대하여 전 세계가 떠들고 있나 보다 1 김균 2013.05.12 2401
9987 닭쫓던 개 지붕쳐다보는 격이 되다 6 김균 2013.05.13 2208
9986 잡일 하며 생각하며. 7 김재흠 2013.05.13 1879
9985 자화자찬인가? 아니면 침소봉대인가? 김균 2013.05.13 2052
9984 여기가 정치 쓰레기 하치장인가? 3 앤디 2013.05.13 2322
9983 김재흠님 이쯤에서 성범죄자 윤창중이는 버리시는게 어떨까요? 11 박상희 2013.05.13 2783
9982 정미홍, “윤창중이 성폭행해 죽이기라도? 미친 광기” 파문 하야 2013.05.13 1940
9981 ‘윤창중 성추행’ 신고 여직원까지 신상정보 유출.............신고자는 '국제적인 좌익 빨갱이', '민족 반역자' 하야 2013.05.13 1903
9980 주미 한국문화원장, 윤창중 피해자 직접 만났다.................. 이 보도가 사실일까요? 하야 2013.05.13 2240
9979 세상에 이런 교인도 있나? 2 김재흠 2013.05.14 2034
9978 음모가 개입됐다고 여기던 분들-김재흠님 참조 2 김균 2013.05.14 1804
9977 한국 민주정치와 기 싸움. 1 김재흠 2013.05.15 2225
9976 국민을 우습게 보고 있는 정부 1 김균 2013.05.15 1755
9975 파렴치범은 누군가? 이번 일에 보수는 벙어리개가 되었는가? 아이로니 2013.05.15 1530
9974 천박한 에로티시즘 1 아이로니 2013.05.15 1868
9973 재림교인들도 유월절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2 최종오 2013.05.15 1810
9972 카스다의 꼴통들 9 아이로니 2013.05.15 2335
9971 직업의 선택 김균 2013.05.16 1827
9970 안식일 교회에서 가르치는 증오심 박성술 2013.05.16 2148
9969 300, 50, 600 2 김균 2013.05.16 2070
9968 이게 무슨 지랄인가. 4 김재흠 2013.05.16 1902
9967 검찰보다 나은 뉴스타파~ file 우야꼬 2013.05.16 2020
9966 지랄도 하려면 격이 있게 하시라! 6 오늘황당 2013.05.16 1786
9965 평화의 연찬 제62회 : 2013년 5월 18일(토)] ‘중국동포 첼리스트 꿈을 이야기 한다’박문광 청년 (중국조선족교회)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5.17 1751
9964 하나님, 감사합니다. 1 김재흠 2013.05.17 1743
9963 무슨 음악에 춤을 추는가? 6 김주영 2013.05.18 1792
9962 시조,,,선조의 활을,우덜의 돌직구로 날려놓았다.편하게,,,, 1 행복한고문 2013.05.18 2055
9961 초중고 동창생 세 친구. 김재흠 2013.05.18 1664
9960 목회자를 모십니다 모심이 2013.05.18 1604
9959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식으로 성경절을 인용하지 말자 안식교에서 안식일을 지키지않으면 하늘 가지 못한다고 인용하는 성경절 2 지경야인 2013.05.18 2122
9958 우리 교회 '은빛 소리' 여성 중창단, 영원하라. 김재흠 2013.05.18 2062
» 점쟁이 예수: 그가 그녀의 실상을 꿰뚫어본 이유 7 김원일 2013.05.18 2104
9956 가해자와 피해자 2 김균 2013.05.18 1825
9955 2,000년 대한민국 대통령은 누구였지요? 1 아리송 2013.05.19 2234
9954 김주영님, 음악이 잘 못 선택된 이유 5 아기자기 2013.05.19 1880
9953 철드는 데도 단계가 있나. 김재흠 2013.05.19 2037
9952 속 타게 궁금하던 야생 오리 한 쌍. 김재흠 2013.05.20 1856
9951 음악 얘기 하나 - 이 빌어먹을 사회에서 창녀가 아니고 노예가 아닌 사람이 누가 있을까 5 아기자기 2013.05.20 2038
9950 XX교회여 그대들의 행사가 과하도다 15 김균 2013.05.20 2460
9949 생각 좀 해 봅시다 2 김균 2013.05.21 1930
9948 스팸 글을 게시하는 분에게 드리는 글 기술담당자 2013.05.22 1880
9947 운명 직전 아내에게 남길 말. 5 김재흠 2013.05.22 1810
9946 근본이 안 된 분들 1 김균 2013.05.22 2157
9945 이선희 집사님을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 찾는이 2013.05.22 2135
9944 해월유록(海月遺錄)에서 발췌 - "도하지(道下止)"와 "정도령(鄭道令)"의 관계 1 현민 2013.05.23 3304
9943 홉니와 비느하스의 죄악 1 오지매 2013.05.23 2370
9942 이곳 기술담당자님께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5 박상희 2013.05.23 1716
9941 그 장노님 이 말씀하시는 유무상통 이란것 그것 순 ~ 뻥 이겠지요 ? 2 박성술 2013.05.23 1807
9940 뒷마당에서 중국 부추를 뽑아내며. 2 김재흠 2013.05.23 2026
9939 열심히 놀던 우리 목사님. 1 무사만루 2013.05.23 2025
9938 [평화의 연찬 제63회 : 2013년 5월 25일(토)] ‘하나님의 마음’ 김한영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상생협력대표)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5.24 1679
9937 열 받으면 안식일도 목사도 안 뵌다 2 김균 2013.05.24 1812
9936 오죽했으면.... 3 오죽 2013.05.24 1670
9935 그런 예수는 어디 있는가? 1 김균 2013.05.25 1842
9934 오죽했으면 - 2 탄 8 태평가 2013.05.25 2006
9933 남쪽나라 교인들을 지지한다 11 무사만루 2013.05.25 1804
9932 부흥과 타협 김균 2013.05.25 1923
9931 망상과 상상 무사만루 2013.05.25 1872
9930 예수님을 마음에 모시다. 김재흠 2013.05.25 1629
9929 예의 없는 것들 - 이런 우리 맴을 갸들은 알랑가몰러? 2 아기자기 2013.05.25 1803
9928 교황, 무신론자도 선행을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다. 1 스티브 2013.05.25 2246
9927 그대에게로 4 김균 2013.05.26 1613
9926 댓글 ! 조폭 상태 12 박성술 2013.05.26 1763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