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70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납적   역사법칙에  충실 하려면

진보적 법칙  내지  진화의  법칙 정도는  이해 해야합니다


그렇다면  법칙 이란것이  무엇입니까 ?

사물간의  불변적  관계 을 두고  정의 한것입니다


이런  불변적 법칙성  에서

진보의 법칙을  연결 시키려면   최소한  기준은 있어야하고

그  야당성의  비유허위  를  넘어서야 합니다

그것이  종교 , 사회  정치 이던지요


저는  생활가치분배  를  이데아 로  여기고  실행 하기를  원합니다

그것이  보수, 혹은  진보 이던간에

그렇기 때문에  그  생활가치분배  를  권력화 시킨

종교나 정치를  "참"으로  보지않습니다

그리고  거절합니다


하물면

그런  비유허위 를    야당성에 두고 ,  진보란  이름의  표지를 달고,

끝없이  실행없는   비유허위 를  품고.   반대쪽을 향해  가는

그  영원한 야당성 의  인테리캔치야  를  만나면

저녁  폐광 된 동굴앞에  선것처럼

한마디  로  

무서바 요.



  • ?
    partizan 2013.06.26 20:09

    전향 빨치산의 '눈물 참회록' 60년만에 공개



    (서울=연합뉴스) 한국전쟁 중 국군에 체포돼 전향한 '지리산 빨치산'들이 포로수용소 생활 중 직접 펜으로 쓴 참회록 100여편이 60여년 만에 공개됐다.

    한국전쟁기념재단(이사장 김인규)은 1950~1951년 전라도 광주포로수용소에서 수감 생활을 하던 재소자 100여명이 쓴 시와 수필들을 24일 공개했다. 이 책에는 전향을 앞둔 빨치산들의 생생한 고백과 참회, 전쟁의 기록, 고향과 가족을 향한 그리움이 절절히 담겼다. 2013.6.24 << KBS 이춘구 기자 제공 >>

    photo@yna.co.kr



    친구·부락민에 총질하던 그들… 눈물로 쓴 빨치산 참회의 詩
    • 입력:2013.06.24 20:10
    • 트위터로 퍼가기
    • 싸이월드 공감
    •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전향한 빨치산 100여명 ‘문집’ 60년만에 햇빛

    [쿠키 사회] ‘울 밖에 고요히 서서/그리운 옛 사립문 차마 두드리지 못한 채/이 죄지은 자식은 두 무릎을 꿇고 있소이다/따스한 어머님 품속을 차며/야수처럼 산으로 도망간 이 몸/가시덤불이 얽히고 눈보라치는 바위틈을/피투성이가 되어 구르며 헤매도 보았소/(중략)/나의 어머님은 일곱 번 지은 죄를/일흔 번 거듭해도 너그러이 용납하며 다시 품속에 안아주셨다/나의 죄는 태산과 같이 무거워도/어머니 나라 대한은 따뜻하게 나를 포용하리라.’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향해 총부리를 겨눈 ‘빨치산(partisan)’ 중에 전향한 이들은 펜을 들고 참회의 글을 써내려갔다. ‘고향예배’란 제목의 이 시를 쓴 이는 1951년 지리산에서 ‘조선인민유격대’로 활동한 빨치산이었다. 북한 정규군과 별도로 편성돼 밤이면 도시로 내려가서 남한의 통신·교통 수단을 파괴하거나 물자를 빼앗았다. 살인도 일삼았다. 하지만 마음속엔 늘 산 아래 두고 온 어머니가 있었다.

    한국전쟁기념재단이 정전 60주년을 맞아 전향한 빨치산의 문집 ‘지리산 빨치산의 참회록’(이지출판사)을 24일 공개했다. 문집에 글이 실린 빨치산 100여명은 지리산 일대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다 광주포로수용소에 수감돼 전향했다. 전쟁이 만들어낸 삶의 벼랑에서 토해낸 이들의 글은 60년 만에 세상에 나왔다.

    빨치산들은 산 속 ‘비트’(비밀아지트)에 숨어 지냈다. 험준한 산세만큼 고달팠던 삶은 수필 ‘재생의 길’을 비롯해 문집 곳곳에 배어 있다. ‘해방된 조국’을 위해 함께했던 동료들은 고된 산 생활에 지쳐 하나둘 생과 이별했다. 동료의 죽음을 뒤로 한 채 밤이 되면 굶주린 배를 부여잡고 마을로 내려갔다. 닥치는 대로 음식을 먹어치웠다. 언제 다시 내려올 수 있을지 몰랐기에 소화불량에 신음할 정도로 입에 쑤셔 넣었다. 마을에서 살인이라도 한 날에는 밤공기를 타고 그리운 어머니의 살 냄새가 더 진하게 풍겨왔다. 그런 날이면 밤새 뜬눈으로 남 몰래 눈물을 흘려야 했다.

    이 책에는 빨치산의 생생한 고백과 참회, 전쟁의 기록, 고향과 가족을 향한 그리움이 절절히 담겼다. 그들도 고향이 있고 어머니가 눈에 밟혔다. 사랑하는 이와 이별할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선택을 두고두고 후회했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마주친 인간의 나약한 모습을 솔직하게 고백했다.

    편역자인 이춘구 KBS 기자는 “우리가 이론적으로 접해온 공산주의의 실상과 당시 빨치산의 모습이 생생한 육성을 통해 처음 공개되는 것”이라며 “그들의 체험이 시와 수필, 산문에 고스란히 되살아나 있다”고 말했다. 김인규 한국전쟁기념재단 이사장은 “빨치산의 체험을 역사로 기록하고 현대사를 올바르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이들의 고백과 참회를 통해 한국전쟁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고 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유나 기자

    빨치산 ‘참회록’ 내용… “살기 위해 부락 습격… 가슴엔 늘 가족들 사무쳐”

    ‘사랑하는 누이야/메마른 농촌에 불을 질러도/잿덩이 들판에 풍년이 드느냐?/꽃이 피어서 떨어지고/녹음이 짙어가는 고향 하늘 아래/너는 두 살을 더 먹었고/자꾸만 부어주는 유리컵에 미련이 남아서/밤이 오면 살인, 강도가 되어야 할/오빠는 산골짝에서/부엉이의 두 눈이 부러웠구나/오빠의 가슴팍에 씌어진 PW의 두 글자가/목이 가늘도록 피리를 불어서 지워지는 날에는/고약한 창포 같은 것은 뽑아버리고/너와 나와 또 다시 꽃씨를 뿌려야겠다’(시, 누이에게)

    빨 치산에게도 가족은 늘 가슴에 사무쳤다. 이 시를 쓴 이는 1951년 지리산에서 발각됐다. 포로수용소에서 ‘PW(Prisoner of War·전쟁 포로)’가 새겨진 옷을 입은 채 여동생 ‘순이’를 그리워하며 시를 써내려갔다. 그 순간만큼은 여동생과 행복했던 시절로 다시 돌아갔다. 여동생은 유독 오빠를 잘 따랐다. 아침 출근길에 늘 따라나서던 누이는 미소를 지으며 학교로 향하곤 했다.

    고향에는 꽃이 피고 녹음이 짙어져 갔지만, 그가 자리한 곳의 현실은 잔혹했다. 어둠에 의지하며 살기 위해 닥치는 대로 주워 먹고, 마을로 내려가 부녀자를 협박해야 했다. 그럴 때마다 자유롭게 밤하늘 누비부엉이가 돼 그리던 가족의 얼굴을 실컷 보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간절해졌다.

    매일 밤 자신들이 저질렀던 과오에 괴로워하는 시간도 보냈다.

    ‘철 도·도로·전주를 파괴하고 방화하고, 평화스러운 부락민을 위협하거나 기만하면서 식량과 물품을 약탈하였다/나의 부모 형제와 같은 부락민들이 고요히 잠든 심야에 부락을 습격하여 깊은 잠을 깨게 하여/공포에 떨며 어린 아이들이 울고/할머니 어머니들이 나의 손을 붙들며 “이것만은 놔주시오” 하고 애원하는 것을/박절하게 뿌리치고 약탈한 때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이럴 때마다 내 고향의 부모 형제가 그리웠다’(수필, 참회록 2)

    ‘어머님 얼굴주름살을/어젯밤 꿈에서도 헤어 보았다’(시, 단상)

    괴로운 나날이 반복될 때마다 더없이 넓은 가슴으로 죄 많은 아들을 따뜻하게 안아주시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은 깊어져 갔다. 꿈에서도 어머니의 주름살을 셀 정도로 사무치는 그리움에 눈물 흘렸다. 누군가는 이들을 ‘야수’라고 불렀지만, 이들 역시 그리운 고향에 어머니, 누이, 사랑하는 이를 두고 온 평범한 인간이었다.

    한국전쟁기념재단이 24일 공개한 ‘지리산 빨치산의 참회록 어머니, 고향 그리고 조국’ 이라는 책에는 이들의 처절한 고백이 담겼다. 이 문집에서 드러난 빨치산들의 소망은 한결같았다. 어서 빨리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산봉우리마다/횃불을 올려도/눈보라 거세여/마른 나무 가지를 울리던 밤이면/저 멀리 깜박이는 등불이 그리워/향수는 미칠 듯이 어둠을 뚫었더라’(시, 하나의 염원)

    고향에서 뛰어놀던 친구와 적으로 만나야 했던 운명을 원망하며 그에게 총부리를 겨눌 수밖에 없었던 자신을 용서해 달라는 참회도 실렸다.

    ‘너는 대한민국 국군으로/나는 공산주의 기만에 속아 험악한 산속으로/얄궂은 운명은 우리를 갈래갈래/떼어놓고야 말았다/…(중략)/벗이여, 용서해다오 웅의 죄악을/지금 나는 따스한 대한의 품속에 안기어/뉘우치고 반성하는 수용소에 있다’(시, 너와 나)

    이 시를 써내려간 필자는 소학에서 중학, 대학까 지 친구와 그림자처럼 붙어 다녔다. ‘죽을 때까지 떨어지지 말자’는 맹세도 했다. 철없던 시절 시냇가에서 뛰어놀며 친구는 빅토르 위고를, 필자는 톨스토이와 트루게네프의 책을 애독했다고 했다. 그러다 이데올로기 논쟁이 붙는 날에는 민주주의니, 공산주의니 하며 멱살을 맞잡고 싸웠다. 이내 다시 언덕진 노을 길을 함께 걸으며 우정을 맹세했다. 전쟁과 이데올로기는 그들의 삶을 비극적으로 갈라놨다. 하지만 전향한 이후 필자는 언덕에서 돌팔매 던지며 해맑게 웃던 그날을 회상하며 철없던 시절의 ‘너와 나’로 돌아가기를 간절히 소망했다.

    수용소에서 생활하며 빨치산들은 점차 변화를 겪게 된다. 수용소 동쪽 ‘희망의 언덕’ 위에반성’이란 두 글자로 조성된 잔디 풀이 초록을 자랑하며 자라나는 만큼, 닫힌 마음을 열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느끼게 된 것이다.

    ‘아 언제나 언제나 가고픈 내 고향/어머님이 창문 열고 기다리는 내 고향/고향에 가는 길은 반성인가 하노라’ (시, 내 고향)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꼈던 인간의 나약함을 고백한 이도 있었다.

    ‘나는 지금도 가끔 고동치는 심장에 두 손을 대고 “나는 살았다”는 부정할 수 없는 신념에 대한 만족감을 감추지 못한다.’(수필, 참회록)

    이 수필의 필자는 ‘비트’ 속에서 생쌀을 먹으며 버텼지만 국군에 포위된 순간 고민에 휩싸였다. ‘싸워서 죽느냐, 손을 드느냐’ 생사에 고민이 머릿속을 가득 채웠다. 자신을 ‘혁명가’라고 자칭하며 애국자, 노동당원으로 당당히 활동했지만 막상 죽음의 문턱이 가까워오자 이 신념은 흔들렸다. (북한)당이 질책하는 소리를 뒤로하고 아직 청춘의 꽃을 피우지도 못한 인생은 ‘헛되이 죽지 말자’며 그를 붙잡았다. 그는 총을 놓은 채 손을 들었고, 그렇게 포로가 됐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수용소에서 ‘PW’라는 글자가 새겨진 옷을 입고 있는 현재가 행복하다고 털어놨다. 그는 책에서 “공산주의 사상이 불평과 곤궁을 찾아간다. 오늘에 와서야 자유의 민주세계의 위대한 힘을 알았다. 나는 오늘 대한민국 정부의 발전된 정책과 사회상을 보고서야 자유 민주세계의 강대한 힘을 더욱 똑똑히 느낀다”고 했다.

    전향 빨치산들은 자신들의 고백을 통해 공산주의의 허구를 고발해 통일의 밑거름이 될 것을 다짐하기도 했다. ‘아름다운 강산’에서 하나 된 한민족의 미래를 위해 힘을 보태겠다는 지식인의 외침도 엿보였다.

    ‘통일이여 어서 오라/사랑하는 너를 위해서는/천 번이고 만 번이고 죽어지려니’(시, 하나의 염원)

    ‘미 약한 저희들이지만 우리들은 여러분이 버리지 못할 귀여운 아들이요 배달민족인 이 몸이 죽어서 이 나라에 도움이 되리라고 인정하시거든 조국의 통일 독립과 항구한 평화를 위해 최후의 피 한 방울까지 바쳐 싸울 수 있는 여러분의 일꾼으로 만들어주실 것을 천 번이고 만 번이고 외치는 바입니다.’(수필, 광명을 찾은 사나이는 힘 있게 부르짖노라)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유나 기자

    ‘빨치산 문집’ 어떻게 나왔나

    ‘지리산 빨치산의 참회록’에 실린 시와 수필의 저자들은 1951∼52년 국군에 체포된 뒤 광주포로수용소에서 전향했다. “금일의 반성은 내일의 반성”이란 구호를 외치며 하루 생활을 마무리하던 재소자들은 여러 정훈부서에 배치돼 교육을 받았다. 웅변·정훈 교육을 하는 ‘강연부’, 영어·한글 공부를 하던 ‘문교부’, 성경을 공부하던 ‘종교부’, 공예품을 만드는 ‘미술부’ 등 다양했다.



    1952 년 광주포로수용소에서 전향교육을 담당했던 육군 정훈관 김영진씨는 빨치산 재소자들이 직접 펜으로 쓴 원고를 모아 간직해 왔다. 이후 경찰에 투신한 그는 전북경찰청 총경 시절인 1989년 이춘구 KBS 기자에게 원고를 넘겼다. 강원도 평강 출신 실향민이어서 늘 고향에 돌아가기를 학수고대하며 빨치산 원고를 통해 전쟁의 실상이 제대로 알려지길 바랐다고 한다.



    이 기자는 정전 60주년을 맞아 원고를 현대어로 편역했고, 한국전쟁기념재단의 지원을 받아 다음달 초 출간된다.

    김유나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6005 늦은 비 성령 정말 내리기는 내리는 걸까요? 7 김균 2013.07.04 1298
6004 우짜문 좋노.!! 1 file 박희관 2013.07.04 1561
6003 순한글 문맥조차 독해 못하는 무지 2 역사학자 2013.07.03 1429
6002 낡은 고무줄 같은 감성이런가. 김재흠 2013.07.03 1627
6001 [단독] 김만복 “국정원 공개 대화록 나 몰래 작성됐다…항명죄 해당” 1 권모술수 2013.07.03 1675
6000 고향을 묻는 질문지 2 김균 2013.07.03 1373
5999 [데스크 칼럼]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불쌍하다 하늘이 2013.07.02 1360
5998 성경보다 나은 21세기의 기적 1 김균 2013.07.02 1520
5997 어제 너무 뜨거운 밤을 보냈어 5 김균 2013.07.01 1841
5996 외국인이 만든 김정은 디스곡 2 신기 2013.07.01 1735
5995 전혀 새로운 차원의 예언연구(동성애 문제도 언급) 최종오 2013.07.01 1443
5994 만시지탄 5 김균 2013.07.01 1378
5993 독서모임 안내 5 백근철 2013.07.01 6514
5992 홍어·전라디언들 죽여버려야" 국정원 요원 3 이흥모 2013.07.01 1892
5991 박대통령, 국정원 사건 “왜 그랬는지 전혀 몰라” 1 기가막혀 2013.07.01 1515
5990 민주 "국정원, '정치개입' 댓글 삭제… 증거인멸" 기가막혀 2013.07.01 1347
5989 참으로 고마운 미국인이 기억난다. 김재흠 2013.06.30 1710
5988 이 정도의 거짓말은 우리도 하면서 사는가? 6 김균 2013.06.30 1576
5987 개 같은 나여, 소 같은 나여.... 8 여자목사 2013.06.30 1658
5986 인스턴트 사랑이 아니라. 김재흠 2013.06.30 1758
5985 맛사지사 붉은악마 2013.06.30 1461
5984 놀라운 조선 동아의 불편한 진실 붉은악마 2013.06.30 1426
5983 은혜는 날로 새로워진다. 1 김균 2013.06.29 1628
5982 해월유록(海月遺錄)중에서...하나님의 나이 70세에 구세주를 낚다(찾다) 마치 문왕(文王)을 낚은 강태공처럼 현민 2013.06.29 1498
5981 해월유록(海月遺錄)에서 발췌 / 정도령이 공자님 말씀대로 나이 50에 천명을 받았다는데... 현민 2013.06.29 1660
5980 여자 목사가 쪼잔한 남자에게 5 여자목사 2013.06.28 1921
5979 공동성명엔 없는데…“한·중, 북핵 불용” 박 대통령 발언 왜? 붉은악마 2013.06.28 1391
5978 가카새키 짬봉 1 짬뽕 2013.06.28 1634
5977 꿩 잡는게 매라던가? 1 국빈 2013.06.28 1564
5976 정치에 무관심하면서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 6 southern cross 2013.06.28 1847
5975 박 대통령과 시진핑 정상회담 시청 소감. 김재흠 2013.06.28 1786
5974 <나도 모르는 나꼼수> 3 아기자기 2013.06.28 1492
5973 ‘대~한민국’ 외친 ‘붉은악마’에 화냈던 박 대통령 1 붉은악마 2013.06.28 1797
5972 ‘난독증’ 대한민국 난독 2013.06.28 1318
5971 남은자를 가장한 SDA 2 자은 2013.06.28 1775
5970 Wag the dog 김균 2013.06.27 1468
5969 초한지 속에서 보이는 오늘에 여의도. 2 우림과 둔밈 2013.06.27 1635
5968 한국의 금요일 오후에 읽어보는 두편의 돌아온 라이언 킹에게 딸랑거리는 잔혹사 3 김균 2013.06.27 1798
5967 [평화의 연찬 제68회 : 2013년 6월 29일(토)] ‘몬도라곤 이란?’최창규 장로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1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3.06.27 1583
5966 꼴통들 니들이 게맛을 알아? 니들이 빨갱이가 어떤 놈인지를 알아? 7 김균 2013.06.27 1765
5965 표창원 “경찰 허위발표로 당선…朴대통령 사퇴해야” 8 닉슨 2013.06.27 1673
5964 대화록 공개에 대한 외신보도 (WSJ) 우림과둠밈 2013.06.27 2420
5963 정말 뜻밖일까? 1 아리송 2013.06.27 1599
5962 김무성의원 제대로 걸렸다 11 김균 2013.06.26 1567
» 영원한 야당성은 진보가 될수없다 1 박성술 2013.06.26 1706
5960 사실 확인땐 메가톤급 후폭풍 file 이흥모 2013.06.26 1426
5959 2007 남북정상회담 전문입니다 읽어보세요. 놀라운 사실이 있습니다. 이흥모 2013.06.26 2125
5958 역시 내가 해야 로멘스야 김균 2013.06.26 1381
5957 할 수 있는 한 나쁜 짓은 다 하고 살자 8 김균 2013.06.26 1512
5956 펴놓은 자리 밑이 아직도 펺지 않다. 1 김재흠 2013.06.26 1586
5955 고 노무현대통은 절대 포기발언 한 적은 없다. 맞습니다, 맞고요. 2 반고 2013.06.26 1445
5954 남자의 손가락 7 김주영 2013.06.26 1673
5953 그렇게 진보가 못 마땅한 분들 왜 입을 닫고 계시지요? 김균 2013.06.25 1392
5952 제목도 공유하나? 3 김균 2013.06.25 1377
5951 유대인의 부림절과 유월절 이해: 전통과 단결 1 김재흠 2013.06.25 1935
5950 "해주"가 어딘지 아시나요? 1 이흥모 2013.06.25 1573
5949 오는 29일에 10년 전에 출판했던 제 책 <하느님도 아프다> 재출간 기념 모임이 열립니다 8 file 곽건용 2013.06.25 1398
5948 두부살에서 철인으로 27 김주영 2013.06.25 1839
5947 에베소 4장 11절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 김균 2013.06.24 3257
5946 믿음 소망 사랑 김균 2013.06.24 1690
5945 남북 정상회담 전문 읽어 봤다 7 김균 2013.06.24 1633
5944 이리저리 봐도 미국이 천국이지. 16 김재흠 2013.06.24 1499
5943 부부 싸움 3 아기자기 2013.06.24 1730
5942 보수를 지향하는 님들도 이게 NLL 무력화나 포기로 읽히십니까? NLL이 영토선이 맞습니까? 2 김균 2013.06.24 1412
5941 대한민국의 국어교육이 엉망인 이유 1 아기자기 2013.06.23 1818
5940 인터넷 상의 신고가 이런데 쓰이는 줄 몰랐네요 김균 2013.06.23 1698
5939 [곽병찬 대기자 칼럼] 졸렬하군, 참으로 졸렬하군 4 나쁜놈들 2013.06.23 2125
5938 인식, 잠, 사랑 file 최종오 2013.06.23 1784
5937 MBC 2580, ‘국정원’ 아이템 불방 “이 치욕의 역사를…” 나쁜놈들 2013.06.23 2940
5936 경향신문 [단독]“노, NLL은 영토선… 어떻게 할 수 없다” 나쁜놈들 2013.06.23 1380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