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9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불쌍해서 대통령 된 그녀, 책 좀 읽어라

기사 관련 사진
▲  우편엽서 '그녀에게'
ⓒ 권은비

관련사진보기


얼마 전 참으로 어마 무시한 이야기를 들었어요. '자기 나라 역사를 모르면 혼이 없는 인간이 되고, 바르게 역사를 배우지 못하면 혼이 비정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말이었어요. 나는 역사를 모르진 않으니 혼이 없는 인간은 아닌 것 같은데 '바른 역사'가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더라고요. 

그래서 '베를린 역사투어'에 참여해보기로 했어요. 다른 나라의 역사와 한국의 역사를 비교해보면 '바른 역사'가 무엇인지 알 수도 있을 것만 같았거든요. 당신도 잘 아실 거예요. 베를린이란 도시는 하나의 '역사책'같아요. 

그런데 거리 곳곳 그리고 대부분의 관광지가 모두 '전쟁, 독재자, 억압, 폭력, 죽음'에 대한 것들뿐인 걸 보면 독일 사람들은 참으로 '부정적 역사관'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한국의 한 국회의원은 우리에게 '긍정적 역사관'을 가지라고 했는데 말이죠. 

14일, '베를린 역사투어'를 하기 위해 약속된 장소로 나갔어요. '11.14'라고 쓰인 작은 관광가이드 깃발이 보였어요. 손바닥만한 깃발 아래 역사투어를 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미술가, 영화감독, 무대 디자이너, 사진가, 연극배우, 연극 연출가, 미디어 아티스트, 공공미술가 등 대부분이 예술가들이었어요. 물론 이번 투어 소식을 전해 들은 베를린 교민들도 이 자리를 함께 했구요. 

희한하죠? 예술가들과 함께하는 역사투어라니... 흔히 예술가들은 괴짜라는데 이번 투어는 뭔가 기묘한 경험을 하게 될 것만 같았어요. 

기사 관련 사진
▲  베를린 역사투어 관광가이드 깃발
ⓒ 권은비

관련사진보기


코스 1. 독재자의 학살 : 유럽 유대인들의 죽음 기념비 

거리에는 전 세계의 관광객들이 가득했어요. 인파를 헤치고 첫 번째 역사투어 코스인 '베를린 유대인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에 도착했어요.

베를린의 주요 관광지이자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물로 꼽히는 이곳은 바로 과거 독일 국민들이 히틀러를 지도자로 뽑는 최악의 실수를 하는 바람에 수천, 수만 명의 유대인들이 학살당한 사건을 기록한 '기억의 벌판'이라고 하더군요. 

본격 투어를 하기에 앞서 가이드 분께서 우리에게 책을 나눠줬어요. 

기사 관련 사진
▲  긍정적 역사관을 가진 국정교과서
ⓒ Tsukasa Yajima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받은 책을 보니 책 가운데가 뻥 뚫려 있더군요. 너무 당황스러웠어요. 도대체 이런 책으로 뭘 보라는 건지 알 수가 없었어요. 일단 우리는 이 책을 들고 첫 번째 투어코스인 베를린 유대인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안으로 걸어 들어가 보기로 했어요. 그것은 마치 '묘지들의 숲'안으로 들어가는 것 같았어요. 

그런데 있잖아요. 책을 들고 높이 서 있는 수천 개의 콘크리트 사이를 걸으면 걸을수록 한국의 역사가 떠오르는 거예요. 역사 속에서 희생 당한 한국의 망자들이 떠오르는 거예요. 

1948년 4.3 제주 민간인 학살, 1950년 노근리 민간인 학살, 1980년 5.18 광주시민학살들이 떠오르는 거예요. 많이 부끄러웠어요. 독일 사람들처럼 우리는 그들을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것 같아서 망자들에게 미안했어요. 그나저나 질문이 하나 있어요. 이번 국정교과서에 이런 역사들도 기록되는 건가요? 

기사 관련 사진
▲  베를린 유대인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인 '기억의 벌판' 속을 한참을 걸었다
ⓒ Tsukasa Yajima

관련사진보기


코스 2. 독일의 6월 : 노동자들의 저항 

다음 코스는 베를린의 상징과도 같은 곳인 '브란덴부르크 토어'였어요. 파리의 개선문과 같은 곳이라 할 수 있죠. 관광객들은 이 건물의 웅장함과 건축적 미학을 구경하느라 정신이 없지만, 사실 이 공간은 독일 역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곳이었다고 해요. 

바로 1953년 6월 17일, 독일 동독 노동자들이 정부의 노동시간 연장과 임금 축소 등 무분별한 노동탄압에 저항하기 위해 파업 및 노동시위를 벌였던 곳이기 때문이죠. 

그때 수많은 동독 노동자 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해 동독 정부가 탱크까지 동원하여 수백 명의 목숨을 무참히 짓밟은 곳이 바로 이 곳 '브란덴부르크 토어' 앞에 놓여있는 길이에요. 벌써 40여 년 전 일이네요. 이런 저항들 덕분에 독일은 현재 전 세계에서 노동시간이 가장 적은 나라가 되었어요.

이 거리 위에서 싸웠던 노동자들의 희생 이후 독일 정부는 그날의 노동자들의 저항과 희생을 기리기 위해 이 길 이름을 '6월 17일 거리'로 명명해서 과거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어요. 한참 투어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문자 한 통이 왔어요. 

"Wow!(와우)" 

이런 메시지와 함께 하나의 링크 주소를 독일 친구가 보내줬더군요. 링크를 열어보니, 한국 민중총궐기 시위대들을 한국 경찰이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있다는 외신기사였어요. 독일 친구가 이 기사를 보자마자 놀라서 저에게 연락한 것이었어요. 베를린에 있는 타이완 국적의 친구도 타이완 신문에 보도된 비슷한 기사를 보내줬더군요. 

"너네 나라 정부 대체 왜 이래?" 

이렇게 묻는 독일 친구에서 나는 뭐라고 대답해야 했을까요? 당신은 뭐라고 대답하시겠어요? 외신기사 속 민중 총궐기 사진들을 보니 어떤 노동자는 물대포를 온몸으로 맞고 있었고, 어떤 농민은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었어요. 눈물이 왈칵 쏟아질 뻔했어요.

좀더 나은 세상에서 살려고 발버둥 치는 엄마아빠 들이 보였거든요. 순간 베를린에서 역사투어를 하고 있는 내가 미웠어요. 한국에서 싸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미안할 따름이었어요. 

그때, 함께 투어를 하던 한 미술작가분이 갑자기 땅에 종이를 펼치고 편지를 쓰기 시작하셨어요. 

기사 관련 사진
▲  브란덴부르크 토어 앞에서 편지를 쓰고 있는 모습
ⓒ Tsukasa Yajima

관련사진보기


그녀에게 

불쌍해서 대통령이 된 그녀가 
온 국민을 불쌍하게 만든다. 
삼년 내내 온 나라가 불쌍하다. 
우리들의 불쌍함을 역사에 꼭 기록해야 한다. 

당신만 아버지가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도 아버지가 있다. 
우리 아버지가 기억하는 당신 아버지는 
당신이 생각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족보와 역사는 그렇게 다른 것이다. 

코스 3. 독재자의 역사테러 : 히틀러가 태워버린 책

세 번째 코스는 '바벨광장'이라는 곳인데 첫눈에 봐서는 그다지 흥미로울 것이 없는 광장이었어요. 그런데 허허벌판인 광장 위에 유독 한 공간에만 사람들이 둥글게 몰려들어 땅을 쳐다보고 있었어요. 

기사 관련 사진
▲  나치 정권이 국민들의 책을 불태운 사건인 '베를린 분서'의 기념비 위에 내용이 도려내진 책을 놓아보았다.
ⓒ 권은비

관련사진보기


우리 투어 팀도 그곳으로 가보니 땅 아래 웬 하얀 책장들만 있는 공간이 있더라고요. 책장만 있고 책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었어요. 알고 보니 이곳은 과거 히틀러가 '독일 국민들의 획일화와 세뇌를 위해 독일인의 영혼을 정화시킨다'는 명목으로 책을 불태웠던 곳이래요. 책을 불 태워서 국민 영혼을 정화 시킨다니... 지금 들으면 참 터무니없는 이 말을 당시 독일 국민들은 철석같이 믿고 그의 지침을 따랐다고 해요.

당시 집안의 모든 책들을 거리로 압수해서 불을 태웠기 때문에 서재에 비어 있는 책장만 있었다고 해서 이 기념비를 만든 것이지요. 기념비 위에 내용이 도려내진 책을 올려놔 보았어요. 비어 있는 책장과 역사가 뜯겨나간 책. 뭔가 잘 어울리는 조합이었어요. 

그곳에서 다시 미술가는 붓을 들고 편지를 쓰기 시작했어요. 

기사 관련 사진
▲  다시 편지를 쓰는 모습
ⓒ 권은비

관련사진보기


국민들의 혼에 대해서 말하는 당신은 
교황이 아니다. 
그냥 딸이다. 

유신 
귀신 
접신 
광신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책 좀 읽어라. 
그녀의 서재가 궁금하다. 

코스 4. 철학의 계단 : 역사를 기억하다

마지막 코스는 '홈볼트 대학'이었어요. 독일에 내로라하는 지성들을 배출해낸 역사적인 대학이기도 해요. 대학 안으로 들어가자 정면에 'Vorsicht Stufe(계단조심)'이라고 쓰인 계단이 보였어요. 이것은 안전을 위한 단순한 안내판이 아니라 200년의 훔볼트 대학 역사와 독일의 '역사적인 관용'과 '내적인 화해'를 기리기 위한 계단이자 하나의 기념비인 곳이었어요.

함께 투어를 했던 예술가분들은 갖고 있는 책들을 계단 위에 올려놓기 시작했어요. 계단의 끝에는 하나의 문장이 벽에 적혀 있었어요. 

기사 관련 사진
▲  홈볼트 대학 로비에 놓인 책들
ⓒ 박기춘

관련사진보기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왔지만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이다' 

바로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 테제 11번'의 한 문구였어요. 가만히 그의 문장을 읽고 있는데 갑자기 은은한 종소리가 울리더니 함께 투어를 했던 배우 한 분이 계단 위를 오르기 시작하셨어요. 그리고 가운데가 뻥뚫린 책을 손에 들며 말했어요. 

기사 관련 사진
▲  함께 투어를 했던 배우 한 분이 계단 위를 오르기 시작하셨어요. 그리고 내용이 도려내진 책을 손에 들며 말했어요
ⓒ 박기춘

관련사진보기


"누군가 내 기억들을 
빼앗으려 한다 
우리들의 말과 글을 
훔치려 한다 
여기 이처럼 참혹하게 
도려내진 책들처럼"

기사 관련 사진
▲  .
ⓒ 권은비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그들이 
우리들의 언어를 
거짓의 감옥에 가둔다 하더라도 
지금 이 시절을 함께 지낸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진실은 영원히 부활할 것이다" 

기사 관련 사진
▲  .
ⓒ 박기춘

관련사진보기


"이제 우리들은 
우리 시대의 증인으로서 
잃어버린 기억들을 
되찾을 것이다"

기사 관련 사진
▲  .
ⓒ 박기춘

관련사진보기


"우리들의 말과 글은 
시간 속에서 
영원히 빛날 것이다 
빛의 언어 
생명의 언어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기사 관련 사진
▲  .
ⓒ 박기춘

관련사진보기


"역사는 
기억에 대한 투쟁이다 
그리고 나의 기억은 
내 자신의 역사이다"

그녀가 내뱉은 마지막 말은 무척이나 단단했어요. 한국에서 싸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들이었어요.

홈볼트 대학에서의 이 짤막한 연극공연으로 오늘의 '베를린 역사투어'는 모두 끝이 났어요. 아니, 실은 이것은 일종의 싸움의 과정이었어요. 

하루종일 베를린의 역사적 공간들을 걸으며 사진가는 사진을 찍었고, 미술가는 붓을 들었고, 영화감독은 영상을 찍었고, 배우는 연기를 했고, 작가는 글을 쓰고, 연출가는 연출을 했지요. 

한국에서 역사를 검열하고, 예술을 검열하고, 사람들의 생각을 검열하는 것에 대한 작은 저항이었어요. 철없이 나대지 말고 너도 당하고 싶지 않으면 가만히 있으라고 하는 사람들에 대한 싸움이었어요. 

"두렵지 않으세요?" 

이번 투어에서 '그녀에게'라는 편지글과 홈볼트 대학에서의 연극 퍼포먼스를 연출한 한 연출가 분에게 저는 물었어요. 

"연극하는 사람이고 글을 쓰는 사람이니까 내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시대를 표현하는 것뿐입니다. 현재 한국에서 예술검열 문제로 저보다도 열심히 싸우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모두가 두려워하고 있는 것만은 아닙니다." 

그는 우리에게 너무 오랜 시간 동안 '분노, 슬픔, 울음'이 잠재되어 왔다고 했어요. 한국을 '헬조선'으로 만들고 있는 상황에 대한 '분노' 이상의 것들이 필요하다고 했어요. 그는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했어요. 

그래요. 재생(再生). 우리는 다시 또 다시 살아야, 살아남아야 해요. 그럼에도 제발 다시 살자구요. 그러니 지금 병원에 누워있는 농민 아저씨, 사세요. 살아야 해요. 다시 농사지어야지요.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며 물대포를 맞은 노동자들도, 광화문의 세월호 희생자 엄마 아빠 들도, 그리고 전 세계, 방방곡곡에서 이 지옥 같은 역사를 마주하고 있는 우리도 다시 살아갑시다. 

찰리 채플린이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이라 했던가요? 하지만 한국은 멀리서 봐도, 가까이에서 봐도 비극이니, 이 '비극의 시대'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발버둥치며 죽어라 밟혀도 역사의 '목격자'로서 '증언자'로서 다시, 또 다시 살아 '재생'(再生)하는 것일 겁니다. 

그리고 끝까지 살아남아 다음 세대에게 똑똑히 전해줘야지요. 2015년, 대한민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었는지. 

덧불이는 글 : 이 '베를린 역사투어'는 베를린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의 예술가들이 11.14 민중 총궐기에 연대하기 위해 공동 기획한 퍼포먼스이다. 편지글과 연극은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김재엽 연출이 맡았고, 연극에서는 이소영 배우가 연기했다.

○ 편집ㅣ홍현진 기자


  • ?
    대표 2015.11.16 03:35
    오늘 시국미사에 참석하게됐습니다
    광복 후  70년 중 
    전반 35년은 학살의 시대였고 
    후반 35년은 자살과 죽음의 시대를 지나 오는데 다시 학살의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다시 그런 시대가 오기전에 우리가 안중근이 되고 전태일이 되어서 힘을 모아 막아야 한다
    라고 ㅡ 말씀하셔서 앞으로 박정권과 국민들이 고단스럽게 싸워야 될 날을 예고하는것같아
    마음이 많이 불편했습니다
  • ?
    김원일 2015.11.16 17:47
    Beautiful!!
  • ?
    아침이슬 2015.11.18 14:43
    Oh, I regret not seeing this amazing posting until now!

    I feel quite akin to this amazing posting. I learned about the most of
    tourist attractions mentioned here when taking German classes previously.
    Furthermore, my daughter interned in Berlin for one Summer. While she was there,
    some family members visited her and took pics from these places, I did not get to go
    (I have not learned to make sad face yet .)

    This performance really taught me a lot about the meaning behind the textbook
    revision in South Korea. Although, it is disturbing to be enlightened about the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 feel the truth must be heard.

    Thank you for posting this, extremely educational for m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13635 아버지 4 야생화 2015.11.21 160
13634 박근혜우산.오바마우산,시쥔핑우산,김무성우산,김정은우산........ 7 우산 2015.11.21 344
13633 계절의 끝자락 가을 들녘에 홀로 핀 들국화에게 5 야생화 2015.11.21 160
13632 <NYT> "朴대통령, 한국 민주주의 퇴행시키려 골몰" 18 NYT 2015.11.21 156
13631  거룩한 것이 어쩌다가 우상이 되었나? 3 김주영 2015.11.21 234
13630 예언님께 3 김원일 2015.11.20 201
13629 악인들이 지옥에서 고생하는 것을 기뻐해야 합니다 1 예언 2015.11.20 136
13628 의대생 대자보 "전쟁터에서도 구급차는 공격 안합니다" 3 울림 2015.11.20 134
13627 ‘최종오의 JLBABC’가 탁월한 이유(총회특집 방송) 2 file 최종오 2015.11.20 269
13626 하나님은 사랑이시지만... 벌받을 자를 절대로 용서안하십니다. 5 예언 2015.11.20 138
13625 새누리 윤상현 이제와서…“노무현 전 대통령 NLL 포기발언 안했다” 대한민국 2015.11.20 91
13624 종교의 후진성 Windwalker 2015.11.20 129
13623 비겁 하기는... 3 한 위원장 2015.11.20 180
13622 교회의 존재 이유와 목적 - 선교인가? 4 김주영 2015.11.20 256
13621 "박정희, 공산당 들어가 혼자 살고 남 다 죽인 사람" file 역사 2015.11.20 110
13620 블랙박스에 찍힌 감동적인 장면들 1 사람들 2015.11.20 115
13619 ▲제1부 빅데이터로 보는 이번 주의 남북평화소식 (제24회) (3:00-4:00) : 끝나지 않은 전쟁, 6.25. 명지원 / ■제2부 38평화 (제54회) (4:00-5:00) : 한국 현대사 50년을 고스란히 기록한 사진가 구와바라 시세이. 최창규 / ●제3부 평화의 연찬 (제193) (5:00-6:00) : 통일을 위한 준비 - 마라톤 정신으로 II 박문수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11.19 54
13618 그대의 두 눈을 뚫어라 9 제자 2015.11.19 199
13617 예수 없는 불교 화이팅 7 김균 2015.11.19 215
13616 인간의 이론인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성경의 성육신 1 하주민 2015.11.19 114
13615 이 사람 정말 개념있는 사람이다. 이 사람 예수 믿나? 향린 2015.11.18 151
13614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이 모슬렘 (회교도) 청년 예수: 네가 나를 믿느냐? 김원일 2015.11.18 177
13613 세월호 특조위.. 朴 7시간 행적 조사키로!! -- 아주 쌔게 나오는 특조위 1 민의 2015.11.18 145
13612 밤샘토론 36회 - 국정화 블랙홀에 빠진 대한민국 (풀영상) 1 Washington 2015.11.18 106
13611 어떤 이야기 제일 먼저 해줄까? 7 아침이슬 2015.11.18 232
13610 JTBC 밤샘토론 - 유시민 6 선지자 2015.11.18 238
13609 박 대통령 "역사교육은 국민의 혼과 같은 것" 혼내다 2015.11.17 70
13608 종교라는 덫을 씌우지 마라 10 제자 2015.11.17 234
13607 '물대포'에 쓰러진 아버지에게 한겨레 2015.11.17 99
13606 “맑시즘의 광기”는 지금 한반도의 문화와 역사를 어떻게 장악하고 있는가? 1 김보영 2015.11.17 165
13605 의학적으로 검증된 커피를 마시자 3 김균 2015.11.17 216
13604 뉴라이트를 박살낸 한국일보 서화숙기자 민주주의 2015.11.17 157
13603 커피를 마신 결과, <이상한 행동>을 하는 교인 7 예언 2015.11.17 255
13602 밤샘토론 21회 - 전작권 환수 연기, 주권 포기 vs 불가피한 선택 세움 2015.11.16 62
13601 이번 과정 공부하시는 이들이 풀어야할 3가지 질문 2 아기자기 2015.11.16 213
13600 외눈박이 조선일보의 집회 관전법 외눈박이 2015.11.16 121
13599 이완영 의원은 왜 경찰의 총기 살인을 부추기나? 길위의길 2015.11.16 145
13598 <재림신문 881호> “교회의 목적은 선교, 합회 분리 위한 희생-협조 필요” 3 보람이 2015.11.16 208
» 불쌍해서 대통령 된 그녀, 책 좀 읽어라! 3 울림 2015.11.15 197
13596 파리 참사 제대로 이해하기 7 김원일 2015.11.15 340
13595 "우리 아빠 짱이라고 쓸 거야, 아빠니까" 풍자 랩 '내가 역사를 쓴다면' 무료 공개 풍자 2015.11.15 138
13594 <<<<<<<<<<<<<< 아래는 박통 TV조선영상 안본만 못함 >>>>>>>>>>>>>>>>>>>>>> 어제 전 세계 주요 외신 BBC,CNN,AP연합,뉴욕 타임즈 등에 급 타전된 동영상 2 주인 2015.11.15 204
13593 '민족의 영웅' 박정희대통령 생전 영상 및 육성 2 진실한근혜씨 2015.11.15 109
13592 탱크와 대포를 이기는 힘은 바로 이거다 1 주인 2015.11.15 121
13591 냉수 마시고 정신 차리기 4 김균 2015.11.15 276
13590 커피 하루에 3잔 마시는 중장년 사망위험 절반으로 ↓ 1 김균 2015.11.15 216
13589 이런 목사님 아세요 1 엘에이 2015.11.15 220
13588 민초 대문을 보고 2 지나가다 2015.11.15 132
13587 지옥에서 무얼 보았지?” 1 역전 2015.11.15 107
13586 약장사 목사 역전 2015.11.15 201
13585 뉴스타파 - 해방 70년 특별기획 '친일과 망각' : 1부 친일 후손 1177(2015.8.6) 역사의 눈물 2015.11.15 96
13584 어머니께 드리는 가을 편지 file 이채 2015.11.14 110
13583 박근혜의 위대한 발자취 1 진실한근혜씨 2015.11.14 92
13582 박정희 대통령, 싸우면서 건설하자 1 진실한근혜씨 2015.11.14 74
13581 존경하는 선생님에게 야생화 2015.11.14 157
13580 별들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에 야생화 2015.11.14 91
13579 ’박정희-기시 노부스케’ 친서, 방송 가로막은 KBS 1 팩트 2015.11.14 114
13578 세상 바보짓은 혼자 다하고 6 김균 2015.11.13 297
13577 민중집회 현장중계 현장 2015.11.13 109
13576 이랫 단상에 정치인을 세워도 좋을까 방문 2015.11.13 130
13575 사람의 가치 하주민 2015.11.13 96
13574 ▲제1부 빅데이터로 보는 이번 주의 남북평화소식 (제23) (3:00-4:00) : 채식의 질을 높이는 방법. 김진화 약사, 뉴스타트전문가 / ■제2부 38평화 (53) (4:00-5:00) : 해방 후 북한 선교의 역사와 우리의 사명. 김군준 원로목사 / ●제3부 평화의 연찬 (제192) (5:00-6:00) : 성경에 나오는 주요 한자어의 어원적 이해: 구원, 긍휼, 창조, 자비, 화평. 이소자 목사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11.13 117
13573 앞으로도 "조직 수정주의" 는 우리교단 에 존재 하지 않을 겁니다 4 박성술. 2015.11.13 243
13572 맹탕님에게 2 제자 2015.11.13 197
13571 Y2K 3 jb 2015.11.12 168
13570 개신교인들이 가톨릭 신부에게서 배울 점은 2 아기자기 2015.11.12 174
13569 세월호 아이들 ‘슬픈 수능’…광화문광장에 추모의 책가방 광화문연가 2015.11.12 98
13568 조용필 - 어제 오늘 그리고 (1993) 물보라 2015.11.11 138
13567 ‘세모자 사건’ 거짓으로 판명 천연수 2015.11.11 119
13566 교회 돈으로 인심쓰는 직원들과 담임 목사가 보기 싫어서 저는 더 이상 월정연금을 안 내기로 결심. 2 참 한심한 직원들과 담임 목사 2015.11.11 324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