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결은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이 끝난후 자신의 블로그에 ‘역부족이었습니다’라는 글을 올리며 패배를 인정하고 진중권 교수에 사과했다.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은 28일 오전 9시30분부터 약 100분간 NLL(북한한계선)과 정수장학회에 대한 주제로 인터넷 방송을 통해 생중계됐다.
이번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은 진 교수가 지난 19일 SBS '시사토론'에 출연해 북방 한계선과 정수장학회 등을 두고 토론을 벌인 것을 보고,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인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 '간결'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한 네티즌이 진 교수의 발언을 반박, 토론 배틀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 | ||
▲ 진중권 교수가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 출연료 100만원을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돕기에 입금한 화면. /진중권 트위터 |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의 결과는 진중권 교수의 압승. 진중권 교수는 대표적 진보논객 답게 간결의 지적에 "논거를 제시하가. 소설은 일기장에 써라. 토론이 음모론 말하는 자리냐"고 응수하는 등 놀라운 입담과 논리를 과시했다.
이에 간결은 토론 배틀 초반의 자신감 대신 진 교수의 공격에 흥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간결이 “서울시교육감이 정수장학회 이사진을 임명하는 권한을 갖는다”고 하자 진 교수는 “장학회 정관을 보면 이사장은 이사들의 호선으로 선출한다. 교육감이 임명권을 갖는다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어떻게 최필립 이사장을 그 자리에 앉혔냐? 박 후보는 교육감도 아닌데”라고 공격했다. 간결은 진 교수의 공격에 제대로 응수조차 못했고 토론은 끝이 났다.
토론이 끝난 뒤 진 교수는 트위터 글을 올려 간결에게 “돈 돌려주겠다. 계좌번호를 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간결은 “당신이 시간을 내준 데 대한 대가다. 많은 것을 배웠다”며 사양했다.
간결은 자신의 블로그에 ‘역부족이었습니다’라는 글을 올려 “논쟁도 싸움의 일종이라는 본질을 생각 않고 순진하게 뛰어들었다. 무너지기 시작하니 무슨 말을 했는지도 기억이 안 난다. 죄송하게 생각한다. 진 교수에게 사과한다”며 패배를 인정했다.
진 교수는 출연료 100만원을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를 돕는 데 썼다며 입금 화면을 캡처한 사진을 올렸다.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을 본 네티즌들은 "진중권vs간결 토론 배틀,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를 실감했다", "진중권 vs 간결 토론 배틀 역시 진중권 교수 최고의 말발로 인정한다", "진중권 vs 간결 무모한 도전이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디지털뉴스부
신앙은 시시비비를 가리는 논쟁이 아니며
상대방의 허물을 덮어주고 이해해 주고 손해를 보고
감싸주고 사랑하는것이라 사료됩니다 비록 그 사실이 옳다고 생각되더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