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1.09.14 06:04

어느 우등생의 반성

조회 수 2055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온 김에 저의 옛날 제자가 쓴 글이 흥미로워 여기 퍼옵니다.

함께 즐독을...

===

도둑 누명을 씌운 어느 우등생의 반성

성해영 2011. 09. 09
조회수 2609 추천수 0

elimentary.jpg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삼각(三角)자와 엑스터시

초등학교 5학년 즈음으로 기억한다. 공부를 곧잘 했던 덕에 학급 반장을 맡았던 나는, 어린아이 특유의 치기(稚氣)까지 겹쳐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건방을 떨었다. 선생님의 총애에다 동급생들의 선망어린 시선마저 마음껏 누렸으니 기고만장했을 수밖에. 그러던 무렵 ‘삼각(三角)자’ 사건이 있었다. 각도와 길이를 재는 그 삼각자말이다. 삼각자가 ‘엑스터시 이야기’와 무슨 상관이 있냐고? ‘하루는 삼각자에 우연히 맞아 유혈이 낭자한 채 정신을 잃었다. 그리고 엑스터시 상태에 빠져 다른 차원에 다녀왔다’라는 식의 뜬금없는 얘기는 아니니 걱정 마시길.

 

그 즈음 꽤나 좋은 삼각자를 선물로 받았다. 눈금도 선명하고 두툼한 삼각자로 동생이 감히 손도 댈 수 없는 나의 애장품이었다. 아까워서 안 쓰는 탓에 본래의 용도를 방기하는 그런 종류의 물건 말이다. 나에게는 그 삼각자가 그랬다. 그러던 중 안타깝게도 삼각자를 잃어버렸다. 집안 구석구석을 아무리 찾아도 삼각자의 행방은 묘연했다. 그렇게 한참을 찾아 헤매던 어느 날, 학교에서 같은 반 여학생이 똑같은 삼각자를 가지고 있는 걸 발견했다.

 

그 여학생과 그리 친하지 않았던 탓에 지금은 이름도 얼굴도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공부를 썩 잘하는 편은 아니었고, 굉장히 말수가 적고 얌전했던 친구였다. 한 마디로 눈에 잘 띄지 않는 유형의 학생이었다. 그런데 그 친구가 내가 잃어버린 것과 똑같은 삼각자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닌가.애타게 삼각자를 찾고 있던 나에게 결론은 명쾌했다. 그 친구가 내 삼각자를 슬쩍 한 것이라고 생각한 나는 다짜고짜 삼각자를 내 놓으라고 시비를 걸었다. 그 여학생은 눈이 동그래지면서 무슨 소리냐는 표정을 지었고, 그러면서 다툼이 시작되었다. 나는 삼각자를 그 친구가 훔쳤다고 소리치고 그 친구는 아니라고 한사코 버텼다. 시간이 갈수록 언성은 높아져 반 친구들이 모여들어 싸움을 구경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결국 나는 제 분을 참지 못하고 힘으로 삼각자를 뺏었고, 그 친구는 울음을 터뜨렸다. 구경하던 여학생들은 나에게 삼각자를 돌려주라고 했지만, 은근히 내 편을 드는 남학생들의 지원에 힘입어 ‘내건데 왜 돌려 주냐’고 큰 소리를 쳤다. 하지만 여학생의 울음이 점점 커져 상황이 걷잡을 수 없게 되자, 나는 마지못해 돌려주었다. 내 삼각자를 네가 훔친 것은 맞지만 내가 양보한다는 식의 제스처를 취하면서. 원래도 그리 친하지 않았던 그 친구와 그 이후로 전혀 말도 안하게 된 것은 당연지사.

 

하지만 얘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여러 달이 지나 6학년이 된 나는 그 삼각자를 정말로 우연하게도 찾았다. 무슨 이유에선지 책상과 벽 사이의 좁은 틈에 문제의 그 삼각자가 끼어 있었던 것이다! 그걸 발견하던 순간에 들었던 느낌을 나는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아끼던 물건을 찾게 된 기쁨은커녕 한 겨울에 찬물을 한 바가지는 뒤집어 쓴 것 같은 그 느낌을.

 

내 삼각자는 발견되는 그날까지 책상 뒤에 꼼짝 않고 숨어 있었고, 내 것이라고 실랑이를 벌였던 그 삼각자는 실제로 친구의 것이었다. 친구가 나 몰래 삼각자를 내 책상 뒤에 살짝 숨겨둔 거라면 내 마음이 참으로 편했겠지만, 그럴 리가 있겠나. 삼각자에 대한 애정에다, 나보다 공부도 조금 못하고 학급 임원도 아닌 그 친구를 무시하는 마음, 거기다 치기어린 자기 확신까지 겹쳐서 친구를 도둑으로 몰고 남의 삼각자까지 뺏으려 했던 것이다. 아무리 어린 아이였다 할지라도 어쩌자고 그런 일을 저질렀을까. 지금 생각해도 등에 식은땀이 난다.

 

 

호환마마보다 더 무서운 건 ‘반성 없는 자기 확신’

 

‘삼각자 사건’은 그 이후로도 자주 내 기억에 떠올라 참으로 여러 가지 감정과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일종의 트라우마(trauma)가 되었다. 그 사건은 어린 시절 으레 일어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일로 치부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마치 삼각자의 날카로운 모서리처럼 나를 오랫동안 찔러 왔다. ‘엑스터시 이야기’에서 언급하는 첫 에피소드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사건은 나로 하여금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드는 탓에 떠올리면 여전히 마음이 불편해 진다.

 

‘엑스터시(ecstasy)’를 나 밖에 서는 일이자, 그로 말미암아 나의 세계관에 균열과 확장이 초래되는 사건이라 정의할 때, 삼각자 에피소드는 나에게 엑스터시에 다름 아니었다. 다시 말해 나는 이 사건이 준 깨달음으로 인해, 아쉽지만 그저 나 자신을 멋지다고 믿는 순진한 나로 결코 돌아갈 수 없게 된 것이다.

 

무엇보다 나는 이 사건으로 인해 남의 입장이라는 게 무언지 알게 되었다. 갑자기 도둑으로 몰아가며 자기 물건을 뺏으려는 나를 보고 그 친구는 얼마나 놀라고 억울해 했을까. 확신에 차서 자기를 도둑으로 몰아붙이고, 심지어 완력으로 삼각자를 빼앗기까지 하지 않았던가. 그렇지만 지금 기억하기에도 나는 그 당시 너무도 뻔뻔했다.

 

그 친구가 겪었을 수치감이나 당혹감에 대한 생각은 그 날의 다툼 과정에서 티끌만큼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그 후로도 여러 달 동안 그 친구가 남의 물건을 훔쳐가고도 시치미를 떼는 염치없는 사람이라는 내 생각은 추호도 변화하지 않았다. 한마디로 자기 밖에 모르고, 자기만이 옳다고 고집피우는 전형적인 어린 아이였다.

 

또 삼각자를 우연히 발견했다는 사실도 거듭 떠올랐다. 만약 그 삼각자를 찾지 못했더라면, 그 여학생은 내 삼각자를 훔쳐간 친구로 여전히 기억될 것이다. 더불어 내가 옳다는 자기 확신 역시 한 치도 흔들리지 않았을 터이므로, 적어도 이 사건과 관련해서 나는 정말로 구제불가능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삼각자가 발견되는 바람에 이 모든 스토리가 다행스럽지만, 내 마음을 쓰라리게 만드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 게 아닌가.

 

다른 한편으로 보면 삼각자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면 내 마음은 훨씬 더 편안했으리라. 그 친구는 여전히 내 소중한 물건을 훔쳐간 사람으로, 반면 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량을 베푼 사람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또 잃어버린 삼각자 역시 내 어린 시절의 귀중한 추억거리이자 내 아량을 증언하는 기념품으로 기억될 것이다. 잃어버린 것들은 역설적으로 영원해지지 않는가 말이다. 더불어 나의 치기어린 자기중심성 역시 그 빛을 잃지 않았을 것임에 분명하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잃어버린 줄 알았던 삼각자가 책상 뒤에서 슬며시 고개를 내밀면서 한꺼번에 무너져 내렸다. 이제 삼각자는 나에게 부끄러움을 기억하게 만드는 꺼림칙한 물건이 되었고, 나의 자기중심성과 자기 확신은 큰 상처를 입었다. 나는 결국 내가 자기 확신에 빠져 친구를 도둑으로 몰아붙이고, 심한 상처를 주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했다. 이 점에서 삼각자 사건은 나를 어린 아이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커다란 계기였다.


엑스터시는 우리를 변화시킨다

 

 

우물 안의 개구리가 우물 밖으로 뛰쳐나가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고, 세계관과 더불어 자기 인식을 바꾸게 되는 사건을 엑스터시로 규정한다면, ‘삼각자 사건’은 분명 나에게 엑스터시였다. 거창스럽게 들리긴 하지만, 나는 그 사건을 통해 ‘나’ 밖에 설 수 있었다. 무엇보다 상처받았을 그 친구의 마음을 돌이켜 보았고, 삼각자를 찾는 것 외에도 유치하기 그지없었던 내 자신의 모습도 비로소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내가 얼마나 독선적이었는가와 생각만큼 멋지지 않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이 모든 자기반성이 실제로는 삼각자를 우연히 찾게 됨으로써 비로소 가능했다는 점이 나를 더욱 비참하게 만들었다. 그 삼각자를 찾지 못했더라면 나는 분명 아무것도 배울 수 없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식의 여러 깨달음이 당시가 아니라 한참의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명확해 졌다는 점은 밝혀야겠지만.

 

수십 년 전의 에피소드를 이 자리에서 들먹이는 것은 내가 자기 반성적인 인간이라고 자랑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혹은 내가 이 삼각자 사건으로 인해 일거에 좋은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 그 이후로 사뭇 겸손한 인생을 여태껏 꾸려오고 있다고 주장하려는 건 더더욱 아니다. 인간이 어찌 그리 쉽게 변할 수 있겠는가.

 

나는 다만 그 사건으로 인해 ‘자기를 벗어나는 경험이 자신이 원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식대로 오지 않는다’는 점과 실제로 ‘엑스터시는 쉽사리 우리의 삶으로 수용되거나 통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어렴풋이 눈 뜨게 되었다고 말하고 싶다. 이걸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아끼던 삼각자를 잃어버리고, 친구가 똑 같은 모양의 삼각자를 학교에 가져 오고, 그것을 보고 시비가 붙고, 남의 마음에 큰 상처를 주고, 그리고 몇 달이 지나 우연히 집에서 삼각자를 다시 발견하게 된 일련의 경험들 중에서 단 한 가지만 빠져도 삼각자 사건은 나에게 그리 큰 의미가 없었으리라. 그 점에서 이 사건은 내 삶이 내가 생각하고 기대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각인시킨다. 특히 엑스터시적 경험의 경우에는 더더욱.

 

동시에 이 사건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점도 말하고 싶다. 만약 책상 뒤에서 삼각자를 우연하게라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나의 자기중심성과 확신은 한결 같았으리라. (물론 오늘에도 다른 방식으로 여전하긴 하다). 그리고 만약 내가 이 사실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오늘의 내가 여전히 또 다른 종류의 자기 확신 속에 빠져 있는 게 아니며, 그런 종류의 확신을 냉정하게 깨트릴 ‘삼각자’가 또 다시 등장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을 어떻게 감히 할 수 있겠나. 이처럼 그 효용이 쉽사리 다 하는 법이 없고, 거듭 그 사건을 곱씹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엑스터시가 갖는 힘이 아닐까. 실제로 이점은 모든 엑스터시 경험에 공통된 특징으로, 앞으로 하게 될 종교적 엑스터시 이야기에서 더욱 분명해 지리라 믿는다.

 

 

 친구야! 정말 미안해

 

 저자와 제목도 기억나진 않지만, 얼굴이 잘 빨개지는 학생이 붉어진 얼굴 때문에 도둑으로 몰린 끝에 우물에 몸을 던진다는 내용의 단편 소설을 오래 전에 읽은 적이 있다. ‘쉽게 붉어지는 얼굴 때문에 도둑으로 몰리면 어떻게 되나’라는 생각이 결국 비극을 만들었다는 얘기다. 나 때문에 곤욕을 치른 그 친구의 얼굴빛이 당시에 어떠했는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때 정녕 얼굴이 빨개져야 하는 게 나였다는 사실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나 때문에 날벼락을 맞고, 분함과 억울함 때문에 가슴 아팠을 친구에게 그 때 전하지 못했던 미안한 마음을 뒤늦게나마 전한다. 의도한 바는 아니었겠지만, 그 친구 덕분에 그나마 내가 자신을 돌이켜 보는 ‘자기반성(self-reflection)’이라는 걸 배우기 시작한 건 분명하다. 그 점에선 미안함과 더불어 고마움도 새삼 느낀다.

 

반성 없는 ‘자기 확신’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는 나의 어렸을 적 얘기가 아니더라도, 살아오면서 다들 한번쯤은 경험했으리라. 그 점에서 나를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바라보게 만드는 엑스터시 경험은 비록 우리 등에 식은땀이 나게 만들지언정 우리 삶에 꼭 필요할 것이다. 특히나 자기 확신이 쉽사리 절대적 수준까지 치닫는 종교의 영역에서는 더더욱 그러하지 않을까.

 

성해영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와 행정고시에 수석으로 합격해 문화관광부에서 사무관으로 근무했다. 그러나 고교 때 체험한 신비체험을 규명하기 위해 공무원 생활을 접고 서울대 종교학과 미국 라이스대학에서 종교심리학과 신비주의를 공부한 뒤 서울대 HK(인문한국) 교수로 있다. 종교체험이 우리 삶에 어떤 의미를 갖는 지 탐구중이다. 저서로 오강남 교수와 함께 나눈 얘기 모음인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가 있다.
이메일 : lohela@hanmail.net     
  • ?
    빈배 2011.09.15 02:11

    저는 이 글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이

    "호환마마보다 더 무서운 건 ‘반성 없는 자기 확신’"이라는 문구입니다.

    우리 모두에게 경고가 된다고 여겨지는군요.

  • ?
    아침 이슬 2011.09.15 18:28

    자기 확신을 반성 하는 가정은

    행복한 가정, 그런 교회는

    사랑이 넘치는 교회.....

    그런데 왜  반성 하는것이

    그렇게도 힘든겄일까?

  • ?
    바람 2013.04.06 16:02

    엑스터시가 "자신이 원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오지 않는다"지만 '이제까지의 나'에 대해 반성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0403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6653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3665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5452
2225 대총회와 연합회의 시계는 거꾸로 가는가? 2 김주영 2011.09.20 1787
2224 이기돈 박사님이 책을 내셨다는데.... 빈배 2011.09.20 2369
2223 관리자들이여 조용하십니까 안조용 2011.09.20 1889
2222 후련이님 조용히 하시고 KT님 말씀하옵소서 2 노을 2011.09.20 1954
2221 인간 억압의 종교로 변질되어가는 스다(SDA). 1 후련이 2011.09.19 2059
2220 꼼수 정치 로산 2011.09.19 1450
2219 증언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싫어하는 증언들 13 로산 2011.09.19 1734
2218 침묵하는 언론에 반기든 트위터러, 우리가 "'위키리크스' 직접 번역하겠다" 나서다.^^ 1 서프라이즈 2011.09.19 1780
2217 재림마을 게시판에 올렸다가 삭제가 된 글. 2 야곱의사다리 2011.09.18 2343
2216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살아가기 2 로산 2011.09.18 1462
2215 재림교인이라는 우리들만의 이중성 2 로산 2011.09.18 1799
2214 [예수는 없다]를 읽고 3 후련이 2011.09.18 1691
2213 표절과 저작의 차이 2 로산 2011.09.17 1857
2212 개혁자 그리고 변절자 로산 2011.09.17 1591
2211 바른 예배 김주영 2011.09.17 1741
2210 날마다 죽기? - 성경 독해 101 8 김주영 2011.09.16 2105
2209 은하 銀河 은하 2011.09.15 3257
2208 가을 낙엽 4 1.5세 2011.09.14 2288
2207 4대강 난리 난다던 사람들의 침묵 4 사대강 2011.09.14 1811
2206 대한민국 그리고 SDA 허주 2011.09.14 1727
2205 동풍 서풍 그리고 안풍 로산 2011.09.14 1763
2204 왜 그들은 '천국이 없다' 하는가? (수정-원문 첨부) 24 산골 2011.09.14 1979
2203 "내가 율법을 폐하러 왔느뇨?" (퍼 온글) 돌베개 2011.09.14 2245
» 어느 우등생의 반성 3 빈배 2011.09.14 2055
2201 천국은 없다 24 빈배 2011.09.14 2770
2200 예수 팔아먹는 사람들 1 빈배 2011.09.14 2281
2199 美 기독교위기; 나이롱 신자들 급증 8 산골 2011.09.13 1937
2198 천당에서 김기대 2011.09.13 1902
2197 한 신학도의 비보를 알리며 2 passer-by 2011.09.13 2558
2196 빅뱅에 관하여... 2 student 2011.09.13 1860
2195 나를 사랑하라-아침 이슬 님 3 로산 2011.09.12 1794
2194 고국에 새로운 신학교 설립 1 아멘 2011.09.12 1992
2193 어떤 집 이야기 잡종 2011.09.12 1830
2192 내 하나님 네 하나님 우리 하나님 6 로산 2011.09.12 1623
2191 하늘삼님 바이블 2011.09.12 1754
2190 하나님 하느님 둘다 하늘님이다 5 김기대 2011.09.12 2177
2189 그분의 이름 - 헷갈림 님께 (수정) 5 김주영 2011.09.12 1912
2188 하나님이 이상황을 예측 했다면 사랑일수 밖에 없다. 바이블 2011.09.11 1792
2187 혼자 품기 아까운 이름 3 한은이 2011.09.11 1879
2186 빅뱅 바이블 2011.09.10 2178
2185 신(창조주)은 과연 있는가. 바이블 2011.09.10 1669
2184 빈배님께 4 헷갈림 2011.09.10 1593
2183 국립공원 로산 2011.09.10 1653
2182 알라 와 여호와... 2 snow 2011.09.10 1960
2181 헷갈리는 나 김종식 - 헷갈리지 않는 사람 나와라..... 3 김종식 2011.09.09 2107
2180 왜 student 님이 요즘.... 1 빈배 2011.09.09 1818
2179 이눔의 자슥들이 와이러노??? (산골님 밥상위에 반찬 하나 더 올릴수 있는 방법 - 수정) 김 성 진 2011.09.09 2429
2178 김종식님의 헷갈림 2 김원일 2011.09.09 1855
2177 태양과의 경주(어제 내 페이스북에 이 글을 올리고 '돈키호테'라는 칭호를 얻었음) 3 최종오 2011.09.09 1887
2176 까 부수어야 할 벽 그리고 넘어가야 할 벽 - 한분의 안교 교사 이야기: 눈높이 2 김종식 2011.09.08 1550
2175 미국 "MB, 곧 '절름발이 지도자' 될 것" 임기초 전망 서프라이즈 2011.09.08 2005
2174 까부술 수 있는가가 문제가 아니라 까부수지 않을 수 있는가가 문제다. 1 김원일 2011.09.08 1515
2173 제도 8 file passer-by 2011.09.08 1670
2172 까부실 수 있는가? - 나의 부모님이야기 1 김종식 2011.09.08 1929
2171 민초 SDA에서 부부싸움 하기. 6 산골 2011.09.08 3336
2170 가식적인 반성을 할수 밖에 없는 이유.. 5 김 성 진 2011.09.08 1823
2169 나는 육일박님을 좋아하는가. 8 김원일 2011.09.08 1703
2168 우야찌됐떤 감사한 일이네요. ^^ 2 산골 2011.09.08 1543
2167 산골소년님에게 2 passer-by 2011.09.08 2266
2166 나는 육일박님의 글을 좋아한다 2 김종식 2011.09.07 1777
2165 산골님에게.. 1 김 성 진 2011.09.07 1466
2164 육일박 님에게.... 산골 2011.09.07 1711
2163 육일박님.. 열 좀 내십시요.. (수정2) 2 김 성 진 2011.09.07 1661
2162 육일박님이여, 지성소, 안식일, 재림, 뉴스타트 우리 제발 까부수기 바란다. 김원일 2011.09.07 1602
2161 우리끼리만 남들 깔아 뭉게기.. 5 김 성 진 2011.09.07 1681
2160 이름이 아깝지 않은가? (예수를 놓아주자 2) 5 허주 2011.09.07 1720
2159 육일박 왈, 김원일 왈 같은 소리 김원일 2011.09.07 1749
2158 종말론(3)- 재림은 가능한가?-cogito님 3 로산 2011.09.07 1447
2157 방빼님 수고 많으십니다 3 로산 2011.09.07 1485
2156 "Pastor helps North Koreans grow food"(코리아헤럴드) 명지원 2011.09.07 2919
Board Pagination Prev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