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500 추천 수 0 댓글 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스티브 잡스가 죽으면서 내놓은 아이폰 4S 에는

시리 라는 인공지능 컴퓨터가 있다..

 

친구가 산 아이폰 4S 를 가지고 한번 실험을 해봤는데,

정말 놀라 자빠졌다..

 

물론 사상 처음으로 대중화된 인공지능 컴퓨터라

스타 워즈에 나오는 인공지능 컴퓨터처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는건 아니지만

간단한 대화는 완벽하게 소화시킨다..

 

예를 들자면..

 

"엄마한테 나 오늘 늦을꺼라고 문자 좀 보내줘" 라고 하면

엄마의 핸드폰으로 자기가 알아서 "엄마, 나 오늘 늦어" 라는 문자를 보낸다..

 

그런데 정말 놀라운것은

위 문장을 "나 오늘 늦을꺼라고 엄마 핸드폰으로 메시지 좀 보내줄래?" 라고 바꾸어 말을 해도

시리 는 알아듣는다는거다..

 

"나 내일 새벽 5 시에 깨워줘" 하면

시리가 알아서 스마트폰 알람을 새벽 5 시로 맞춰놓는다..

 

"가장 가까운 재림교회가 어딨니?" 하면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재림교회를 지도에서 찿아다 준다..

 

"나 내일 샌프란시스코 가는데 샌프란시스코에 수영장하고 헬스클럽이 있는 호텔들이 있는지 알아볼래?" 하면

그런 호텔들을 리뷰가 가장 좋은 순위로 쫙 나열해준다..  예쁜 목소리로..

 

"시리야, 사랑해" 라고 장난하면 어여쁜 여인의 목소리로

"너는 내 날개밑의 바람이야" 라고 맞장구를 친다..

 

몇번 사용해보니 시리 라는 말 잘듣는 인공지능 컴퓨터를

당장 내 여자친구로 만들고 싶어졌다.. ^^

 

내년에는 한국말도 알아듣는 시리가

나올 예정이란다..

 

 

=====

 

 

시리 라는 인공지능 컴퓨터는

처음엔 미국방부에서 개발하기 시작한 거다..

 

그리고 시리를 삼성에서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과 블랙베리와 같은 핸드폰에 설치하기로 했었는데

애플이 시리 만드는 회사를 구입함으로 인해 이제는 애플 제품에만 시리가 들어가게 된다..

 

요즘 삼성하고 특허전쟁을 치루고 있는 애플이지만

시리 라는 인공지능 컴퓨터를 경험해본 나는

스마트폰 전쟁에서 만큼은 삼성이 애플에 완전히 졌다고 생각한다..

 

삼성이 다른 종류의 인공지능 컴퓨터를 개발할지는 모르겠지만

미국방부에서 시작된 시리와 같은 인공지능 컴퓨터를 개발하는건 쉽지 않을것같다..

 

시리..

 

빌 게이츠의 PC 혁명만큼,

아니면 그보다 더 큰 컴퓨터 혁명의 시작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온지 24 시간만에 아이폰 4S 를 백만개 팔았다고 한다..

기가막혀서..

 

십년, 이십년후엔

시리와 같은 인공지능 컴퓨터와 구글의 무인자동차가 합작된 생활이 올꺼라고 본다..

 

운전을 더이상 못하는 노인들,

학교에서 아이들을 데리러 못가는 맞벌이 부부들,

운전할수 없어서 병원을 맘대로 못다니는 불구자들..

 

스마폰으로 무인 자동차를 불러

노인들 시장 데려다주고, 아이들 픽업하고, 불구자들 병원으로 수송해주는 시대가

곧 올것이다..

 

내가 저번에 말한 스마트폰의 통역기능..

 

한국사람이 한국말로 말하면

미국사람 스마트폰에는 영어로 자동통역되어 나오는 시대..

 

조만간 나올것이다..

 

아래 삼육학교에 대한 글들을 읽어보니 아직도 영어붐이 한참인가 본데

아이들한테 더이상 영어가르치지 말고

컴퓨터 공학이나 가르치는게 더 효율적일꺼다..

 

이런것들 외에

시리와 같은 인공지능 컴퓨터의 잠재력은

무한적이다..

 

 

========

 

 

옛날처럼 종교가 세상을 뒤짚어 놓는 시대는

더이상 없을것이다..

 

지난 100 년동안도 산업혁명으로 인해 과학이 세상을 완전히 뒤짚었지만

앞으론 과학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더더욱 바꿔버릴꺼다..

 

과학이 인간의 삶을 점점 더 향상시키고 있는 시대에

종교의 역활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를 교회의 지도자들은 연구해야 한다..

 

"과학을 앞서가는 성경" 과 같은 비현실적이고 말도 안되는 무식한 구호들로

교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려고 더이상 노력 하지 말고,

점점 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해 나가는 과학세계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에게

종교의 역활이 무엇인지를 확실히 가르칠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할것이다..

 

과학의 영역이 점점 더 넓어가는 현실속에서

종교의 영역은 과연 어디로 향해야 할지 교회 지도자들은 탐구해야 할것이다..

 

과학과 맞붙지 말고 과학과 조화를 이룰수 있는 방법을

교회 지도자들은 연구해야 할것이다..

 

 

 

 

끝..

  • ?
    passer-by 2011.10.23 19:20
    김성진님의 생각에 동의하면서 반대하고 또 반대하면서 동의합니다. 묘하죠?

    ================================================================

    옛날처럼 종교가 세상을 뒤짚어 놓는 시대는 더 이상 없을것이다.

    ================================================================

    그 반대일 것 같습니다. 사회학을 정초한 오귀스트 꽁트(Auguste Comte)는

    과학이 발달하면 종교가 없어질 것이라고 단언했는데 종교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 반대로 종교는 과학이 주지 못하는 의미의 영역에 여전히 시퍼렇게 살아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

    과학이 인간의 삶을 점점 더 향상시키고 있는 시대에

    종교의 역할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를 교회의 지도자들은 연구해야 한다..

    ================================================================

    동의합니다.

    종교는 과학의 옷을 입어서는 안 됩니다. 과학은 실증주의와 합리성을 그 기반으로 합니다.

    그런데 종교는 과학에서 말하는 실증과 합리를 그 기반으로 하지 않습니다. 종교그런 모든 시도는

    예전에도 그렇고 앞으로도 bullshit일 뿐입니다. 종교 내에서는 과학과는 다른 합리성이 운위되고 있습니다.

    과학적 해석학은 엘리아데(Mircea Eliade)가 말한 창조적 해석학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진화론적 사고에서부터

    신화론적 사고, 물질적 사유에서부터 생태적 사유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 일에 종교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합니다.

    ================================================================

    과학의 영역이 점점 더 넓어가는 현실속에서

    종교의 영역은 과연 어디로 향해야 할지 교회 지도자들은 탐구해야 할것이다..

    ================================================================

    앞서 말했듯이 과학의 영역이 넓어져서 종교의 영역은 줄어들지 않을 것입니다.

    종교는 과학과 다른 영역에 있을 것입니다. 물론 제가 지금 말하는 종교는 기성종교가

    아닙니다. 시카고대의 종교학자 조나단 스미스(Jonathan Z. Smith)는 종교의 진화는

    religion에서 religions로 그리고 다시 religious로 나가게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기성종교들은 사멸할 수도 있겠지만 인간의 원초적 본능, 소위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으로

    불리는 인간의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은 영원히 religious의 영역에 남게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마음, 거기서 촉발된 욕구 때문에 iPhone 4S도 개발했을 것입니다. 저의 미천한 생각입니다.

  • ?
    김 성 진 2011.10.23 20:07

    종교는 말씀대로 영원히 살아있을겁니다..

     

    하지만 제가 말하는건

    중세기때처럼 종교가 세상을 지배하는 세상은 없을것이라는 겁니다..

     

    그런 맥락에서 "세상을 뒤짚어 놓는 시대" 라는 문장을 썼습니다..

     

    좀 더 깊숙히 파고들자면 재림교회에서 걱정하는 세상을 뒤짚어 놓을 사건들..

    즉, 일요일 휴업령이나 가톨릭과 미국의 정치적 합류와 같은 거지요..

     

    쓰신데로 종교는 과학과 다른 영역에 있어야 할겁니다..

    종교가 살아남을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봅니다..

  • ?
    student 2011.10.23 21:13

    재밌습니다.

    님의 전제는 Deepak 관 반대입니다.  그러나 님의 결론은 동일 합니다.

    그야말로 "묘" 하네요.  왜 그런지 한번 생각좀 해 봐야 되겠습니다.

     

    p.s. Mircea Eliade?  You never cease to amaze me.

  • ?
    cogito 2011.10.23 21:41

    ㅎㅎstudent님~~

    저는 마르치아로 읽었는데요^^

    뭘 그런 걸 가지구.... 제가 아는 어떤 교대나온 원어민 교사는 심심하면 한번씩 then을 than으로 씁니다^^

     

    그런데 deepak은 몬가요?

  • ?
    passer-by 2011.10.23 23:33

    그건 아마 디팩 초프라와 저와 종교의 전제가 다르기 때문일 겁니다.ㅋㅋ

    학생님의 여러 생각의 편린들 역시 따지고 보면 저의 그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죠.

    그저 서로 종교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고, 각자의 traits에 따라 취향이 다르기 때문일 겁니다.

     

    p.s. Do you know who and what Eliade is? Wow! You never cease to amaze me, either.

  • ?
    student 2011.10.23 22:03

    cogito 님,

    Mircea Eliade 는 U of Chicago 에서 종교 역사를 가르치시던 분이고

    Deepak Chopra 는 Endocrinology 전문의 이지만 현대 의학을 접고

    현재 뉴 에이지 "얼굴 마담" 역활을 하시는 분으로

    뉴 에이지 "이상구" 내지 신비주의 "이상구" 쯤으로 이해 하시면 될뜻 합니다.

  • ?
    cogito 2011.10.24 03:40

    무식한 제가 갑자기 껴서 엉뚱한 소릴 했네요ㅠㅠ

    두 분의 댓글토론 정말 잼있게 보고 있습니다....

    신앙의 세계가 참 깊고도 넓구나 하는 생각을 매번 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글 올려주신 김성진 선생님두요~~

     

    ps. student님의 과학에 대한 이야기 앞으로도 계속 올려주시면 제가 많이 배울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student 2011.10.24 05:36

    무슨 말씀을....

    목사님 같이 아는것도 많으시면서,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배움의 열정으로 가득차고, 그러면서도 늘 겸손하신 분은 처음 봤습니다. ^^

    계속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정진 하시길...

  • ?
    passer-by 2011.10.23 23:43
    예 맞습니다! 김성진님!^^

    저는 미래의 종교가 영성(Spirituality)의 형태로 더 번성할 것이라 예상하는 편인데

    중세 때처럼, 또는 재림교회가 신주단지처럼 모시고 있는 그러한 방식처럼 종교가 전세계를

    재편하고 정치-문화-문예-과학의 질서를 떡주무르듯 무소불위의 힘을 발휘할 것 같진 않습니다.

    그러나 도리어 그러한 종교의 영성화(or 신화화)가 종교의 생명력을 더욱 끈질기게 해 줄것이며

    그 생명력은 차후 어떤 과학적 지식이나 발달로도 도태시킬 수 없는 영역으로 자라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하버드의 하비 콕스(Harvey Cox)를 비롯한 몇몇 종교학자들의 예상이기도 하구요.

     

    p.s. 님의 글을 열독하고 있습니다. 열정적이신 분 같습니다.

  • ?
    student 2011.10.24 01:38

    Passer-by 님,

    아마도 님이 말하는 그 "spirituality" 안에 과학도 결국 포함되리라 전 생각합니다.

    Deepak 은 신비주의 입장의 창조론자로 많은 무신론적 진화론 자들과 활발하게 (그리고 제 생각엔 아주 effective 하게)

    돌아다니면서 토론하고 있습니다. 그가 주로 토론하는 분들은  전문적인 무신론 debater 가 주류를 이루고

    오히려  많은 이론 물리학자 들과 같이 "놀고" 있습니다.

    Caltech 에서 이론 물리학 교수로 있는 Leonard Mlodinow 와도 debate 하다 만나서

    지금은 같이 잘 놀고 있는 것 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가 부르짖는 하나님은 "야훼"가 아니라 소위 "Universal Consciousness" 이기 때문에 과학자 들을 훨씬 쉽게 "전도"  해서

    자기 진영으로 끌어 들이는 듯 합니다.  미래는 아무도 모르지만 님이 말하는 "spirituality" 로 종교뿐 아니라,  모든 분야가

    자연스럽게 모여질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spiritualism, 개신교, 캐톨릭 이 엘렌 화잇 당시엔 도저히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가까워 진건 확실합니다.

    서로서로의 영향력 때문에 갈수록 모든 종교가 점점 닮아가고 있는 현실입니다.

    As to how the future really unfolds, only time will tell.

     

     

     

     

  • ?
    김주영 2011.10.24 15:07

    그 Deepak Chopra 가 안식일교회 병원에서 의무원장 (chief of staff) 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1980년대에 New England Memorial 병원에서였지요. 

    그 병원은 화잇 생전에 생긴 병원이었는데 몇년 전에 소유권이 교단 밖으로 넘어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삼중 연합이 아니라 4중 연합정도 되나요? ㅎㅎㅎ

  • ?
    student 2011.10.24 16:27

    정말 그렇군요! ^^

    우리 교단이라고 뭐 다르겠습니까? 

    요즘은 mysticism 이 아무래도 대세인 듯 합니다.


    p.s. Deepak 이 SDA 였던 적은 없지만, 그의 "쎈 이빨로" 주변 SDA 들에게 큰 영햫력을 미쳤을 확률은 높을것 같습니다.  결국 믿음의 "단일화" 현상에 일조 했다고

    상상해 봅니다.


  • ?
    김주영 2011.10.24 16:35

    우리 교회가 강조하는 전인 치료. 마음과 몸의 관계.  채식...

    이런 것들이 그의 구미에 맞았을지 모르지요. 



  • ?
    로산 2011.10.24 22:49

    김 성진님

    이 글 제목에서는 "박사"칭호가 빠졌네요????

    재미 없지요?

  • ?
    김성진집사 2011.10.25 05:01

    "박사" 칭호는 이상구박사 뉴스타트 글 쓸때만 사용할려고 합니다..

    "김성진", "김성진박사" 두가지 닉네임를 쓰니까 오히려 더 재밌습니다..

    앞으론 "김성진목사", "김성진집사", "김성진장로", "김성진국장", "김성진사장", "김성진바리스타" 등등 다른 닉네임들도 상황에 따라 사용할려고 합니다..

    교회분위기가 "칭호" 에 대한 별다른 규정도 없는것 같고, 누구든지 불리고 싶은데로 자신을 부르고 남들을 부르는 분위기인것 같아서 저도 같은 교회의 일원으로써 그 분위를 따르기로 했습니다..


    좀 새롭지 않은가요?? ^^ ㅋㅋ..

  • ?
    쩜오세 2011.10.25 06:23

    김성진열사 화이띵!

  • ?
    김주영 2011.10.25 09:35

    아예 내 친 김에  여사까지

    김성진 여사 화이팅!!!

  • ?
    cogito 2011.10.25 10:55

    ㅋㅋ 김성진 여사~~에 뒤로 넘어갔습니다^^

  • ?
    김 성 진 2011.10.25 18:26

    왠만한 "사" 는 다 받아드리겠지만,

    "김성진여사" 는 제 와이프의 극심한 반대로 인해

    거부권을 행사하겠습니다..  ^^ 


    "여사" 는 자기것이라네요..


    ㅋㅋ..

  • ?
    여사님 2011.10.25 16:44


    사자는 모두 다 좋은 것 아닌가요?

    "사"자 종에 제일은 '"여사" 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06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197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40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22
2435 김유찬의 '이명박 리포트' 철처해부,.. 그 속엔 무엇이 담겨있나? - 이명박 장로, 그 의혹의 '중심'에 서다 (2) 나장로 2011.11.05 1392
2434 집에서도 열립니다 1 바다 2011.11.05 1092
2433 헐만 케인의 대장암 완치 이야기 1 노을 2011.11.05 1374
2432 라이스 전 국무장관의 사실왜곡과 편견....읽어볼만한 기사. 그분은 가고 없지만, 이렇게 통찰력있는 시각을 보았는가? 파워풀 2011.11.04 1891
2431 소설 조사심판 - 조영선 23 김주영 2011.11.04 1667
2430 예수가 5000명 먹인 진짜 이유 3 김원일 2011.11.03 1348
2429 1993년 그 때 그 사건 14 김주영 2011.11.03 1908
2428 이명박 장로, 그 의혹의 '중심'에 서다 나장로 2011.11.03 1136
2427 깡패같은 교인- 친구 이야기 14 fm 2011.11.02 1702
2426 미련님께, 예수님의 인성문제 에대하여... 1 student 2011.11.02 1233
2425 인준 목사가 합회장이 될 수 있다? 5 민들레 2011.11.02 1563
2424 신기하네요 4 빈배 2011.11.02 1365
2423 다 끝난 줄 알았는데 이제 시작이라네 6 김주영 2011.11.02 1166
2422 여자가 목사를.. 10 바이블 2011.11.01 1277
2421 대단히 무식한 질문(운영자님께) 3 무식이 2011.11.01 1237
2420 우리 정말 대단하다 12 김주영 2011.10.31 1400
2419 "한국 교회도 '기독교의 국가지배'를 꿈꾸나" 해뜰날 2011.10.31 1154
2418 구중물 대신 뒤집어 쓰기 2 로산 2011.10.31 1316
2417 오관(五觀) 1 허주 2011.10.31 1471
2416 나는 평생 만화 속에서 살았다 1 로산 2011.10.31 1257
2415 Show Me The Way 오 주여 . 나의 울림 을 들어 주소서 색소폰 연주 : 박희관 1 pp 2011.10.31 1279
2414 "예언의 신"이 내 일생을 뒤집어엎어 버린 사연 12 김민철 2011.10.31 1645
2413 저는 '사실'에 투표했습니다. "이명박 장로와 BBK와 도곡동땅, 한상률과 안원구가 사정권에 들어왔다." 1 그날이속히오리라 2011.10.30 1880
2412 이건 진짜일까? 3 로산 2011.10.30 1319
2411 김원일님 보시와요 2 빈배 2011.10.30 1399
2410 극장에 들어갈 때 밖에서 울며 기다리는 천사에게 내가 하는 말 11 김원일 2011.10.29 1528
2409 안식교와 유교에 치여 죽지 않은 게 다행인 한인 제칠일안식일예수/공자재림교인들-수정 9 김원일 2011.10.29 1530
2408 故 한영일 장로님 장례 일정 admin 2011.10.29 1163
2407 공상과 허구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애늙은이같은 우리 아이들) 1 허주 2011.10.29 1274
2406 한국의 모 정당 2 로산 2011.10.29 1268
2405 안식일교회 - 공상과 허구 13 김주영 2011.10.29 1879
2404 비오는 씨애틀 1 Ms. 서북미 2011.10.28 1296
2403 암, 암, 암.. 김성진박사 2011.10.28 2023
2402 "I'm Mormon" 3 노을 2011.10.28 1581
2401 다중인격장애, 귀신들림... : 영매님께 김주영 2011.10.28 1812
2400 영매란? 그리고 보이지않는 세계 . . . (김주영님께:) 2 영매? 2011.10.27 1912
2399 와 이리 좋노 9 justbecause 2011.10.27 1479
2398 우리 집안의 가족사 - 좀 길어진 글 (완결) 8 김주영 2011.10.27 1949
2397 1993년 사건, 조경묵 목사 , 재림교회 목사였습니까? 8 Rilke 2011.10.27 3625
2396 N 교수의 ProgressiveAdventism 근황이 어떻습니까? 6 허주 2011.10.26 3712
2395 어물전 망신 시키는 꼴뚜기 - 이걸 어떻게 해야? 4 김주영 2011.10.26 1727
2394 예수님이 이세상에 잠깐 내려와서 우리를 살펴보고........... 3 반고 2011.10.26 1270
2393 ' 교회, 사람이 행복하다' 16 김주영 2011.10.26 1529
2392 [부고] 고인선 장로님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1 admin 2011.10.26 1954
2391 모세의 노래로 "구원을 베푸신 여호와를 찬양하라" 를 외처봅시다!! 1 반달 2011.10.26 1525
2390 해결했습니다 2 로산 2011.10.25 1485
2389 감옥에 들어가야 할 인턴의사.. 19 김성진판사 2011.10.25 2368
2388 2300일에 대한 에드슨에 관한 회케마의 기록-passer-by님 1 로산 2011.10.24 1543
2387 [부고] 한영일 장로님(남가주 글렌데일 교회)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1 admin 2011.10.24 2003
2386 우매!! <??> 알고 계십니까? 우매! 2011.10.24 1484
» 사랑하는 나의 여자친구 시리.. 20 김 성 진 2011.10.23 2500
2384 정치-교회 관계의 부적절한 예 5 file passer-by 2011.10.23 1635
2383 반달님께 사과를... 2 student 2011.10.23 1544
2382 현실앞에서 무너져내리는 삼육교육 8 노을 2011.10.23 1647
2381 피터팬이 되고픈 이상구박사.. 7 김성진박사 2011.10.23 3162
2380 옥수수밭에서 일어난 일 6 김주영 2011.10.23 3855
2379 아름다운 기부 vs 아름다운 피부 오늘유툽 2011.10.22 1947
2378 이건희와 스티브 잡스, "뉴스타트만이 살길이다"?? 2 21세기 2011.10.22 2224
2377 또 왔구나 1 김주영 2011.10.22 1523
2376 급하긴 급했군 ^=^ 3 거짓말 2011.10.22 2953
2375 여러분들 4 로산 2011.10.21 1366
2374 유시민 “검증vs네거티브 애매? 확실히 정리해주겠다” 로잔향기 2011.10.21 1374
2373 " 대한민국 삼육교육, 다 *까라 그래 " 9 샤다이 2011.10.21 3068
2372 김성진님께: (댓글이 안되서 여기에 올립니다) - 비판을 이해합니다. 7 둥근달 2011.10.21 1638
2371 똑같다 1 인씨 2011.10.21 1770
2370 김성진의사가 . .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 말이 되는가??? 10 보다 보다 2011.10.21 1933
2369 이상구박사가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길 간절히 바란다.. (수정) 6 김성진박사 2011.10.20 3015
2368 믿거나 말거나 3 거짓말 2011.10.20 1842
2367 한국교회 십일금 제도 바뀌어야 한다. 6 似而非敎主 2011.10.20 2465
2366 왜 끝까지 거짓말을 해야 했을까? 9 김주영 2011.10.20 2138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