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8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던 시절 이야기』

 

 

 

종과_1~1.JPG

 


한경직 목사·성철스님·김수환 추기경 한경직 목사·성철스님·김수환 추기경 따라가 보라~ ~
無欲·淸貧·솔선수범·관용의 정답이 거기 담겨

 

 

 

요즘 들어 세간 사람들 밥상머리에 종교 이야기가 올라오는 일이 잦아졌다.
여러 종교의 집안 사정이 걱정스럽다는 투의 이야기다.
그 가운데는 풍설(風說)에 억측(臆測)의 살을 붙인 것도 적지 않다.
이해타산이 얽히고설킨 세속사(世俗事)가 만만치 않은 거라면,

그 세속의 질긴 인연을 뎅겅 베 내던지고 돌아선 이들이 모인

성직(聖職) 세계는 더 녹록지 않은 법이다.

헛짚고 함부로 입방아를 찧을 일만도 아니다.
그래도 그렇지 얼마나 오랫동안 우리 사회가 종교에 폐를 끼쳐왔는데,

그게 언제였느냐는 듯 근년의 몇몇 사건을 들어 종교 흉을 보는 게

유행이 되다시피한 세태에 세상 참 많이 변했다는 걸 실감한다.

우리 사회가 종교에 두통거리를 안겨주던 시절, 우리들 마음에 지워지지 않는

발자국을 남긴 종교계의 큰 어른으로 한경직 목사(1902~2000) 성철 스님

(1912~1993) 김수환 추기경(1922~2009) 세 분을 꼽는 데 별 이견이 없을 듯하다.

세 분은 각기 다른 종교를 떠받치는 기둥이었는데도 그분들을 한데 묶는

공통 단어는 금방 떠오른다. 청빈(淸貧)이다. 한국 대형 교회의 원조인

영락교회를 일으킨 한 목사님이 남긴 유품은 달랑 세 가지였다.

휠체어·지팡이·겨울 털모자다. 집도 통장도 남기지 않았다.
성철 스님은 기우고 기워 누더기가 된 두 벌 가사(袈娑)를 세상에 두고 떠났다.
김 추기경님이 지구를 다녀간 물질적 흔적은 신부복과 묵주뿐이다.

얼마 전 추기경님의 또 다른 유품 뒷소식이 신문 모퉁이에 나왔다.
추기경님이 기증한 각막을 이식받고 시력을 되찾은 어느

시골 양반이 용달차를 몰게 됐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알고 보면 세 분은 엄청난 재산가였다.
각각 어마어마한 유산을 물려주었다.
목사님이 작고한 이후 개신교는 또 한 차례의

중흥기(中興期)를 맞은 듯 신도 수가 크게 늘었다.

성철 스님 열반(涅槃) 뒤 스님의 삶이 알려지면서

불교를 바라보는 세상의 눈길 자체가 달라졌다.

추기경님은 생전부터 재산을 물려주기 시작했다.
그가 천주교를 이끌던 시절 신도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다.

세상을 떠난 다음 세 분의 향기는 신도의 울타리를 넘어 일반

국민들 사이로 깊고 멀리 번져갔다. '가난한 부자들'이었다.

세 분은 예수님의 말씀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했던 분에 그친 게 아니라
예수님과 부처님의 삶을 지금 여기서 그대로 살아보고자 했던 분이었다.
그걸 말이 아니라 온몸으로 보여 주었다.

목사님은 설교 중에 몇 번이고 신도들을 울리고 웃기는 능변(能辯)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데도 전설적인 목회자로 존경받았던 것은 그의

삶이 설교의 빈 구석을 채우고도 남았기 때문이다.

어느 겨울 한 신도가 목사님이 추운 기도실에서 기도하다
감기에 걸릴 걸 염려해 오리털 잠바를 선물했다.
얼마 후 그 신도는 영락교회에서 백병원 쪽으로 굽어지는 길목에 바로

그 잠바를 입고 한 시각장애인이 구걸하는 모습을 만났다.
목사님 아들도 같이 목회자(牧會者)의 길을 걸었지만

후계자라는 단어조차 흘러나온 적이 없었다.

성철 스님은 늘 신도들의 시주(施主)를 받는 걸 화살을 맞는

것만큼 아프고 두렵게 여기라고 가르쳤다.
쌀 씻다 쌀이 한 톨이라도 수챗구멍으로 흘러간 흔적이 보이면

불호령을 내려 다시 주워 밥솥에 넣도록 했다.
불교계의 큰 어른인 종정(宗正)직을 오래 맡았지만 중 벼슬은

닭 벼슬만도 못하다며 항상 종정 자리를 벗어날 틈을 찾곤 했다.

추기경님이 남긴 인생 덕목(德目)의 하나에 '노점상'이란 항목이 있다.
'노점상에게 물건 살 때 값을 깎지 말라. 그냥 주면 게으름을 키우지만

부르는 값을 주면 희망을 선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말씀대로 추기경님은 명동의 노점상 앞에 가끔 걸음을 멈추고 묵주를 샀다.

세 분은 평생 일편단심으로 자신이 믿는 종교의 가르침을 널리 펴고

실천하면서도 다른 종교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말씀한 적이 없다.
목사님은 교파의 경계를 넘어서는 교회 일치 운동에 열심이셨고
추기경님은 성철 스님의 부음을 접하고 누구보다 먼저 조전(弔電)을 보냈다.
성철 스님은 여러 종교의 경전에도 두루 관심을 보인 분이었다.

한국 종교계는 복(福)이 많다.
오늘의 문제를 풀기 위해 멀리 밖에 나가 배울 필요가 없다.
고개를 들면 스승의 얼굴이 보이고,

고개를 숙이면 그분들의 생애가 펼쳐져 있다.
생(生)의 심지가 닳고 나서 더 환하게 세상을 비추던 세 분의 발자취를

따라가기만 해도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문이 활짝 열려 있다.

[ - 출 처 ; 조선일보 강천석 주필님의 글에서 - ]


『장례식의 스님과 목사님』

십 여년 전, 장례식장에서 보았던 풍경 하나가 장례식에 갈 때마다

떠올라 나를 미소 짓게 한다. 어렸을 적부터 같이 자란 소꿉

친구의 집안 장례식에 얽힌 이야기다.
친구의 아버님이 직장암 말기로 병원에서도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상태에서 장례 이야기가 오갔다.

문제는 장남인 친구 오빠는 장로교회 장로이고
둘째 오빠는 신도회장까지 하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전 가족이 모인 자리에서 어떤 식의 장례를 할 것인가를 놓고 여자는 빠진 상태에서

남자 형제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형제는 정작 장례식을 어떤 식으로 치룰 것인가에 결론을 보지 못한 사이 아버님은 돌아가셨다.

큰 오빠는 장례에 관한한 목사님을 모시고 교회 분들과 같이 하고 싶어했다.
이것은 장남의 자존심이기도 했다. 아버님 살아 계실 적 아버님이 예수님

영접하길 바라던 큰 오빠는 나에게 둘째 오빠를 설득해 달라는 부탁을 하며 장남으로서 큰 소리 칠 수 없는 입장이라는 점도 밝혔다.

큰 오빠의 말에 의하면 둘째가 그간의 모든 병원비용을 지불했기 때문에 둘째가
형의 말을 안 듣는데다가 자신보다도 집안에서의 목소리가 더 크다는 것이었다.
장남으로 병원비용은 마땅히 형이 해야 할 일 이었지만 형의 대리점 사업도
문을 닫은 상태라 경제적인 여건이 좋지 않은 상태였다.

어쩔 수 없이 은행 지점장으로 여유가 있는 둘째 오빠가

그간의 모든 병원비용을 떠맡았었다. 큰 오빠 작은 오빠가 서로의 의견을

내세우자 여자들 포함 모두 여섯 명인 자식들은 두 편으로 서로 갈라 섰다.
일주일 후 아버님이 돌아가실 즈음엔 서로 말을 하지 않을 만큼 사이가 나빠 있었다.

그리고 일주일 후 장례식장에서 오빠들을 다시 보았다.
아침 일찍 도착하신 스님이 목탁을 두드리며 염불을 시작했다.
“나무 아미타불, 나무 아미타불” 염불이 무르익을 즈음 큰 오빠가

장로로 계신 교회의 목사님과 장로, 집사, 권사님 몇 분이 들어왔다.
조용히 한쪽 구석에 앉은 목사님은 눈을 감고 기도를 하셨다.

염불이 끝나자 목사님이 스님에게 다가가고

스님은 목사님에게 머리 숙이며합장을 했다.

목사님은 스님의 두 손을 맞잡으며 따스한 인사를 건네고 스님도 두 손을 꽉 잡고 반가워 했다. 오래 전부터 서로 알고 지내던 사이처럼 두 사람은 가까워 보였다.
두 분 사이엔 일종의 동지애 같은 것이 있어 보였다.

스님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 보살, 자 이제 목사님 차례가 왔습니다.”

하며 자리를 뜨려 하자 목사님은 “스님에게 우리 주님의 축복을 빕니다.”

하며 합장을 해보였다.그러자 스님은 문까지 배웅하는 목사님에게 “

목사님께서 우리 아버님 꼭 천당가게 해 주셔야 합니다.” 하며 발 길을 멈췄다.

이에 어두운 장례식장에 잠시 웃는 얼굴이 몇몇 보였다.
두 오빠의 얼굴에도 잠시 씁쓸하기도 한 미소와 함께 멋적은 표정이 섞였다.
그리곤 교회와 절에서 온 조문객을 맞는데 벽이 없어 보였다.
장례식을 두고 신앙 때문에 일어난 형제간의 불협화음이

이 두 성직자들로 인해 말끔히 사라진 것이다.

두 사람이 힘을 합쳐 조화시켜 하면 될 것을 굳이 “내 식”,

“네 식” 고집하지 않아도 될 일이었다. 이런 점에서 열린 마음을 가진

성직자의 면모를 새삼 보게 되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우리 시각이 항상 자기

것에만 갇혀 있다는 점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참으로 보기 좋은 광경이었다.

이런 이야기에 김경섭 박사님의 이야기를 빼 놓을 수 없다.
몇 년 전 취재차 만났었지만 무척 신선했다.
박사님은 전남 고흥의 전통적인 유교집안에서 태어났다.
누나 둘 중, 한 사람은 불교, 한 사람은 카톨릭, 남동생 한 분은 기독교,

한 분은 불교, 막내 여동생은 카톨릭이다.

이렇게 모두 두 사람씩 다른 신앙을 갖고 있지만 박사님 집안은

형제간 우애가 좋기로 장안에서 소문난 집이다.
그런데 8 년 전 형제들은 어머님의 장례를 치르며 약간의 진통을 겪어야 했다.
문제는 “어떤 종교 의식으로 장례를 치를 것인가” 였고 세 가지 종교적인

배경으로 인한 다른 의견이 나와 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이 때 박사님은 장남으로서의 권한 행사가 아닌 어머님의

뜻을 받는 장남으로서 기지를 발휘해야 했다.
박사님은 평소의 생각대로 밀고 나갔고 그것은 바로 “

다르니까 거기엔 분명 좋은 점이 있다.

그러니 각기 다른 점을 조화시키자” 였다.

그리하여 매일 시간을 정하여 천주교 식, 기독교 식,

불교 식의 세 종교로 추모 행사를 번갈아 가며 했다.
그런데 스님이 목탁이라도 치면 기독교인 형제들의 불만이 나왔다.
그럴 때 박사님은 “극락 간다는 데 거기 좋은 곳 아닌가” 하고 대응 했다.
불자인 가족이 교회에서 온 조문객의 찬송에 대해 불만이 들어오면 “

천당 가게 해 준다는데 뭐가 나쁘냐” 고 응수했다.
남동생은 입관 시 관에 반드시 '금강경' 을 넣어야 한다고 하고

기독교인 가족들은 '십자가'를 강력 주장했다.
결국 입관에는 십자가와 금강경이 같이 들어 가도록 했다.
서울 삼성병원에서 치룬 영결식은 결국 여러 종교의 의식을 거치는

추모행사로 바뀌었다. 자식은 어머니에 대해, 며느리는 시어머니에 대해,

사위는 장모님에 대해, 손주들은 할머님에 대해, 각자가 생존 시 어머님,

할머님과 관련되어 떠올리는 기억을 모아 모두 6 명이 어머님 영정 앞에

추모문을 올렸다. 테너인 장 손주는 주기도문을 노래하고 모든 증손주들은 바구니를 헌정 함으로써 할머님을 기쁘게 보내 드렸다.
흔히 울음바다로 시작해 장지까지 눈물만 보이는 장례식과 대조되는 광경이었다.

대 종교 셋이 장례를 해주니 어머님이 무척 좋아하실 거에요.
반드시 슬퍼하고 많이 우는 것만이 추모는 아니지요.
가족과 친인척을 중심으로 반드시 어머님과 알고 지내던 분에게만

부고를 했고 부조를 받지도 않았습니다.
이젠 우리의 장례 문화가 조금 바뀔 때도 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장례는 마쳤지만 일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다음 조정이 필요해 진 것은 바로 어머님의 첫 제사 때였다.
어머님 영정 앞에 절하는 의식을 놓고 기독교인 가족들의 이견이 나왔다.
다시 한번 지혜가 필요한 시간이 온 것이다.

박사님은 제사를 1년에 한번 온 가족이 모이는 추모모임으로

바꾸고 형제들에게 이런 제안을 했다.

“ ‘어머님은 우상이 아니다.
절을 할 사람은 하고 하기 싫은 사람은 안 해도 좋다’ 하고 못을 박았지요
. 대신 ‘어머님, 감사합니다’ ‘어머님, 그립습니다’
‘어머님, 존경합니다’ 하는 마음으로 제사에 임하도록 했지요.”

장례식도 이렇게 아름다운 추모 풍경이 될 수 있다.
한 집안의 종교사와 함께 다름의 차이를 조화로

이끌어 내는 분에게 난 큰 공부를 했었다.

[-죽음학회 정보 게시판 ‘김나미 작가'님의 글-]

     <미디어 다음 카페 펌>




  • ?
    한백성 2015.05.15 06:57
    안식교가 타 교단과 종교를 걱정하는 이유를 잘 설명 할수있는 글이다.
    개신교는 율법을 경시하므로 한 가정에서 이런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 가정에 예수와 부처가 공존하는것이 가당 하기나 한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68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65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196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81
12025 세계 유일 인성교육법 ... 효시는 '순응하는 조선인' 만들기 창성 2015.05.17 218
12024 총리인선이 교황선출보다 어렵다는 靑 3 일독권 2015.05.16 333
12023 국경없는 의사회와 재림교회. 1 재정지출 2015.05.16 312
12022 개기 일식과 개기 월식에 대해 김운혁 2015.05.16 317
12021 <루터>님에게 2 예언 2015.05.16 164
12020 에스겔 1장 1절과 십자가 사건 김운혁 2015.05.16 250
12019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아니하고... 2 김운혁 2015.05.16 265
12018 Culture: Ellen Harmon White (American Prophet) 4 아침이슬 2015.05.16 359
12017 '무상급식 요구' 제풀에 지치겠지... 홍준표의 착각 쟁투 2015.05.16 330
12016 “공천권, 얼마나 X드시고 싶으세요?” 진중권 “비노, 통째로 공천권 달라는 얘기” 쟁투 2015.05.16 263
12015 SDA 3개 교회단체 비교현황 17 file 루터 2015.05.15 429
12014 "천안함 침몰 직후 청와대-함장 통화한 적 없다" [인터뷰] 김병기 전 국방비서관, “함장 연락처도 모르는데 어떻게”… 이명박, 회고록에 거짓말 했나 거리 2015.05.15 204
12013 박 대통령-북 김정은 합성한 전단 서울·광주시내 뿌려져 _ _ _ 팝아트 작가 이하씨 작품 “민주주의 최고의 가치는 표현의 자유” 거리 2015.05.15 256
12012 <엄숙한 대심판> 예언 2015.05.15 191
12011 좋은 글 은행 2015.05.15 233
12010 [(사)뷰티플하트 간사 김영미 집사와 함께하는 '사랑의 클릭' 나누기] 우간다 심장병 청소년 브라이언 돕기 'Daum 희망해' 서명 마음 나누기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5.15 519
12009 제1부 38평화 (제28회) (3:30-4:30): 신영복『담론』과 에릭슨의 사회심리 8단계 발달과정. 최창규 (사)평화교류협의회 상생공동대표 // 제2부 평화의 연찬 (제166회) (4:30-6:00): 평화와 통일의 길: 민족공동체로서 '더불어 함께 산다'는 것의 의미. 김행선 통일길라잡이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5.15 228
12008 어머니 누룩빵 2015.05.15 185
12007 100억 이라네요 1 백억 2015.05.15 375
12006 나쁜 이야기만 듣고 자라서 1 시사인 2015.05.14 336
» 장례식의 스님과 목사님 1 야생화 2015.05.14 487
12004 교인들은 정착을 해서는 안됩니다 예언 2015.05.14 204
12003 '현대 안식교인의 식탁 공개 '이 정도는 차려야 할 것 아닌가 4 전용근 2015.05.14 338
12002 (Audio)도올 김용옥, 맹자와 기장(기독교장로회)정신, 전국장로대회,2012-07-17 2015.05.14 334
12001 민초에 피는 꽃들이 무심결이 아님을 1 fallbaram. 2015.05.14 319
12000 6. [평화와 행복] 평화 = Protect the Weak (사)평화교류협의회[CPC] 2015.05.14 101
11999 기업가 엘렌 화잇 3 file 김주영 2015.05.14 466
11998 나는 밤하늘의 어둠을 벗 삼아 임을 위한 행진곡과 아침이슬을 조용히 부르곤 했다. 3 전설의섬 39도 2015.05.14 363
11997 문혜영 성도님이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2 file 최종오 2015.05.13 350
11996 [스승의 날 특집] 스승찾기 서비스부터 스승의 날 감사 문구까지 은사님께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 총 정리 마음 2015.05.13 554
11995 자녀교육 십계명 - 아이를 위한 기도 1 마음 2015.05.13 343
11994 대법원,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무죄 확정. 천안함은? 1 무죄 2015.05.13 177
11993 2015년 5월 14일(목) 류효상의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1 류효상팬 2015.05.13 321
11992 스피커가 커져 좋다(큰 일? 낼 사람의 영화같은 이야기) 4 역경 2015.05.13 396
11991 이종인 법정증언 “천안함 함안정기, 폭발 아닌 좌초 흔적” - [천안함 공판] “3년 전 폭발한배 시신 인양 목없는 몸만 건져”… 검사 “단정적 주장” 반박 진실 2015.05.12 363
11990 <위험에 처하는 때>를 가르쳐 드릴께요 예언 2015.05.12 197
11989 건망증 5 김균 2015.05.12 387
11988 쓰레기들 시사인 2015.05.12 325
11987 '강위덕 장로의 작품 시연' 나성지구 연합 야유회에서 5 전용근 2015.05.12 454
11986 19세기의학과 21세기 의학의 대결 김균 2015.05.12 288
11985 속 깊은 20살 착한 누나의 고백... 이 여인의 변신은 무죄! 변신 2015.05.12 356
11984 法, '여호와의 증인' 양심적 병역거부자 무죄 판결 Greece 2015.05.12 319
11983 염소잡기 2 김균 2015.05.12 373
11982 은혜를 원수로 갚은 인간, 참회합니다 3 고목 2015.05.11 367
11981 1800년대에 예수님께서 재림하실려고 했는데...못하신 이유 예언 2015.05.11 230
11980 시험하는 자의 첫 번째 접근 예언 2015.05.11 142
11979 나는 그들을 동정하지 않아 도길 2015.05.11 241
11978 구글 '이미지'에서 "막말 퍼레이드: 한나라당"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내용 Do 2015.05.11 201
11977 한나라당 "노무현 이 육시럴 노ㅁ, 개잡노ㅁ 불알값을 해라, 거시기 단 노ㅁ......" Do 2015.05.11 316
11976 평화의 사도 교황 프란치스코의 전쟁 선전포고 현미 2015.05.11 222
11975 전용근과 함께 걷는 음악산책 '여름' 비발디 2 전용근 2015.05.11 289
11974 부모의 잔소리를 들을때 청소년의 뇌는 멈춘다? 2 어린이들 2015.05.11 381
11973 집으로 갈 때까지 1 김균 2015.05.11 372
11972 해외 韓人 학자들 "세월호 시행령, 위법적 내용" 노란리본 2015.05.10 281
11971 정욕에 사로잡히는 것을 천사가 보고 있고, 하늘의 책에 기록됩니다 1 예언 2015.05.10 257
11970 어떤 사람도 나태한 중에 구원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예언 2015.05.10 143
11969 율법과 안식일 1 하주민 2015.05.10 274
11968 시다"에 아들이 어머니에게 비엔날레 2015.05.10 298
11967 Brothers Four - 7 Daffodils with Lyrics serendipity 2015.05.10 116
11966 '우리 엄마 어머니' 이 일을 어찌 할꼬 ..... 2 전용근 2015.05.10 332
11965 문자주의의 특산물-안식일 제도 1 fallbaram 2015.05.10 417
11964 문자주의의 특산물-가정제도 fallbaram 2015.05.10 348
11963 ‘교황 앓이’ 신드롬에 가려진 ‘용의 발톱’을 주시하라 ..... 종교적 근본주의 ‘폭력’으로 규정 ... “가톨릭 변하지 않았다는 것 명심해야” 2 뉘우스 2015.05.09 319
11962 재림군인 조성민 군, EFMB 휘장 획득 ‘화제’ ...... 한국군 최초 우수야전 의무휘장 받아 뉘우스 2015.05.09 400
11961 '시위대 폭행 사진 오보' 채널A 기자들, 사측에 사과 요구. [뉴스클립] "채널A 시스템이 만든 참사…세월호 유가족에 사과"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련 촛불시위 당시의 사진을 세월호 관련 시위 사진이라고 보도" 여론을 돌리려고 고의로 허위 사진 실어 ......... 사진 뒤바뀌게 된 경위 철저히 밝혀야 채널 2015.05.09 404
11960 <자위행위,음란한 생각>을 하면 천국에 못들어 갑니다 12 예언 2015.05.09 733
11959 박정희냐, 김대중이냐 볼수록 부끄러운 '한국군 증오비' 증오비 2015.05.09 397
11958 “조선일보 수구 DNA, KBS·MBC로 흐른다” [창간 20돌 특별대담] 홍세화 협동조합 가장자리 이사장 “소유의 시대에서 관계의 시대로 전환해야” alive 2015.05.08 288
11957 옥한흠 목사 편지 '가짜' 주장하다가 유죄 옥이 2015.05.08 299
11956 <하늘에 있는 3종류의 책>을 자세히 가르쳐 드릴께요 예언 2015.05.08 470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