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남 교수의 아하!
누가 믿음이 있는 사람인가
*종교과 과학, 믿음과 이성 등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
믿
음이 뭔가? ‘믿음’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누가 말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라 생각한다. 목사님이나 스님 같은
종교지도자들이 하는 말, 특히 성경이나 불경 같은 경전에 나온 말이면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대로 믿는 것이 참된 믿음이라
여긴다. 개인의 독립적 사고를 희생하면서라도 ‘무조건 믿으라’ ‘덮어놓고 믿으라’고 할 때의 믿음이다. 라틴어로
‘assensus’, 영어로 assent, 곧 ‘승인’으로서의 믿음이다. 이런 것도 물론 믿음이다. 그러나 이런 식의 믿음은
자기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알고 있는 것에 의존한다는 뜻에서 ‘한 다리 건넌 앎’(secondhand
knowledge)이라 할 수 있다.
몇 가지 다른 종류의 믿음도 있다. 한 가지만 더 말하면, 신이라고 할까,
도(道)라고 할까, 우주의 근본 원리라고 할까, 그런 궁극적 진리에 우리를 ‘턱 맡김’으로서의 믿음이다. 라틴어로
‘fiduncia’, 영어로 trust. 아기가 아버지를 믿고 높은 책상에서 아버지에게 껑충 뛰어내리는 것. 천 길 깊은
바닷물에서 허우적거리는 대신 물의 부력을 믿고 나를 턱 맡기는 것이다. 이런 것이 예수님이 공중의 새를 보라, 들의 백합화를
보라고 하면서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라”고 할 때의 믿음이다.
그리스도교
성경 히브리서 11장, 이른바 ‘믿음 장’ 첫 구절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라 정의하였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곤란한 말이다. 다행히 이 어려운 말에 이어 구체적으로 믿음의 사람들을 열거하고 그들이 왜 믿음의 사람인가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중에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 교인들이 하나같이 ‘믿음의 조상’이라 받드는 아브라함을 두고 그
믿음의 특징이 바로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아간 것”(8절)이라고 했다.
아브라함만이 아니다. 우리가 잘 아는 모세도 “믿음으로…이집트를 떠났다”(27절)고 했다. 거기 믿음의 사람으로 지칭된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은 모두 신의 약속을 믿고 모험을 감행한 사람들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런 믿음이 있을 때 우리는 히브리서에 나오는 믿음의 사람들처럼 신앙의 모험을 감행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정신적 영웅들의 특징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 세계’에 안주하기를 거절하고 ‘알지 못하는 것’(the Unknown)을 향해 집을 떠나는 것이다.
미국 성공회 주교 존 셸비 스퐁
신부는 어느 인터뷰에서, 성경에서 말하는 믿음은 어떤 명제나 진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신이 내 앞길에 함께한다고
하는 확신을 가지고 알지 못하는 곳을 향해 앞으로 한 발짝을 내딛는 용기”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불신이란 이와 반대로 옛날부터
믿어오던 것에 그대로 매달려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는 비겁함이 아닌가. 혹시 지금 내가 믿는 종교에서 가르치는 것을 무조건 그대로
믿는 것을 믿음이라 생각하며 살고 있다면, 과연 나는 ‘믿음’이 있는 사람인가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오강남 경계너머 아하! 이사장
믿음이난 것을 어렵게 설명할 필요가 있겠는가 ?
내가 간직하고 지키고 싶은 그 대상이 바로 믿음이 아니던가 ?
간단하게 예를 들어본다면
불교인-이라면 >>>
석가여래의 가르침을 간직하고 지키고 싶은 그-것
기독교인-이라면 >>>
예수의 가르침인 성경말씀을 간직하고 지키고 싶은 그-것
안식교인-이라면 >>>
안식일을 간직하고 지키고 싶은 그-것
그리고
<과연 나는 믿음이 있는 사람인가?>
자문을 해보라고 했던 것같은데 >>>
믿음의 목적이 무엇이던가?
혹자는 말하기를
<우리는 이미 구원을 받았기에 감사해서 믿는단다.>
과연
그러할까?
그러한 사람들 대부분이 마지막 심판대에 서서
심판에 의해서 구원이 결정된다라고 한다면 >>>
자기들은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
왜 ?
심판대에 올라가서 사형선고를 또 받아야 하느냐고
반문을 할 것이 뻔하다.
허나
성경은 그렇게 말한 적이 없다.
인생-마지막 죽은자에게는 심판은 필수적으로 온다고
밝히질 않았던가 ?
그렇다면 >>>
결과는 >>>
믿음의 목적은 구원을 받기 위함이 아니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