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8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싼 옷' 입은 부자, 점원이 쫓아내자 하는 말

[줄리아 투자노트] '슈퍼리치' 치장 관심 적고, 대신 기부·여행 지출↑

  • <iframe id="fb_xdm_frame_http" name="fb_xdm_frame_http" src="http://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11#channel=f2b89c9164&origin=http%3A%2F%2Fenews.mt.co.kr&channel_path=%2F2012%2F10%2F2012102514041363319.html%3Frnd%3D62011%26fb_xd_fragment%23xd_sig%3Df1d2f96944%26" style="padding: 0px; margin: 0px; "></iframe><iframe id="fb_xdm_frame_https" name="fb_xdm_frame_https" src="https://s-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11#channel=f2b89c9164&origin=http%3A%2F%2Fenews.mt.co.kr&channel_path=%2F2012%2F10%2F2012102514041363319.html%3Frnd%3D62011%26fb_xd_fragment%23xd_sig%3Df1d2f96944%26" style="p012102514041363319&node_type=link&width=90&layout=button_count&colorscheme=light&show_faces=false&send=false&extended_social_context=fals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position: absolute; border-style: none; overflow: hidden; height: 20px; widt소셜댓글
 : 
 
미국의 슈퍼리치 전문기자 로버트 프랭크가 쓴 '리치스탄'이란 책에 이런 일화가 나온다. 엄청난 부자가 반바지에 슬리퍼 차림으로 아들과 산책을 나갔다 문득 자동차가 사고 싶어 고급차 매장에 들어갔다. 하지만 자동차 판매원은 허름한 옷차림의 이 부자를 쫓아버린다. 자신이 파는 고급차를 살만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았던 거다. 

정확히 생각나진 않지만 이 슈퍼리치는 자동차 매장을 나오면서 아들에게 "양복은 부자들에게 고용된 사람들이나 입는 것"이란 취지의 말을 한다. 고용된 직장인들은 출근할 때 회사에서 원하는 대로 옷을 입어야 하고 남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옷차림에 신경 써야 한다. 반면 부자들은 거의 언제나 자신이 원하는 옷을 입을 수 있는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청바지에 까만 터틀넥을 유니폼처럼 입고 다녔던 애플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잡스나 월가의 펀드매니저와 애널리스트들 앞에도 후드티를 입고 나타났던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를 보면서 '리치스탄'의 이 일화가 떠올랐다. 

부자들을 상대로 금융 자문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펙트럼그룹이 순자산 2500만달러 이상의 슈퍼리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봐도 갑부들은 옷이나 보석으로 몸을 치장하는데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것처럼 보인다.

이 조사 결과를 보면 슈퍼리치의 53%는 1년간 옷을 사는데 1만달러 미만의 돈을 썼다. 심지어 5%는 1년간 옷 사는데 단 한 푼도 안 썼다고 대답했다. 시계를 포함한 보석류도 연간 지출 규모가 1만달러 미만이라는 대답이 58%였다. 1년간 보석에 쓴 돈이 없다는 대답도 12%였다. 보트와 수집품에 쓰는 돈이 1만달러 미만이라는 대답은 각각 83%와 63%에 달했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많은 슈퍼리치들이 많은 돈을 쓰는 물건은 자동차였다. 보석과 의류를 사는데 연간 2만5000달러 이상을 쓴 슈퍼리치는 각각 21%와 19%였으나 자동차는 이 비율이 37%로 올라갔다. 보트와 수집품에 연간 2만5000달러 이상의 돈을 쓴 슈퍼리치의 비율도 11%와 20%로 자동차에 비해 낮았다. 

많은 슈퍼리치들이 정작 많은 돈을 쓰는 곳은 이처럼 눈에 보이는 물건이 아니었다. 가장 많은 슈퍼리치들이 연간 2만5000달러 이상의 돈을 쓴다고 밝힌 항목은 자선단체 기부였다. 전체의 48%가 연간 2만5000달러 이상 기부했다고 응답했고 22%는 기부금액이 10만달러를 넘었다. 

자선단체 기부 다음으로 많은 슈퍼리치들이 돈 쓰기를 즐기는 분야는 휴가와 여행으로 45%가 연간 2만500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연간 10만달러 이상을 썼다는 대답도 13%였다. 

자신이든 자녀든 대학 교육에 1년간 2만50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는 슈퍼리치의 대답이 26%로 보석이나 옷, 보트, 수집품보다 높다는 점도 눈에 띈다. 이에 대해 슈퍼리치 전문기자 프랭크는 부자들이 "물질 사치적"이라기보다 "경험 사치적"인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유대인들의 지혜를 담은 탈무드에 '부자가 되려면 부자의 줄에 서라'라는 말이 나온다.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리치스탄'에서 슈퍼리치 고객을 쫓아버린 자동차 판매원처럼 부자가 누군지 모르고 자신이 부자의 줄에 섰다고 착각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할리우드의 문제아로 유명한 힐튼호텔 가문의 상속녀 패리스 힐튼을 따라하는 것이 부자의 줄에 서는 것일까. 그랬다간 그나마 조금 있는 돈도 다 날리기 십상일 것이다. 

부자의 줄에 서려면 자기 힘으로 부를 일궜거나 상속재산이라도 자기 힘으로 늘려 자산관리 능력을 증명한 진짜 부자들의 줄에 서야 한다. 또 부자들이라고 똑 같은 성향을 보이며 한 줄로 서 있는 것은 아니니 가능하면 많은 부자들이 서 있는 줄에 서야 한다. 

부자처럼 돈을 쓰고 싶은가. 그러면 대다수 부자들처럼 기부하고 경험(여행)하고 공부하는데 돈을 쓰라. 지출금액은 슈퍼리치들과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적겠지만 이미 부자들의 줄에 서서 돈 쓰는 법을 배우고 있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29 김원일 2014.11.30 11978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6 38287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6 55209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7094
4255 안식일을 부적 삼아 미래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려는 무당들에게 (수정 2) 13 김원일 2012.10.28 1084
4254 케로로맨, 잔나비, southern cross 님들, 제발... 7 김원일 2012.10.28 1368
4253 거 참 생각할수록 고약한 표현 - "민스다 ㄴㅁ들" 8 김주영 2012.10.28 1756
4252 난 된장국의 거의 먹지 않는다 4 로산 2012.10.28 1194
4251 인간은 변한다고? 나를 그리고 우리를 봐라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1- 5 로산 2012.10.28 1186
4250 레위기서의 속죄예식과 돼지고기의 부정성-김금복님 2 로산 2012.10.28 1876
4249 '출구'에 대하여 8 southern cross 2012.10.28 1066
4248 그런 논리 때문에 박태선, 문선명, 박명호, 정명석, 안상홍 등이 예수가 될 수 있었다! 28 file 박진하 2012.10.28 1800
4247 진중권 vs 누리꾼 ‘맞짱토론’ 싱겁고도 훈훈한 결말 1 NLL 디벼주기 2012.10.28 1136
4246 민스다는 환풍구요 칼라사진이다. 감동이다.^^ 7 김민철 2012.10.28 1109
4245 박할매, 박할배 ! 문제는 된장국이 아니여 ! 7 김주영 2012.10.28 1407
4244 진중권(진보논객)vs 간결(보수논객-일간베스트 저장소 활동) 무게 2012.10.28 1613
4243 돼지고기-2 20 김금복 2012.10.27 1201
4242 한국 교회의 고질병 글쎄 2012.10.27 1216
4241 독도는 우리 땅, 된장도 우리 것. 3 독도어부 2012.10.27 1411
4240 위기는 계기다…언폴딩 님께 드리는 글.. 마지막회 10 student 2012.10.27 1236
4239 할매여, 나는 그대의 된장찌개보다 예수의 소주 한 잔이 그립다. 9 김원일 2012.10.27 1630
4238 노을님. 로산님. 김금복 2012.10.27 913
4237 할매 니 머라카노. 니 노망 묵었나. 똥인지 된장인지도 모르는 이 할망구야. 9 김원일 2012.10.27 1800
4236 예정 바이블 2012.10.26 1015
4235 내가 살아왔던 1991년도의 작은 일들 7 로산 2012.10.26 1106
4234 아이고, 이 민스다 ㄴㅁ들아! 21 할매 2012.10.26 1771
4233 [평화의 연찬(제34회, 2012년 11월 3일(토)] 카인의 후예, 인간의 땅 : 인간의 조건 | 도현석(삼육대학교 신학과 교수) 사단법인 평화교류협의회 2012.10.26 1841
4232 우리가 만든 대통령 로산 2012.10.26 1385
4231 하나님의 예지와 예정 3 질문1 2012.10.26 1524
4230 예수 오지 않은 오늘 --그는 왜 오늘도 오지 않았는가 김원일 2012.10.26 1032
» 이 안식일에 생각해 볼만한 글 로산 2012.10.26 844
4228 엽기적 야훼 하나님, 쪽나지 않으려고 수갑 차시다: 어떤 엽기적 설교 (조회수 3 후 사진 첨부) 김원일 2012.10.26 1358
4227 어라, 근데 저건 또 뭐냐? 손뼉 치네? 2 김원일 2012.10.26 1007
4226 백씨 할머니의 증손자는 이렇게 말했다. (수정) 1 김원일 2012.10.26 1440
4225 도대체 마태복음 24장 중 어느 구절이 ‘일요일 휴업령’에 대한 예언이란 말인가? 6 손님오셨다 2012.10.26 1227
4224 로산님, 절기 질문입니다. 3 김금복 2012.10.25 968
4223 백선엽 논란 확산…'전쟁영웅'vs'친일반역자' 1 친일vs영웅 2012.10.25 1277
4222 이게 말이 되는 말이냐 이거다.. !!! 13 김 성 진 2012.10.25 1293
4221 김균 장로님의 내 개인 신상에 대한 글에 대한 진실규명! 3 박진하 2012.10.25 1351
4220 쓰레기 종말론의 경험 1 로산 2012.10.25 921
4219 옮김글 박희관 2012.10.25 835
4218 비가든 구름 찾기-계속되는 이야기 2 로산 2012.10.25 1194
4217 잔나비님 민초스다 글 좀.... 12 박진하 2012.10.25 1361
4216 필리페님 소환글 2 허주 2012.10.25 1302
4215 [평화의 연찬(제33회, 2012년 10월 27일(토)] 직장문화와 직장인 매너 - 남북통일을 위한 과정의 모든 것은 개인적 차원과 민족의 염원을 넘어 세계사적 차원에서 연계되어 있다. (사)평화교류협의회 2012.10.25 3209
4214 왜 이렇게 심각해요.. 배꼽 잡으시고 한번 웃자고요 ㅎㅎㅎㅎ 2 박희관 2012.10.25 1851
4213 박근혜 "역사를 잊는 사람이 역사의 보복 받는다" 2 알약 2012.10.25 1329
4212 박진하님 카스다 글 좀.... 6 잔나비 2012.10.25 1876
4211 강간의 임신도 신의 뜻 로산 2012.10.25 1683
4210 참으로 가소롭다 로산 2012.10.24 1143
4209 박진하 신드롬에 부쳐 한 마디: 그에게 여길 떠나라는 말 하기 없기 3 김원일 2012.10.24 1391
4208 따져보고 또 따져보고 다시 한번 따져보자.. 11 김 성 진 2012.10.24 1378
4207 성질 급한 넘이 우물 판다고=박진하 목사님께 내가 답글 적습니다 4 로산 2012.10.24 1297
4206 우리는 무엇(누구)을 믿는가? choshinja 2012.10.24 1069
4205 딱 김성진씨만 보세요,,,, ㅋ 4 천국있다 2012.10.24 1246
4204 박진하 목사님께 몇 가지 27 로산 2012.10.24 1563
4203 정체성에 대한 "천국있다"님의 댓글에 대한 답변 3 노을 2012.10.24 1052
4202 내가 만약 초교파교회 목사라면.. 7 김 성 진 2012.10.24 1820
4201 열린 교회와 그 적들 2 캣우먼 2012.10.24 1033
4200 할례, 금기 음식, 안식일 3 해람 2012.10.24 1662
4199 가슴 아픈 이야기 ..... 10 박진하 2012.10.24 1551
4198 Passer-by님, 로산님, 일요일 휴업령이 없다고 믿으시는 민초님들께 다시 한 번.. 5 불암산 2012.10.24 1920
4197 돼지고기. 17 김금복 2012.10.23 1769
4196 박진하님.. 도대체 왜 이러는걸까요.. 불편한 진실.. 그것이 알고싶다.. 8 김 성 진 2012.10.23 1581
4195 우리 인정할건 인정하자.. 암만 토론해봤자, 박진하님과 그의 세력들에게 우리 또 졌다.. (2) 1 김 성 진 2012.10.23 1405
4194 꼬질러 바치기 2 로산 2012.10.23 1091
4193 우리 인정할건 인정하자.. 암만 토론해봤자, 박진하님과 그의 세력들에게 우리 또 졌다.. (1) 3 김 성 진 2012.10.23 1301
4192 이젠 뭘 물고 늘어지지? 1 로산 2012.10.23 1171
4191 안식교 할 일은 이것! 오두막 2012.10.23 1044
4190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5 근거!! 2012.10.23 825
4189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4 1 근거!! 2012.10.23 1201
4188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 3 근거!! 2012.10.23 895
4187 비성경적인 국내주요교파의 목사제도 2 근거!! 2012.10.23 838
4186 비성경적인 국내 주요교파의 목사제도 1 근거!! 2012.10.23 898
Board Pagination Prev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225 Next
/ 225

Copyright @ 2010 - 2016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